논문 상세보기

평판이 상품의 호감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Effects of Public Opinion on Consumers' Preference for Produc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621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Journal of Cultural Product & Design)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Korean Institute of Cultural Product Art & Design)
초록

흔히들 첫 인상의 중요성에 대해서 이야기들을 많이 한다. 브랜드에서는 이것을 초두효과라 하며 그 중요성에 대해서는 여러 조사와 관련 문헌들을 통해서 알려져 있다. 또한 대부분의 경우 아직도 소비자들의 상품에 대한 호감도와 이에 따르는 판단은 개인의 취향의 문제로 이해받고 있다. 이렇게 소비자의 대한 감성적 평가가 오해 받는 이유는 사람의 판단은 언제나 논리적 일 수는 없으며 따라서 상황에 따라서 비논리적일 수 있고, 상품에 대한 호감도 판단에 있어서도 이는 같다고 가정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비자가 현재 판단해야하는 대상에 대해서 어떠한 정보를 현재 가지고 있는지에 따라서 그 호감도 형성도 가지고 있는 정보와 인식의 한계 안에서 내려질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고의적으로 동일한 상품에 대해서 올바른 정보와 왜곡된 정보를 주어서 주어지는 정보에 따라 소비자의 호감도는 상품과는 무관하게 나타나는지 그렇다면 그 차이는 얼마큼이나 되는지를 실험 연구하였다.
실험결과 사전정보의 내용에 따라서 주어진 상품의 호감도는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사전정보의 내용은 수용자의 상품에 대한 호감도 형성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준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The importance of first impression is often said. And, the first impression is said to have primacy effect at the brand and its importance has been known through many surveys and literatures. The consumers' preference for products and their judgment are mostly thought to rely upon an individual's taste, The consumers' emotional evaluation can be misunderstood because men's judgment cannot always be logical to be illogical depending upon situation and preference for the products can be assumed to be same. In this study, consumers were thought to judge an object and to have preference subject to their information and cognition: This study examined consumers' preference for products that might vary depending upon correctness of the information.
The findings were as follow: The consumers' preference for products greatly varied depending upon preliminary information. Therefore, preliminary information was found to have great influence upon consumers' preference for products.

목차
영문초록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Ⅱ. 이론적 배경
1. 구담(口談)으로서의 평판
2. 정보와 조형심리학
3. 구담(口談)으로 인한 조작의 가능성
4. 연구 문제

Ⅲ. 실험 및 연구
1. 연구방법
2. 연구 설계
3. 표집
4. 자료처리과정 및 분석방법

Ⅳ. 연구결과 및 논의
1. 통계 분석 결과
2. 통계 결과의 해석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
  • 황현택(계명대학교 시각디자인학과 교수) | Hwang, Hyuntai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