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소비자의 잠재된 니즈 분석을 통한 디자인 상품화 과정에 관한 기초 연구 KCI 등재

A Basic study for design commercialization process between on consumer need analysi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630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Journal of Cultural Product & Design)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Korean Institute of Cultural Product Art & Design)
초록

본 연구는 소비자가 제품을 사용함으로써 브랜드 이미지를 자연스럽게 인지하는 것에 대하여 분석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실증분석에 앞서 기업브랜드 이미지를 형성하는 요소들 중에서 디자인 요소의 실험 비중이 크다고 할 수 있기 때문에 가구 기업 중에서도 디자인 중심적 기업 경영을 하고 있는 D기업을 실증분석대상으로 선정하게 되었다.
ZMET 기법은 현재 기업의 마케팅 분석에 있어서 이미지를 통해 소비자의 잠재의식을 알아보는 기법으로서 효율성이 입증되어 사용되어 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ZMET 기법을 응용하여 소비자의 잠재된 니즈 분석을 통한 디자인 상품화 과정에 관한 연구를 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ZMET를 응용한 은유기법을 통해서 상품화나 기업디자인에 적용될 수 있는 소비자의 형태 이미지나 색채 심리 등으로 도출되어 지는 것에 궁극적인 목적을 두고 있다. 실험 방법인 은유 기업은 소비자의 잠재된 생각을 통해서 기업디자인 전략 수립에 많은 도움과 효과를 낳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The study focused on analyzing user's recognition of a brand image. Design parts take great position in forming a business brand before an actual proof analyzing. Therefore, the study selected D, which concentrates on design parts of furniture business as an actual proof analyzing subject. ZMET method is used to analyze the current business marketing as a way of finding buyer's subconscious awareness and shows its effectiveness. So the study would like to research about the identity of a brand image and a design image applying ZMET.
The study is about the standard model for the identity of a brand image and a design image and is expected the way of offering and improvement about the basic materials analyzing the position by objective data.

목차
1. 서론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2. 연구 범위 및 방법

2. ZMET 개념과 소비자의 제품디자인이미지 수용 과정
  2.1. ZMET 개념
  2.2. 소비자의 제품디자인 이미지 수용 과정
  2.3. 기업선정분석
  2.4. 샘플이미지 추출과정과 실험방법

3. 실험결과
  3.1. 소비자의 잠재된 기업이미지 포지션
  3.2. 소비자의 잠재된 제품이미지 포지션
  3.3. 이미지 포지션 결과에 따른 분석

4. 결론

참고문헌
저자
  • 김은선(남서울대학교 시각정보디자인학과 외래교수) | Kim, Eun Seon
  • 고영미((주)아이씨엘 디자인팀 실장) | Ko, Young M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