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황산염 및 알칼리계의 혼합 활성화제에 대한 고로슬래그미분말의 역학적 특성 KCI 등재

Mechanical Properties of Granulated Ground Blast Furnace Slag on Blended Activator of Sulfate and Alkali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640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초록

본 연구는 혼합 활성화제에 의한 알칼리 활성화 슬래그 시멘트(AASC)의 역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이다. 사용된 활성화제는 황산칼슘(CaSO4, 이하 CS), 황산나트륨(Na2SO4, 이하 SS) 및 수산화나트륨(NaOH)이다. 황산염은 슬래그 중량의 2.5, 5.0, 7.5 및 10.0%로 치환하여 사용하였으며, NaOH는 2M 및 4M 농도의 수용액으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황산염(CS 및 SS) 치환율에 따른 배합(4가지 배합)과 2M 및 4M의 각각의 NaOH 수용액에 치환된 황산염을 혼합하여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시험체는 총 24가지의 배합에 따라 페이스트로 제작되었으며, 물-결합재 비는 0.5로 하였다. 경화된 시험체에 대해서 압축강도, 휨강도, 초음파속도(UPV), 흡수율 및 XRD 분석을 수행하였다. CS의 활성화제를 사용한 경우는 7.5% CS 치환율, 2M NaOH 수용액+ 5.0% CS 치환율 및 4M NaOH 수용액+ 5.0% CS 치환율의 시험체에서 최고의 압축강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SS의 활성화제를 사용한 경우는 10.0% SS 치환율, 2M NaOH + 7.5% SS 치환율 및 4M NaOH + 2.5% SS 치환율에서 최고의 압축강도 발현을 나타내었다. 휨강도, UPV 및 흡수율은 압축강도 발현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XRD 분석결과 시험체 내에 생성된 반응물질은 ettringite, CSH 및 실리케이트계 수화물인 것으로 나타났다. AASC에서 황산염과 NaOH의 혼합 사용은 황산염의 단독 사용의 경우와 비교하여 일정 수준의 농도 범위에서 강도를 향상시키고 조직을 치밀화 시키는 등의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shows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alkali-activated slag cement (AASC) synthesized using sulfate with NaOH solution. The used sulfates were calcium sulfate (CaSO4, denoted CS) and sodium sulfate (Na2SO4, denoted SS). The replacement ratio of sulfates was 2.5, 5.0, 7.5 and 10.0% by weight of slag. NaOH solution of 2M and 4M concentration was used. A sample was activated with sulfate and activated with blended activator (blending NaOH solution with sulfate) respectively. 24 mix ratios were used and the water-binder weight ratio for the test was set 0.5. This research carried out the compressive strength, flexural strength, ultrasonic pulse velocity (UPV), absorption and X-ray diffraction (XRD). In the case of samples with CS, sample with 7.5% CS, sample with 2M NaOH+5.0% CS and sample with 4M NaOH+5.0% CS showed the good performance in the strength development. In the case of samples with SS, sample with 10.0% SS, sample with 2M NaOH+7.5% SS and sample with 4M NaOH+2.5% SS obtained good performance in strength. The results of UPV and water absorption showed a similar tendency to the strength properties. The XRD analysis of samples indicated that the hydration products formed in samples were ettringite, CSH and silicate phases. In this study, it is indicated that when compared to the use of sulfate only, the use of both sulfate and NaOH solution makes mechanical properties of AASC better.

저자
  • 김태완(정회원, 부산대학교 녹색국토물관리연구소 전임연구원) | Tae-Wan Kim
  • 전유빈(정회원, 울산과학기술대학교 도시환경공학부 연구조교수) | Yubin Jun 교신저자
  • 엄장섭(정회원, ㈜내일기술단 부설연구소 연구소장) | Jang-Sub E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