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전라북도 지역의 산사태발생 특성분석 KCI 등재

Analysis of Landslide Characteristics in Jeonlabuk-do,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932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전라북도지역을 산사태 발생지 182개소를 대상지로 선정하여 강우의 특성 및 다양한 환경인자 별로 조 사하여 산사태발생 특성을 분석하였다. 전라북도 지역을 산사태 발생 수는 총 182개소였으며, 산사태 발생 평균면적은 1,859㎡, 평균 발생토사량은 4,418㎥, 평균 길이와 폭은 각각 139m와 13m로 나타났다. 산림환 경인자별 산사태 발생 빈도가 높은 인자는 사면경사도 21~30°, 북쪽사면, 해발 401m~500m 이상, 종단사면 (오목), 횡단사면 (오목), 침엽수, 화성암, 토심은 15cm이하, 하천차수는 1차, 사면위치 (산복), 산사태 유형 (선상), 임종 (인공림), 수고 11m~15m, 흉고직경 중경목(17cm이상)에서 산사태 발생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 었다. 전라북도 지역의 산사태 발생면적과 산림환경인자와의 상관을 분석한 결과는 횡단사면 (볼록), 사면 위치 (산정), 표고 (501이상), 임상 (침엽수), 모암 (퇴적암), 흉고직경 (17cm이상)과는 1% 수준 내에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경사 (31~40°), 모암 (화성암), 흉고직경 (6~16)에서 1% 수준 내에서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landslide characteristics and forest environment factors on the landslide area of Jeonlabuk-do province in korea.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total number of landslide occurrence was 182 areas. The average area of landslide scar was 1,859m 2 , average length of the landslides was 139m, average width was 13m. The landslides were highly occurred in igneous rock and coniferous. And also, slope gradient was 21~30°, aspect was NE, altitude was 401~500m, vertical and cross slope was concave (凹), stream order was 1 order, soil depth was 15m below, landslide type was linear, forest type was artificial. The relationship between landslide area and environmental factors w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cross slope (convex), position (upper), altitude (501m), forest type (coniferous), parent rock (sedimentary rock), D.B.H. (over 17cm), but was negative correlation with slope gradient (31~40°), parent rock (igneous rock), D.B.H. (6~16cm).

저자
  • 박종민(전북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Chong-Min Park
  • 마호섭(경상대학교 환경산림과학부(농업생명과학연구원)) | Ho-Seop Ma Corresponding author
  • 강원석(경상대학교 환경산림과학부(농업생명과학연구원)) | Won-Seok Kang
  • 오경원(전북대학교 대학원 임학과) | Kyeong-Won Oh
  • 박성학(전북대학교 대학원 임학과) | Seong-Hak Park
  • 이성재(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남부학술림) | Sung-Jae 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