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유니버설디자인 관점에서의 문화시설접근성과 위생시설에 관한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Sanitary facilities and Accessibility to Cultural facilities from Universal Design poin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630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Journal of Cultural Product & Design)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Korean Institute of Cultural Product Art & Design)
초록

서울역사박물관,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서울시립북서울미술관, 노원문화예술회관을 대상으로 유니버설디자인의 적용여부를 접근성에 한정하여 연구하였다. 접근성은 외부에서의 접근성과 내부의 위생시설에 대한 접근성으로 나누어 실사 분석하였다.
노원문화예술회관을 제외하고 모든 연구대상의 기관이 평지에 건축되어 계단 없이 접근성이 양호하게 조사되었다. 위생시설의 경우는 서울역사 박물관의 대변기 높이가 400~450mm보다 높은 560mm로 되어 있어 유니버설 디자인의 기준을 초과하였다. 대한민국 역사박물관의 경우는 화장실 출입문의 폭이 670mm로 유니버설디자인 최저 기준인 760mm를 충족치 못하여 휠체어의 출입이 불가하다. 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의 경우는 화장실의 거울의 세로 길이가 280mm로 유니버설디자인 기준 650mm 이상에 절반정도의 크기로 부적합하며, 노원문화예술회관의 경우는 변기의 높이가 10mm 낮아 불편함을 초래한다. 그러나 최근에는 문화시설들도 유니버설디자인의 기준을 적용함을 알 수 있었다. 모든 계층의 사람들이 평등하고 편안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유니버설 디자인의 기준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여서 불편 없이 활용되어야하고 문화생활의 생활화에 발맞추어 찾고 싶은 문화공간과 시설이 되기를 기대한다.

I conducted a research applicability of universal design only to accessibility targeting Seoul Museum of History, The National Museum of Korean Contemporary History, Buk Seoul Museum of Art and Nowon Art Center. I divided applicability into it from outside and it about sanitary facilities inside. The result was all objects have good accessibility because they are constructed on flatland except Nowon Art Center. In case of sanitary facilities, Seoul Museum of History exceeds a standard of universal design because its height of closet is 560mm higher than 400~450mm. In case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n Contemporary History, it's impossible that wheelchairs accesses to toilet, because its width is 670mm that doesn't meet 760mm, minimum standard of universal design. In case of Buk Seoul Museum of Art, it's unsuitable because its vertical length of toilet is 280mm, about a half size of universal design's standard. Also in case of Nowon Art Center, height of toilet bowl is lower about 10mm causing inconvenience. However I could know cultural facilities also apply standards of universal design recently. I anticipate cultural facilities to be used by people equally and conveniently accepting standards of universal design actively.

목차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1.2. 연구방법 및 범위

2. 이론적 배경
  2.1. 유니버설디자인의 개념과 필요성
  2.2. 문화시설의 개념
  2.3. 위생시설의 개념

3. 문화시설 접근성의 가이드라인
  3.1. 매개시설
  3.2. 주출입구
  3.3. 내부시설

4. 위생시설의 가이드라인
  4.1. 일반사항
  4.2. 화장실
  4.3. 세면대
  4.4. 대변기
  4.5. 소변기
 
5. 현황분석
  5.1. 문화시설 접근성
    5.1.1. 서울역사박물관
    5.1.2. 대한민국역사박물관
    5.1.3. 서울시립북서울미술관
    5.1.4. 노원문화예술회관
  5.2. 위생시설
    5.2.1. 서울역사박물관
    5.2.2. 대한민국역사박물관
    5.2.3. 서울시립북서울미술관
    5.2.4. 노원문화예술회관

6. 분석결과 및 결론

참고문헌
저자
  • 안상락(국립한국복지대학교 광고홍보과 교수) | An, Sang Lak
  • 고영준(국립서울과학기술대학교 디자인학과 교수) | Ko, Young J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