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국내원맥 중 백중밀 및 조경밀의 함수율 9~30%(w.b.) 범위내에서의 물리적 특징 중 산물밀도, 동안 식각, 비중, 천립중, 장축길이, 단축길이, 두께 및 면적을 분석하여 함수율간의 상관관계를 구명함으로써 국내밀의 체계적인 수확 후 관리 중 정선, 선별, 이송, 저장 및 가공 공정에서의 설계공정 및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연구하였 다. 함수율 9~30%(w.b.) 범위내에서의 백중 및 조경밀의 산물밀도는 함수율이 증가할수록 서서히 감소하였으며, 백 중밀은 754 kg/m3에서 664 kg/m3로 감소하였고, 조경밀은 776.1 kg/m3에서 660.0 kg/m3로 감소하였다. 비중 또한 함수 율이 증가할수록 서서히 감소하였으며, 백중밀의 경우 1.2950에서 1.2265로 조경밀은 1.3379에서 1.2671로 측정되 었다. 반면에 천립중 및 동안식각은 함수율이 증가할수록 점차 증가하였으며, 동안식각은 함수율 20%(w.b.)이상부 터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 천립중은 백중밀보다 조경밀이 크게 측정되었으며 그 값은 32.26~41.51 g(백중밀) 및 45.30~63.07 g(조경밀)로 조경밀이 현저히 크게 측정되었 다. 함수율에 따른 장축길이, 단축길이, 두께 및 면적은 함수 율이 증가할수록 점차 증가하였다. 백중밀의 장축길이는 6.42 mm에서 7.20 mm로 조경밀은 8.71 mm에서 9.15 mm로 증가하였고, 단축길이 역시 2.90~3.49 mm(백중밀) 및 4.12~4.43 mm(조경밀)으로 증가하였으며, 두께 2.94~3.20 mm(백중밀) 및 3.29~3.63 mm(조경밀), 면적은 14.13~19.44 mm2(백중밀), 27.75~31.25 mm2(조경밀)로 각각 측정되었 다. 이로써 함수율에 따른 우리밀의 물리적 특징이 구명되 었으며, 이는 우리밀에 적합한 건조저장시설 및 수확 후 관리모델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hysical properties of wheat kernels were determined as a function of moisture content to optimize the design of equipment for post-harvest management. Several properties, including bulk density, dynamic repose angle, one thousand-kernel weight, specific gravity, length, width, thickness, and area of two wheat cultivars (Baekjjung: B and Jogyeong: J ), were studied in the moisture range from approximately 9% to 30% wet basis. As moisture increased, length increased linearly from 6.42 to 7.20 mm (B) and 8.71 to 9.15 mm (J), width increased from 2.90 to 3.49 mm (B) and 4.12 to 4.43 mm (J), thickness from 2.94 to 3.20 mm (B) and 3.29 to 3.63 mm (J), and area from 14.13 to 19.44 mm2 (B) and 27.75 to 31.25 mm2 (J). Additionally, the dynamic repose angle and one thousand-kernel weight increased linearly from 46.3° to 54.0° (B) and 46.3° to 54.5° (J) and from 32.26 to 41.51 g (B) and 45.30 to 63.07 g (J), respectively, as the moisture content increased. Based on the experimental measurements, only the bulk density and specific gravity decreased from 754.0 to 664.1 kgm-3 (B) and 776.1 to 660.0 kgm-3 (J) and from 1.2950 to 1.2265 (B) and 1.3379 to 1.2671 (J), respectively, as moisture content increa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