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Pichia anomala JK04와 Saccharomyces cerevisiae Fermivin의 혼합발효에 의한 감와인의 발효 특성 KCI 등재 SCOPUS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persimmon wine by the mixed culture of Pichia anomala JK04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Fermivin cell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913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The Korean Society of Food Preservation)
초록

본 연구에서는 와인제조에 있어 향미 증진과 같은 품질 향상에 도움이 된다고 알려진Pichia anomala JK04와 일반 적으로 와인 양조에 주로 이용되고 있는 Saccharomyces cerevisiae Fermivin을 혼합 발효하여 감와인의 발효 특성을 비교하였다. 감와인의 발효특성 결과 발효 종료 시 대부분 의 실험구에서 pH 4.0~4.2, 총산 0.5~0.6%를 나타내었다. 당도와 환원당 함량 변화는 발효가 진행될수록 점차 감소하 여 S. cerevisiae Fermivin 단독 발효구와 P. anomala JK04 혼합 첨가 발효구에서 발효 종료시점에서 대부분의 당이 소비되었다. 최종 알코올 함량은S. cerevisiae Fermivin 단독 발효구와S. cerevisiae Fermivin과P. anomala JK04의 혼합 첨가 발효구에서 알코올 생성이 빨랐으며 발효 종료 시 모든 구의 알코올 농도는 12~13%를 나타내었다. 각 첨가구 의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0.05 mg/mL 로 초기 페놀성 화합물 함량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감와인의 hue value는 발효 초기에 비해 증가하여 4~5의 값을 나타내었 고, intensity value는 발효초기 0.5의 값에서 점차 감소하여 발효 종료 시까지 0.1~0.2의 값을 유지하였으며 휘발성 향 기성분의 경우 P. anomala JK04의 첨가 비율이 높을수록 S. cerevisiae Fermivin 단독발효구 보다 다양한 알코올류, 에스테르류가 생성되었다. 관능검사 결과에서 향기와 맛의 평가에서P. anomala JK04를 첨가한 모든 혼합 발효구에서 S. cerevisiae Fermivin 단독발효구 보다 높은 점수를 얻었다.

Persimmon contains high levels of vitamins and phenolic compounds, as well as soluble solids, necessary for the fermentation of persimmon wine. Co-fermentation of persimmon wine was carried out using a mixed culture of Pichia anomala JK04, a Korean indigenous yeast that improves wine quality and flavor,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Fermivin, an industrial wine yeast, in the following ratios: 9:1 (v/v), 5:5 (v/v), 1:9 (v/v) and 0:10 (v/v). During fermentation, the alcohol contents increased more slowly in samples of mixed culture than in samples of the single culture of S. cerevisiae Fermivin. The alcohol contents of all samples reached 12~13% (v/v) after 15 days. All samples of the mixed culture showed greater variety in flavor and taste than S. cerevisiae Fermivin only. In the sensory evaluation, mixed culture samples had higher scores in terms of flavor and overall preference than the single culture samples. Therefore, P. anomala JK04 is thought to improve the wine flavor of Korean domestic persimmon wine.

목차
서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요약
감사의 글
References
저자
  • 권수진(경북대학교 식품공학부) | Soo-Jin Kwon
  • 최준수(경북대학교 식품공학부) | Jun-Su Choi
  • 여수환(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 Soo-Hwan Yeo
  • 박희동(경북대학교 식품공학부) | Heui-Dong Park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