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Soft Sculpture을 활용한 백화점 디스플레이 연구 -국내·외 윈도우 디스플레이 사례를 중심으로- KCI 등재

A Study on Department store Display Using Soft Sculpture -Based on the Examples of Show-window Display Local and Oversea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6214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Journal of Cultural Product & Design)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Korean Institute of Cultural Product Art & Design)
초록

본 연구는 백화점 내 soft sculpture를 활용한 국내외 디스플레이 사례를 조사하여 아트마케팅으로서 백화점이라는 장소에 적용 했을 시 판매촉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고, 국내·외 사례를 비교해 우리나라 백화점 디스플레이 현황의 문제점을 제기하여 발전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의 백화점 디스플레이는 대체로 단순하고 상품진열 위주에 소품으로써 섬유조형물을 접목 시키는 반면, 국외의 여러 나라들은 화려하고 다양한 오브제를 사용하여 상징적인 이미지 표현 연출을 하고 있었다.
둘째, 국외의 백화점들은 아트적인 요소를 접목한 오브제들로 주제가 있는 스토리라인을 구성하여 매장 전체를 하나의 컨셉으로 하여 각 백화점 이미지를 강하게 어필하고 있지만 국내의 백화점은 스토리보다는 상품진열 위주로 나타났다. 현대백화점 같은 경우는, 한 가지 컨셉을 가지고 윈도우와 전체적인 실내인테리어 디스플레이를 통일시켜 점의 이미지 메이킹을 시도하고 있었다. 하지만 소비자들에게 이미지를 어필하기에는 비쥬얼적인 요소가 약하고 연출방법 또한 한정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매장의 단순한 상품 진열의 시대가 가고 VMD의 개념도입으로 디스플레이도 이제 판매촉진의 방법 중 하나로써 다양한 재료사용과 기법이 요구되는데, 우리나라의 백화점은 아직 그 활용도가 미흡한 실정이다. 섬유 재료의 활용에 있어서 다양한 재질감으로 연출이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섬유를 활용하기 보다는 다른 재료들을 더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local & foreign display examples using soft sculpture in department stores were surveyed and studied the aftereffect to the marketing if it is applied in the form of art marketing, and aimed to present a development plan upon raising the problems the present status of the display at department store through comparison with examples with local and foreign cases.
First, the displays of depart stores in our country are simple and combines mainly display item with textile props in general, whereas various other countries renders symbolic representations of image by using colorful & variety objects.
Second, many overseas department store provides strong image of their respective store to be made whole store as single concept with existing story line having subject being added by artistic factors whereas local department stores showed focusing on mainly item display.
In case of Hyundai department store, under single concept, show-windows as well as room interior display are unified intending to be made as point image. However, it indicated that to make image appeal to consumers lacks visual elements and also had limited presentation method.
Third, at present the era of simple display in store has gone as such in the display it requires using various materials and techniques as a means of sales promotion, however, department stores in our country still lacks the utilization of such means.
In terms of using textile material, it can be presented with different textures but instead of using textile it indicates of using more other materials.

목차
영문초록

Ⅰ.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Ⅱ. Soft sculpture와 디스플레이
1. soft sculpture의 개념
2. soft sculpture의 특성 및 재료
3. soft sculpture와 디스플레이

Ⅲ. 백화점 디스플레이의 이론적 고찰
1. 백화점 디스플레이의 개념 및 기능
2. 백화점 디스플레이의 구성요소
3. 백화점 디스플레이의 분류

Ⅳ. soft sculpture를 활용한 백화점 윈도우 디스플레이 사례 연구
1. 국내사례 (3대 백화점을 중심으로)
2. 국외사례 (영국, 프랑스, 일본)
3. 비교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
  • 이재익(서경대학교 예술대학 디자인학부 교수)
  • 안혜강(서경대학교 대학원 디자인학과 문화산업공예디자인전공)
  • 손영수(국립 제주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