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콤퍼지션에 의한 동적 이미지의 생성원리에 관한 연구 KCI 등재

Study on Creation Principles of Dynamic Images by Composi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6222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Journal of Cultural Product & Design)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Korean Institute of Cultural Product Art & Design)
초록

본 연구는 콤포지션에 의한 동적 이미지의 시각효과를 보다 다양하고 폭 넓게 활용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기존의 동적 이미지 생성원리의 개념에 대한 검토와 함께 보완점의 모색에 중점을 두었다. 논고에 있어서는 기존의 동적 이미지 생성원리의 개념이 초기 게슈탈트 심리학 이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조형이론에 접목하려 했던 아른하임(Rudolf Arnheim)이나 케페슈(Gyorgy Kepes) 등의 주장을 토대로 하고 있다는 것에 착목하여, 이들의 저서와 관련문헌에 대한 고찰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아른하임 등의 주장은, 동적 이미지는 화면의 특정 위치나 방향의 배치에 따라 파생되는 평형의 작용과 반작용이라고 하는 역동성에 의해 생성되며, 이것은 순수한 시각판단, 즉 직접지각에 의한 것이라는 생각을 토대로 하고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주장이 현재 동적 이미지의 다양한 표현 가능성을 크게 제한시키는 주된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는데, 오늘날의 시각정보처리시스템모델의 관점에서 보면, 물리적 시간과 위치변화가 존재하지 않는 평면상에서의 동적 이미지 생성은, 직접지각이라는 프레임에서 벗어나 인지기억시스템의 작용을 고려한 보다 다각적이고 폭 넓은 관점의 분석이 필요하다는 보완점도 확인되었다. 이후 연구과제로서, 그 동안 특정이론에 편중되어 왔던 기존의 동적 이미지 생성원리의 미비점 보완을 위한 이론적 토대를 제공할 것으로 생각되는, 깁슨(Gibson, J. J)이나 곰브리치(Gombrich, E. H) 등의 이론체계를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다각적으로 검토해 가겠다.

This study is a part of a research on discovering a wider range of different ways to utilize the visual effects of dynamic images created by composition. The focus of this study is the analysis of the existing principles of creation of dynamic images as well as ascertaining supplemental points. Giving consideration to the fact that the existing principles of the creation of dynamic images are mainly based upon the theories of Rudolf Arnheim or Gyorgy Kepes that have applied early Gestalt psychology theory and their attempt to graft it with formative theory, the arguments of this study have been constructed by studying their works and related literature. As a result, this study confirms that Arnheim’s theory of the creation of dynamic images through the dynamics of the action and reaction of the balance derived from the particular position of the screen or directional positionis based upon the idea of direct perception. Such theory plays a large role in restricting the potential of the wide-ranging ways of expressions of dynamic images. From the perspective of today’s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model, this study also confirms that the creation of dynamic images on a flat surface, where physical time and positional alteration does not exist, requires a broad and multilateral viewpoint analysis that considers the reaction of cognitive memory processing beyond the framework of direct perceptions.
As a future research topic, this study proposes to broadly analyze a method to actively implement and utilize the theories of J.J. Gibson or E.H. Gombrich that is considered to provide a theoretical framework to supplement certain areas that have been overlooked in the existing principles of the creation of dynamic images that have only concentrated on a fewspecific theories so far.

목차
영문초록

Ⅰ. 서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2. 연구범위 및 방법

Ⅱ. 본론
1. 역동적 평형
2. 긴장의 역동성
3. 물리적 역동성과 심리적 역동성
4. 동적 이미지 생성원리의 개념 확장

Ⅲ. 결론

참고문헌
저자
  • 장화섭(전북대학교 예술대학 산업디자인학과 강사) | Jang, Hwas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