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9

        6.
        2017.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antioxidant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water and 70% ethanol extracts from Ligularia fischeri by extraction methods. The yield of water and ethanol extracts from Ligularia fischeri was 15.23% and 17.45%, respectively. The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of ethanol extracts of Ligularia fischeri (LEE) were 17.17±4.38 mg/g, 35.06±6.69 mg/g, respectively. The electron donating ability and SOD like activity, and ABTS radical ability of all Ligularia fischeri extracts were increased in a dose dependent manner, and those was the highest in LEE. Nitrite scavenging ability was higher in pH 1.2 than that in pH 3.0, and ethanol extract showed higher ability in pH 1.2 and 3.0. The xanthine oxidase and inhibition effect of all Ligularia fischeri extracts on tyrosinase were dose-dependently increased, and those was the highest in ethanol extracts of Ligularia fischeri. Reducing power was 1.2 at extract concentration 1,000 μg/mL in 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Ligularia fischeri and the highest in water extract of Ligularia fischeri at concentration of 62.5-500 μg/mL. These results may contribute to development of processed food and health functional food with Ligularia fischeri.
        7.
        2017.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variation in the quality of the yellow paprika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the yellow paprika and to use the basic materials for the development of various processed foods. The moisture content of dried paprika was 11.19% on the freeze-drying paprika (FD), and the amount of water was increased by 18.19% on the 15th day of the storage cycle. The pH has been significantly changed depending on the length of the storage period, and the sugar content in FD. The acidity contents was increased during storage in all dried paprikas showed the highest acidity, but hot air-drying paprika(HAD) was lowest in the acidity. The L value was decreased during storage period from the paprika outside and inside. The a value was not significantly dependent on the length of storage period from paprika outside and inside, and the b value increased the during storage period from paprika outside and inside. The texture of strongness, hardness, chewiness, and brittleness were decreased during storage period from all drying paprika except for FD, showing the increasing trend in cohesiveness, springiness, chewiness, and brittleness. The total aerobes changes was the lowest in HAD.
        8.
        2016.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study was to evaluate quality,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acorn Sulgidduk by addition of acorn powder. Acorn Sulgidduk was processed rice powder which added 0, 5, 10, 15, and 20% of acorn powder. The moisture, crude lipid, and crude ash contents of Sulgidduk added with acorn powder was increased by addition amount of acorn powder, but carbohydrate and crude protein contents were decreased. By addition amount of acorn powder, soluble protein content of Sulgidduk were increased, but reducing sugar content were decreased. The L values of Sulgidduk were decreased by addition amount of acorn powder, but increased the a and b values. The hardness, adhesiveness, cohesiveness, springness and chewiness were decreased by addition amount of acorn powder. The sensory test of Sulgidduk added 10% of acorn powder showed the best score in overall preference.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Sulgidduk added 10% of acorn powder could be applied for produce of acorn Sulgidduk.
        9.
        2016.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도토리를 이용하여 도토리 차의 제조방법을 개발하고 개발된 도토리 차의 이화학적 및 품질특성을 평가하였다. 도토리 차는 네 가지 제조방법으로 제조하여 그 특서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제조방법을 달리한 도토리 차의 일반 성분을 분석한 결과 수분함량은 13.48~39.77%로 볶은 도토 리 차(RAT)에서 가장 낮았고, 3회 증제한 도토리 차(TSAT) 에서 수분함량이 가장 높았다. 탄수화물 및 조지방, 조회분 함량은 볶은 도토리 차(RAT)에서 가장 높았고, 조단백질 함량은 도토리(NA)에서 가장 높았다. 수용성 단백질 함량 은 도토리 보다 증제하거나 볶은 도토리 차에서 높았고, 3회 증제한 도토리 차(TSAT)에서 12.74 mg/g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환원당 함량 결과 도토리(NA)에서 64.3 mg/g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색도 측정 결과 L값은 도토리(NA)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도토리를 증제하 거나 볶음에 따라 L값은 감소함을 보였고, a, b값은 도토리 (NA)에서 높았다.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3회 증제한 도토리 차(TSAT)에서 각 41.15 mg/g, 2.78 mg/g 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관능검사 결과 색은 볶은 도토리 차(RAT)에서 가장 높게 평가되었고, 맛과 향은 3회 증제한 도토리 차(TSAT)에서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 떫은 맛은 도토리(NA)에서 가장 떫고, 볶은 도토리 차(RAT)에서 떫은 정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전반적인 기호 도에서는 3회 증제한 도토리 차(TSAT)에서 5.42로 가장 높게 평가되었으며, OSAT, RAT, NA순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본 실험의 결과를 바탕으로 도토리를 이용한 도토리 차의 제조방법을 확립하고 도토리 차의 이화학적 및 품질특 성을 통하여 다양한 식품소재 및 식품개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10.
        2015.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Metaplexis japonica by using hot-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its leaf and stem. Yields of hot-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M. japonica leaf were high at 6.89 and 6.23%, respectively. The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in ethanol extracts of M. japonica leaf (ALEE) were high (86.96 and 60.73 mg/g, respectively). The electron-donating ability of all M. japonica extracts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extract concentration, with the highest electron-donating ability of 36.20~68.19% shown by hot-water extracts of M. japonica leaf (ALWE). The superoxide dismutase (SOD)-like activities of ALWE and ALEE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extract concentration. The nitrite-scavenging ability of the extracts was the highest at pH 1.2 and that of ALWE was higher than that of ALEE. The reducing power of 62.5 μg/mL ALEE was 0.09 and that of 1,000 μg/mL ALWE was 0.44. The inhibitory effect of an ethanol extract of M. japonica stem (ASEE) on tyrosinase was 13.81% at a concentration of 62.5 μg/mL and that of 1,000 μg/mL ALEE was 57.04%.
        11.
        2015.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산지에 자생하는 참취와 밭에서 재배하는 참취의 품질과 기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물질 및 항산화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참취의 에탄올 추출물의 수율은 블랜칭 건조한 시료에서 높았고, 폴리페놀 함량은 야생 및 재배 블랜칭 건조한 시료에서 각각 35.59, 26.83 mg/g으로 야생 조에서 높은 함량을 보였다. 전자공여능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모든 군에서 활성이 증가했고 블랜칭 건조가 가장 높은 전자공여능을 보였다. SOD 유사활성능은 야생 참취는 생채에서 높은 활성을 보였고, 재배 참취는 블랜칭 건조에서 높았다. 아질산염 소거능 pH 1.2에서는 생채와 재배 추출물의 농도가 높을수록 높은 소거능을 보였고, 재배보다 생채 참취 추출물이 더 높았다. Xanthine oxidase 저해효과, tyrosinase 저해효과 측정 결과에서는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저해효과가 높았으며 야생 참취에서 높은 저해활성을 보였다. 환원력은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환원력은 증가함을 보였고 블랜칭 건조가 높은 환원력을 보였으며 야생 참취 추출물에서 높은 환원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참취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은 재배 참취의 추출물에 비해 야생 참취의 추출물에서 높았다. 참취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은 생채 및 블랜칭 건조 참취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이 자연건조 참취 추출물에 비해 전반적으로 높았다. 따라서 참취는 영양성과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여 항산화 및 노화 예방에 우수한 식품이며, 참취를 이용한 다양한 가공식품의 개발은 국민 건강과 더불어 참취의 소비확대 및 부가가치 창출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2.
        2015.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참취를 이용한 가공식품의 개발을 위하여 참취 착즙액 및 참취 분말을 첨가한 참취 국수의 개발과 더불어 이들 첨가량에 따른 수분함량, 재흡수률, 색도, 물성 등 이화학적 특성과 조리국수의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참취 국수의 품질특성 결과, 참취 국수의 조리 후 중량은 대조군과 착즙액을 첨가한 국수에서 높았고, 수분흡수율은 참취 첨가량이 많을수록 낮게 나타났다. 참취 국수의 생면과 조리면의 색도 측정 결과 L값은 참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했고, a값은 모두 음의 값을, b값은 모두 양의 값을 보여 녹황색임을 의미하였다. 참취 국수 생면의 pH는 대조군 및 분말 첨가 국수에서 pH 5~6을 보였으며, 착즙액을 첨가한 국수에서는 보다 낮은 pH값을 보였다. 참취 국수 생면의 물성 측정 결과 탄력성은 참취의 첨가량이 적을수록 높았고, 응집성은 대조군에서 가장 높았으며, 씹힘성은 참취 분말을 첨가한 국수에서 높았다. 참취 국수 조리면의 관능 평가는 대조군에 비해 참취 착즙액과 분말첨가 국수의 기호도가 비교적 높았으며, 특히 참취 착즙액을 첨가한 국수가 분말첨가 국수보다 기호도가 더 높았다. 따라서 참취 착즙액과 분말을 첨가한 참취 국수는 대조군에 비해 기호성 등이 우수하였으며, 참취를 이용한 다양한 가공식품의 개발은 국민 건강과 더불어 참취의 소비확대 및 부가가치 창출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3.
        2015.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당뇨병의 예방과 관리에 대한 청국장과 블랙푸드의 효과를 평가하고자 대두청국장, 약콩청국장 그리고 블랙푸드를 첨가한 약콩청국장 분말을 식이에 첨가하여 STZ로 유도된 당뇨쥐에게 7주간 급여한 후 지질과산화물 함량, 항산화 효소 및 항산화 영양소 상태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당뇨로 인하여 혈청과 간조직 내 증가된 지질과산화물 함량은 대두 및 블랙푸드가 첨가된 약콩청국장 공급군에서 p<0.05 수준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 항산화 효소 중에서 당뇨 유도로 혈청 내 catalase 활성은 변화 없었으나 SOD 활성은 감소되었으며, 이때 약콩청국장의 공급으로 SOD 활성이 유도되었다. 항산화 영양소 중에서 혈청 내 retinol 함량은 당뇨 유도로 낮아졌지만 약콩청국장의 공급으로 7.5배 가량의 증가 현상을 보였고,간 조직 내 retinol과 α-tocopherol 함량은 세종류의 청국장의공급으로 높일수 있었다. 당뇨 유도로 낮아진 간 조직 내의 GSH/GSSG와 비장 조직의 anthocyanin 함량은 약콩청국장,그리고 혈청 내 총 항산화능은 블랙푸드 청국장의 공급으로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당뇨병이 유발되었을 때 산화적 스트레스 지표인 지질과산화물 함량은 증가된 반면에, 항산화 효소인 catalase 및 SOD 활성과 항산화 영양소인 retinol, α-tocopherol, GSH/GSSG, TAC 및 anthocyanin 함량이 낮아졌다. 그러나 세종류의 청국장이 당뇨쥐의 산화적 스트레스 반응과 항산화 영양소 상태에 긍정적인 반응효과를 보였다. 이를 기반으로 향후 당뇨병의 예방과 관리를 위한 건강 기능성 식품으로서 청국장 및 블랙푸드의활용 방안에 대한 좀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14.
        2015.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진단방사선 분야에서는 진단 최적화를 위하여 자동노출제어장치의 활용이 국제적으로 권고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상용화된 광도전체 센서는 제작 공정의 복잡하고 장시간 방사선에 노출될 경우 다양한 성능 저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X-ray 흡수율이 높으면서도 제작이 용이한 장점을 가진 광도전체 기반 센서의 AEC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실험결과, SNR 증가를 통하여 우수한 검출 효율을 가지는 센서의 제작가능성을 확인하였고, 정확한 턴-오프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잠상 영상 및 투과율 실험 결과, 광도전체에 의한 Ghost effect가 나타나지 않음을 확인하였으며, PbO를 제외한 광도전체의 경우 80% - 90%의 우수한 투과율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상용화된 기존 상품에 대비하여 도핑농도 변화에 따른 성능 저하 및 기계적 안정성이 뛰어나며 제작이 용이한 광도전체 기반의 센서는 AEC 센서로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15.
        2014.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대두와 쥐눈이콩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을 평가함으로서 기능성 식품소재 개발로 활용하고자 한다. 대두와 쥐눈이콩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수율은 대두 추출물에서 높았으며, 열수 추출물이 에탄올 추출물보다 수율이 높았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쥐눈이콩 에탄올 추출물에서 26.22 mg/g으로 가장 높았고,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쥐눈이콩 열수 추출물에서 30.52 mg/g으로 가장 높았다. 전자공여능은 대두와 쥐눈이콩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에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자공여능은 증가하였으며, 낮은 농도에서 전체적으로 쥐눈이콩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이 높았다. SOD 유사활성능은 대두와 쥐눈이콩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에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SOD 유사활성능은 증가하였으며, 대체적으로 쥐눈이콩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에서 높았고, 10mg/mL 농도에서 쥐눈이콩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은 각각 73%, 62%이상의 SOD 유사활성능을 보였다. pH 1.2에서의 아질산염 소거능은 대두 열수 추출물 10 mg/mL 농도에서 47.60%의 소거능을 보였다.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은 각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낮은 농도에서는 쥐눈이콩 에탄올 추출물에서 저해활성이 높았고, 5 mg/mL 이상의 농도에서는 대두 열수 추출물에서 저해활성이 높았다. Tyrosinase 저해활성은 대두 및 쥐눈이콩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높은 저해활성을 보였고, 10 mg/mL 농도에서 쥐눈이콩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은 각각 42.05%, 45.67%으로 다른 추출물에 비해 저해활성이 높았다. 환원력은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대두 추출물보다 쥐눈이콩 추출물에서 높은 환원력을 보였으며, 각 농도에서 쥐눈이콩 추출물이 대두 추출물보다 약 2배 이상의 높은 환원력을 보였다.
        16.
        2014.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인공 재배 산채의 생산량 및 산채의 가공제품의 개발의 증대함에 따라 야생 및 재배 참취의 품질 특성을 비교하고자 재배 및 야생 참취의 건조방법에 따른 항산화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참취의 열수 추출물의 수율은 야생참취에 비해 재배 참취에서 수율이 높았고, 블랜칭 건조추출물의 수율이 높았다. 야생 참취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재배 참취 추출물보다 높았으며, 건조방법에 따른 총 폴리페놀의 함량은 블랜칭 건조추출물에서 높았고, 플라보노이드의 경우에는 생채 추출물에서 높았다. 참취의 열수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블랜칭 건조의 열수 추출물에서 높은 전자공여능을 보였다. 참취 열수 추출물의 SOD 유사활성능은 추출물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증가하였으며, 생채 열수 추출물에서 다른 추출물에 비해 높았다. pH 1.2에서의 아질산염 소거능은 야생 및 재배의 생채, 블랜칭건조, 생채건조 열수 추출물 순으로 높았다.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은 열수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저해효과가 높았으며, 생채건조 추출물에서 가장 높았다. Tyrosinase 저해활성과 환원력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블랜칭 건조 열수 추출물에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참취의 재배 및 건조 방법에 따른 열수 추출물은 항산화성이 우수하여 천연 항산화 소재 및 기능성 식품소재로서의 활용 가능한 약용식물자원이며, 이를 활용한 가공산업 발전의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17.
        2013.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polyphenol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small-black-bean- Chungkukjang-added black food (SBCB) and soybean Chungkukjang (SC) extracts for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materials. The yields of the hot-water-and-ethanol SC extract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hot-water-only SC extracts, which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ethanol-only SC extracts. The total phenol contents of the hot-water-and-ethanol SBCB extract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extracts. The EDA values of the hot-water-and-ethanol SBCB extracts were higher in the 0.625~5.0 mL/mL extract concentration than those of the other extracts, and those of the SC extracts were high in the 10 mg/mL extract concentration. The SOD-like activities of the hot-water- and ethanol-only SC extract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extracts. The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the ethanol-only SC extracts was higher at pH 1.2 than that of the hot-water-only SC extracts. The xanthine oxidase inhibitory activities of the hot-water- and ethanol-only SBCB extracts were higher in the 0.625 mL/mL extract concentration than those of the other extracts, and increased along with the extract concentration. The inhibitory activities of tyrosinase also increased along with the extract concentration, and the reducing power increased along with the extract concentration and was high in the hot-water-only SBCB and SC extracts.
        18.
        2013.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he hot-water and methanol extracts of raw and black Doraji to increase its utilization. In order to prepare the black Doraji, it was steamed for 15 days at a temperature of 60℃ and then it was dried at a temperature of 30℃ for 3 hr. The methanol extract from the black Doraji (BM) contained the highest levels of total polyphenols among the extracts, and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of the extract from a black Doraji was higher than that of the extract from a raw Doraji. The total flavonoid contents of the hot-water extract from a black Doraji (BW) was the highest (7.94 mgQE/g) among the samples. The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increased according to the increase in the concentrations of the Doraji extracts. The BM has the highest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mong the extracts. Each extract showed a slight difference in the antibacterial activity according to the tested strains. The Black Doraji showed a higher antimicrobial activity compared to the raw Doraji. The hot-water extracts demonstrated higher activities than the methanol extracts, and the BW revealed the strongest activity. In this study, the black Doraji showed more effect of the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than the raw Doraji. These results will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improving the sitological value and the black Doraji can be used as a valuable resource for the development of nutraceutical foods.
        19.
        2012.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fermented black jujube and to compare these with those of dried jujube, for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materials.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dried jujube and fermented black jujube extracts were analyzed by electron-donating ability (EDA) using 1,1-diphenyl-2-picryl hydrazyl (DPPH), superoxide-dismutase-(SOD)-like activity by pyrogallol, nitrite-scavenging ability, and xanthin oxidase. The yield of the fermented black jujube extract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dried jujube extracts, and that of the ethanol extract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hot-water extracts. The total phenol contents of the hot-water extracts from fermented black jujube were higher. The EDA values of the hot-water and ethanol extracts from fermented black jujube and dried jujube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extract concentration, and were about 85% in a 1000 ㎍/mL extract concentration. The SOD-like activity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extract concentration. The SOD-like activity of the hot-water extract from fermented black jujube was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extracts. The nitrite-scavenging ability at pH 1.2 of the hot-water extracts from dried jujube was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extracts. The xanthine oxidase inhibitory activities of the hot-water and ethanol extracts from fermented black jujube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extracts, and increased along with the concentrations of the extracts.
        20.
        2012.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nutritional components of fermented black jujube (FBJ) were compared with those of dried jujube (DJ) to improve their utilization as food materials. The moisture contents and brix of the DJ and FBJ were 22.6% and 6.07 brix, and 10.36% and 7.23 brix, respectively. Their L values were 34.78 and 31.82, and the a and b values of DJ were higher than those of FBJ. DJ had a lower water activity level (0.75) than FBJ (0.45), but FBJ had a higher amount of reducing sugar and soluble protein than DJ. The major free sugars in the two types of jujube were fructose and glucose, and their potassium content was highest (about 90%) among minerals. Their unsaturated fatty acid contents were 51.0% and 59.83%, respectively, and the major fatty acids myristoleic acid, palmitic acid, and palmitoleic aid were detected in them.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