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1

        1.
        202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보육시설 내 식수인원 및 조리 종사자 근무현황에 따른 급식소 위생 관리수준을 평가하였다. 2021 년부터 2022년까지 풀무원푸드머스를 통해 식자재를 공급 받는 전국 199개 보육시설을 대상으로 61개 점검문항 중 평가결과에서 유의미한 일부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작성하 였다. 분석결과 식수인원이 적고, 조리 종사자가 적을수록 검수기록이 미 실시(P<0.05)되는 평가되었으며, 식수인원 이 적을수록 조리 종사자의 건강상태 확인이 미흡하고, 조 리 종사자가 적을수록 복장착용(P<0.05)이 미흡하였다. 또 한, 식수인원이 적은 보육시설일수록 소비기한 경과 식재 료 보관이 확인(P<0.05)되는 빈도 수가 높아 관리가 요구 되었으며, 가열조리 시 심부온도 측정기록은 미 실시(P<0.05) 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식수인원이 적은 보육시 설일수록 조리시설의 유지관리가 미흡(P<0.05)하였다. ATP 측정결과에서는 식수인원이 적은 조리시설 종사자의 손과 도마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ATP 수치가 검출(P<0.05)되었으 며, 조리종사자가 적을수록 근무 급식소의 도마에서 높은 ATP 수치(P<0.05)가 측정되었다. 분석결과를 종합해 볼 때 식수인원이 적은 보육시설일수록 조리운영을 위한 시설기반 관리가 부족하고, 위생관리가 미흡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 라서 본 연구결과를 통해 식수인원 및 조리 종사자 수에 따 른 보육시설 급식소의 위생 관리수준을 판단하였으며, 향후 보육시설에 대한 국가 지원사업 선정 시 해당 연구결과가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3.
        201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지방 소도시인 경북 예천군의 100인 미만 어린이 급식시설 32개소를 규모별(50인 이상, 21인 이상 50인 미만, 20인 이하)로 나누어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의 위생·안전 순회방문지도에 따른 개선효과를 조사·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지방 소도시에 위치한 소규모 어린이 급식시설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보다 효과적인 위생관리 지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규모별 분석대상은 집단급식소 25.0%, 소규모 급식소 34.4%, 비집단급식소 40.6%의 순으로 조사되었으며, 전체 조사대상 급식시설에 고용된 조리사 면허 소지자는 40.6%에 불과했다. 위생·안전관리 지도점검 결과 총 25가지 항목 중 18가지 항목에서 유의성 있는 결과를 얻었으며, 집단급식소는 총 5가지 항목(시설 등 환경 1문항, 개인위생 2문항, 원료사용 1문항, 보관관리 1문항), 비집단급식소는 총 13가지 항목 (시설 등 환경 1문항, 개인위생 2문항, 원료사용 1문항, 공 정관리 7문항, 보관관리 2문항), 그리고 소규모급식소는 총 7가지 항목(시설 등 환경 1문항, 개인위생 2문항, 원료사용 1문항, 공정관리 1문항, 보관관리 2문항)에서 유의미한 개선효과가 확인되었다. 총점의 경우, 전체 순회지원 전 55.89점에서 지원 후 75.11점으로 상향되었고, 규모별로는 집단급식소, 비집단급식소, 소규모급식소 각각 순회지원 전 63.5점, 52.1점, 50.5점에서 지원 후 79.8점, 76.7점, 65.4점으로 세 그룹 모두 상향된 점수의 개선효과가 확인되었다 (data not shown). 집단급식소의 경우 전문 인력에 의한 조리업무 수행 및 지자체로 부터의 지속적인 위생 점검으로 순회지원 이전부터 수행되고 있는 항목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위생·안전 순회지원을 통한 개선효과는 비전문 인력으로 구성된 비집단급식소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특히 개인위생, 공정관리, 보관관리 항목에서 뚜렷한 개선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지방 소도시의 어린이 급식시설에 대한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의 위생순회방문지도가 위생 및 안전관리에 있어서 긍정적인 개선효과를 제공한 것으로 판단되며, 제한적인 지원 횟수로 인한 다소 아쉬운 평점의 상승폭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교육지원을 통한 개선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식생활의 안전문제는 어린이 급식시설 즉 비영리급식 뿐만 아니라 어린이 식생활에 많은 영향을 주는 가공식품 및 외식 등 식품 산업 전반에서 함께 풀어야할 과제이다. 이는 지속적인 교육지원 등과 더불어 식품산업체와의 협력 및 상호보완을 통해 균형 있고 지속가능한 정책이 이루어지기 위한 구체적인 기반이 마련 되어야 할 것이다.
        4,000원
        5.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n investigation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hygienic status of 53 high school foodservice systems in Gyeonggi province by using hygiene management guide checklist, ATP bioluminescence assay of food utensils were conducted during process. The 5 hygiene management guide checklist groups about personal hygiene, cooking facilities control, cross contamination control, cook and storage control, management control were checked by experts and had good grades but there were some inadequate behaviors on observation. Total cleaning levels were inadequate, including hand, rubber gloves, aprons, knives, food tray, machine and instruments. The possibility of cross contamination is also noted in handles for refrigerators, ovens, food dryers, hand washing. It was also noted that there were too much work on the nutritionist and cook, additional personnel need to be added. lack of space, deterioration of facilities were identified in some high school foodservice systems. ATP bioluminescence assay was conducted on surface of food facilities, ATP ranged 1,393±5,041.2 RLU on yellow gloves, 244±258.7 RLU on pink gloves, 3,780±11,418.6 RLU on apron, 49,056±62,831.4 RLU on refrigerator grip, 41,422±61,259.8 RLU in oven, 31,407±41,344.9 RLU on hand cleaning board.
        4,000원
        6.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농산물 가공업체의 생산품목에서 분말류를 주원료로 하는 다류가공 사업장은 차지하는 비율은 ‘08년 기준 41개소 이며 전체 가공시설의 13.3%로 가장 점유율이 높다. 기능성 성분 함량이 높은 농산물의 분말은 건강기능성 식품의 원 료로 활용되고 있어 소비자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또한 분말식품 가공은 다른 가공식품에 비하여 제 조공정이 비교적 간단하여 농가에서도 관심이 높은 품목이다. 본 연구에서는 농가형 분말식품 가공 사업장에의 가공 설비 종류, 배치 및 제조공정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를 토대로 분말가공 식품의 공정을 분석하고, 농가형 가공사업장 에 적용할 수 있는 위생구역을 설정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농가형 분말식품 가공 시설은 원료창고, 가공실(원료전처 리, 추출, 건조 등), 분쇄 및 환제조실, 계량 및 충진실, 외포장실 및 사무실로 구성하고 위생구역을 설정 하였다. 분말 가공제품의 이물질 혼입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계량 및 충진실을 청결구역으로 설정하였고 충진과 내포장이 완료된 제품은 pass-box를 통하여 외포장실로 이송하여 출고되도록 하여 소규모 가공시설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 도록 설계하였다.
        7.
        201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n investigation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hygienic status of 33 high school foodservice systems in Yongin city by using hygiene management guide checklist, ATP bioluminescence assay and microbe inspection petrifilm (APC, coliform group, Staphylococcus aureus) of food utensils during use. The 22 hygiene management guide checklist items about facilities, personal hygiene, food control, distribution, washing and disinfection had good grade but there were some inadequate behaviors on observation. The inspection results showed their sanitary condition met the level B of the recommendation of Korea method, it means sanitary management system get settled but more practical CCP system was needed. ATP bioluminescence assay was conducted on surface of food facilities, ATP ranged 425~2,552 RLU on gloves, 541~70,251 RLU on apron, 1,596~88,490 RLU on working desk, 1,177~263,813 RLU on sterilizer grip, 715~32,814 RLU on sterilizer shelf, 114~619,725 RLU on refrigerator grip, 677~319,007 RLU on refrigerator shelf, 71~196,725 RLU on freezer grip, 1,535~233,375 RLU on freezer shelf. APC ranged 66.7±29.0 CFU on freezer grip, 102.1±35.9 CFU on refrigerator grip, 45.4±28.2 CFU on heating cabinet grip, 58.8±40.4 CFU on sterilizer grip, the number of coliform group ranged 5.6±4.9 CFU on freezer grip, 9.1±8.7 CFU on refrigerator grip, 1.2±1.1 CFU on heating cabinet grip, 4.5±4.4 CFU on sterilizer grip. S. aureus ranged 8.0±5.6, CFU on freezer grip, 12.2±9.6 CFU on refrigerator grip, 2.1±1.6 CFU on heating cabinet grip, 11.6±6.4 CFU on sterilizer grip.
        4,000원
        8.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위생적인 수확후처리를 통하여 안전한 농산물 생산을 유도하기 위하여 영양부추를 대상으로 수확후 처리시설 모델을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수확후 처리시설 설치와 위생교육이 미생물 안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양주지역 영양부추 생산 농가의 수확 후 처리시설 환경과 영양부추에서 위생지표세균(일반세균수, 대장균군, E. coli)과 병원성미생물(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spp., Staphylococcus aureus, Listeria monocytogenes, Bacillus cereus)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빗, 칼, 도마 등 수확후 처리시설에서 사용하는 작업도구의 일반세균수 오염수준은 수확후 처리시설 설치농가(A, B)에서 수확후 처리시설 비설치농가(C) 보다 1.44~2.33 log CFU / 100cm² 정도 낮았다. 특히 도마의 경우 A농가에서 1.00 log CFU / 100cm²이하, B 농가에서 2.23 logCFU / 100cm²인데 반해 C 농가에서는 6.03 log CFU / 100cm²로 농가간의 위생 상태에 따라 B. cereus의 오염수준이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또한 지하수에 침지 한 영양부추에서 침지 전 보다 대장균군이 0.57~1.89 log CFU/g이 증가하였다. E. coli는 영양부추, 침지한 후 지하수, 토양에서 검출되었으며, E. coli O157:H7, Salmonella spp., L. monocytogenes는 검출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소규모 수확 후 처리시설 설치와 위생교육을 통하여 농가 내 수확후처리 환경의 위생을 개선하는데 효과적이라 판단된다. 이와 더불어 유해미생물에 의한 식중독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서는 수확 후에 오염된 유해미생물을 저감화 할 수 있는 세척, 소독 기술의 개발과 도입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16.
        199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microbiological quality, and to assure the hygienic safety of the food production in the university foodservice facility located in Seoul in accordance with the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HACCP) concepts. In the hygienic state assessment of kitchen, it has revealed that it was very important to remove water from the kitchen floor and to establish standard method for disinfection of cooking utensils. And foodservice workers were required to have training program for the safe handling of food and utensils since they did treat food without hygienic gloves. The kitchen layout had to be improved because the near distance of table with heating unit and shelf might cause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when prepared food was kept on the shelf. In terms of the time-temperature measurement and microbiological quality assessment during each of the food production phases, most of sengchae (raw vegetable dish) and namul (cooked vegetable dish) were treated within danger zone for food safeness (5-60℃). It has shown that the microbiological quality of raw materials was very much inferior at the time of receiving based on the TPC(10^5-10^7), coliform(10³-10^6), which was not acceptable level(TPC:10^6, coliform:l0³) suggested by Solberg. Microbiological growth has increased in the both of sengchae and namul considerably during most of food production phase. Therefore, it is extremely important to reduce holding and serving time and to avoid treating food within the danger zone for food safeness. In addition, the prevention of cross-contamination during mixing the ingredients with improper equipments and with insanitary treatments by workers was also important to keep the food safety in this speciqic university foodservice facility.
        4,300원
        17.
        199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dentify potentially hazardous factors which can contribute to the outbreak of foodborne disease and to represent more practical management methods in terms of environmental sanitation and facilities for the kitchen. 230 Korean-style restaurants in Seoul were assessed and analyzed by the restaurant total area. Facilities and sanitary check-lists were developed to evaluate the facilities and sanitary conditions of sampled restaurants. The sanitary condition of kitchen, guest room and other area were assessed by the sanitary score. The basic cooking machinery and utensil were properly facilitated but automation machinery were equiped below 10% sampled restaurants. The kitchen area were not properly sufficient to total area. Sanitary condition of kitchen, guest room, cooking appliance and stored foods were evaluated as the unsatisfactory state with potentially hazardous. Concrete guidelines should be made in terms of following item; establishment for the kitchen space expansion, facilities for the improvement of the working environment and sanitary condition of foods cooked. Additionaly, it need to practice the effective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for the foodservice manager and employees.
        4,000원
        18.
        199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potentially hazardous factors which can contribute to the outbreak of food borne disease and present more practical management methods in terms of sanitary management of cooking equipment and personal hygiene. 230 Korean-style restaurants in Seoul were surveyed in the same manner on the published study-A study for the Improvement of Sanitary Condition in Korean style-restaurant in Seoul city area (I). Sanitary check-lists were developed to evaluate the sanitary status of cooking equipment and personal hygiene of employee. The sanitary condition of cooking equipment the maintenance of refrigeration, food habits and personal hygiene were assessed by the sanitary score. The sanitary condition of cooking equipment, the maintenance of refrigeration as well as food habits and personal hygiene employee was in good condition. The effective sanitation education and training for good service workers should be practice for the improvement of sanitary management of cooking equipment and personal hygiene.
        4,000원
        19.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서울역사박물관,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서울시립북서울미술관, 노원문화예술회관을 대상으로 유니버설디자인의 적용여부를 접근성에 한정하여 연구하였다. 접근성은 외부에서의 접근성과 내부의 위생시설에 대한 접근성으로 나누어 실사 분석하였다. 노원문화예술회관을 제외하고 모든 연구대상의 기관이 평지에 건축되어 계단 없이 접근성이 양호하게 조사되었다. 위생시설의 경우는 서울역사 박물관의 대변기 높이가 400~450mm보다 높은 560mm로 되어 있어 유니버설 디자인의 기준을 초과하였다. 대한민국 역사박물관의 경우는 화장실 출입문의 폭이 670mm로 유니버설디자인 최저 기준인 760mm를 충족치 못하여 휠체어의 출입이 불가하다. 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의 경우는 화장실의 거울의 세로 길이가 280mm로 유니버설디자인 기준 650mm 이상에 절반정도의 크기로 부적합하며, 노원문화예술회관의 경우는 변기의 높이가 10mm 낮아 불편함을 초래한다. 그러나 최근에는 문화시설들도 유니버설디자인의 기준을 적용함을 알 수 있었다. 모든 계층의 사람들이 평등하고 편안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유니버설 디자인의 기준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여서 불편 없이 활용되어야하고 문화생활의 생활화에 발맞추어 찾고 싶은 문화공간과 시설이 되기를 기대한다.
        20.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여행이나 방문하기 어려웠던 동유럽이 이제는 체제가 바뀌어 누구나 찾아가보고 싶은 국가로 손꼽힌다. 한 해에 1억여 명이 찾는다는 동유럽을 방문하여 호텔의 위생시설에 대한 유니버설디자인의 적용 여부를 조사하였다. 위생시설인 화장실의 출입구와 변기, 세면대와 거울, 샤워실 등의 크기와 높이 등을 실측하여 유니버설디자인의 조건을 대입시켜 적용여부를 판단하였다. 체코브르노, 폴란드, 슬로바키아, 헝가리, 오스트리아 비엔나 오스트리아 짤츠부르크, 체코 프라하 등 5개국 7개의 호텔을 대상으로 연구 분석하였다. 유니버설 디자인의 적용이 완벽한 곳은 한곳도 없었고 폴란드 메이저 호텔의 화장실 출입구만 유니버설디자인의 기준을 충족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나머지 호텔들은 휠체어의 출입자체가 불가능하고 체코 브르노 호텔이나 헝가리 부다페스트 호텔의 경우에는 화장실의 문턱 높이가 존재하여 최악의 조건을 드러내었다. 많은 문화유산을 간직한 동유럽은 세계의 보물로 인식하게 될 만큼 호텔의 위생시설을 유니버설 디자인의 기준을 적용하여 더 많은 세계인이 불편함 없이 찾는 국가가 되기를 기대한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