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야생 및 재배 참취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성 KCI 등재 SCOPUS

Antioxidant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of Aster scaber grown in wild and culture fiel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647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The Korean Society of Food Preservation)
초록

본 연구는 산지에 자생하는 참취와 밭에서 재배하는 참취의 품질과 기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물질 및 항산화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참취의 에탄올 추출물의 수율은 블랜칭 건조한 시료에서 높았고, 폴리페놀 함량은 야생 및 재배 블랜칭 건조한 시료에서 각각 35.59, 26.83 mg/g으로 야생 조에서 높은 함량을 보였다. 전자공여능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모든 군에서 활성이 증가했고 블랜칭 건조가 가장 높은 전자공여능을 보였다. SOD 유사활성능은 야생 참취는 생채에서 높은 활성을 보였고, 재배 참취는 블랜칭 건조에서 높았다. 아질산염 소거능 pH 1.2에서는 생채와 재배 추출물의 농도가 높을수록 높은 소거능을 보였고, 재배보다 생채 참취 추출물이 더 높았다. Xanthine oxidase 저해효과, tyrosinase 저해효과 측정 결과에서는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저해효과가 높았으며 야생 참취에서 높은 저해활성을 보였다. 환원력은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환원력은 증가함을 보였고 블랜칭 건조가 높은 환원력을 보였으며 야생 참취 추출물에서 높은 환원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참취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은 재배 참취의 추출물에 비해 야생 참취의 추출물에서 높았다. 참취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은 생채 및 블랜칭 건조 참취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이 자연건조 참취 추출물에 비해 전반적으로 높았다. 따라서 참취는 영양성과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여 항산화 및 노화 예방에 우수한 식품이며, 참취를 이용한 다양한 가공식품의 개발은 국민 건강과 더불어 참취의 소비확대 및 부가가치 창출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functionality of ethanol extract of Aster scaber by analyzing anti-oxidant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which was grown in wild and culture field. The yields of Aster scaber ethanol extracts were high after blanching treatment. The polyphenol content of dried Aster scaber grown in wild was 35.59 mg/g, which was higher than that of Aster scaber grown in culture field. The electron donating ability in all Aster scaber extracts were increased with increase in extract concentration, and the electron donating ability was the highest in extracts of the dried Aster scaber after blanching. The SOD-like activity of Aster scaber was the highest in its extract grown in wild field. In addition, the SOD-like activities of extracts of the dired Aster scaber after blanching were highest among the extracts of cultivated Aster scaber. The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extracts was increased at pH 1.2, and those was the highest in wild fresh Aster scaber. The inhibition effects on xanthine oxidase and tyrosinase were increased with increase in extract concentration, and the inhibition effects of extracts of Aster scaber in wild field were higher than those grown in culture field. Therefore, the consumption of Aster scaber would provide beneficiary effects due to its antioxidant activities and prevention of aging. The development of various processed food using Aster scaber will promote the consumption and its values.

저자
  • 김규민(대구한의대학교 한방식품조리영양학부) | Guy-Min Kim
  • 홍주연(대구한의대학교 한방식품조리영양학부) | Ju-Yeon Hong
  • 우숙이(대구한의대학교 한방식품조리영양학부) | Sook-Yi Woo
  • 이현석(대구한의대학교 한방식품조리영양학부) | Hyun-Suk Lee
  • 최영준(대구공업대학교 호텔외식조리계열) | Young-Jun Choi
  • 신승렬(대구한의대학교 한방식품조리영양학부) | Seung-Ryeul Shin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