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갈대 뿌리 추출물을 첨가한 로제 스파클링 와인 개발 KCI 등재

Development of Rose Sparkling Wine with Reed Root Extrac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933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식품영양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한국식품영양학회 (The Korean Society of Food and Nutrition)
초록

본 연구에서는 갈대 뿌리 추출물을 첨가한 베이스 와인을 제조하고, 이에 효모를 첨가한 스파클링 와인을 제조하였다. 발효 과정 중 베이스 와인의 pH는 발효 기간이 늘어날수록 두 군 모두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냈으며, 발효 14일차에는 각각 3.21과 3.23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으며(p>0.05), 산도는 두 군 모두 증가하였다. 당도는 발효 14일차 각각 7.33 °Brix, 6.90 °Brix로 첨가군이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알 코올 함량은 발효 14일차 대조군과 첨가군이 13.83%, 14.20% 로 첨가군이 높게 나타났다(p<0.05). 색도는 발효 1일차에는 두 군 모두 명도(lightness)가 높아졌는데, 효모의 첨가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발효 기간이 증가할수록 두 군 모두 낮아졌 다. 적색도(redness)와 황색도(yellowness)는 발효 14일차에는 첨가군이 높게 나타났다. 총 폴리페놀은 대조군과 첨가군이 각각 29.19 mg/100 mL, 34.97 mg/100 mL로 첨가군이 유의적 으로 높았으며(p<0.05), 발효가 진행되는 동안 큰 변화를 나 타내지는 않았다. 플라보노이드는 발효가 진행되는 동안 두 군 모두 감소하였다. ABTS 라디칼 소거활성 결과, 대조군과 첨가군은 각각 44.26%, 64.37%로 첨가군이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알코올 도수 14%의 로제 베이스 와인에 효모의 생육이 억제되어 발효가 일어나지 않아 갈대 뿌리 추 출물을 첨가하여 알코올 도수 8%로 낮춘 후 효모 5종을 접종 하였다. 스파클링 와인의 발효 기간 중 pH는 A군을 제외한 실험군들은 모두 발효 1일차부터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 으며, 산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당도는 실험군들 모두 감소하였으며, 알코올 함량은 다소 증가하였다. 병내 기압은 발효 8일차 A군 4.30 kgf/cm2, C군 3.58 kgf/cm2, B군 3.35 kgf/cm2, D군 3.27 kgf/cm2로 최종 기압이 측정되었다. 관능검 사 결과 향미(flavor), 부드러운 정도(softness), 전체적인 기호 도(overall acceptability) 모두 대조군(시중 판매 제품)이 각각 6.90, 7.13, 7.33으로 가장 높았으며,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실 험군들 모두 5.25~5.58로 평균 이상의 점수를 나타내었다. 이 상의 결과 갈대 뿌리 추출물을 첨가한 로제 스파클링 와인 제조 시 Saccharomyces cerevisiae Vitilevure Quartz가 가장 적 합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rose sparkling wine with reed root. To make the base wine with reed root extracts, we first blended wild grape wine with reed root extracts (1:9 v/v) and fermented the mixture for 14 days at 20℃. The pH of the control and the rose base wine with reed root extract (RWE) decreased with increasing fermentation time, but acidity showed the opposite behavior. The control and RWE had 7.33 °Brix, and 6.90 °Brix, respectively at 14 days, with higher sugar content in the control than in RWE. The alcohol content increased as the fermentation progressed and was higher in RWE than in the control at 14.20% and, 13.83%, respectively. Regarding the color, the lightness decreased as the fermentation progressed. The total polyphenol contents of the control and RWE were 29.19 mg/100 mL and, 34.97 mg/100 mL. The flavonoids decreased as the fermentation progressed. The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control and RWE were 44.26% and, 64.37% while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showed similar results in the control and RWE. In the second test, we added RWE to base wine, because yeast rearing was inhibited at 14% alcohol content. We made sparkling rose wine with 4 strains and fermented the wine for 8 days at 20℃. The pH of the samples decreased with increasing fermentation time, but the acidity showed the opposite behavior. The °Brix decreased and the alcohol content increased with increasing fermentation time. The pressure in sample A was 4.30 kgf/cm2 at 8 days which was the highest in the samples. In the sensory evaluation, the color, flavor, softness and overall acceptability of the control was higher than the other samples. In conclusion, Saccharomyces cerevisiae Vitilevure Quartz was overall the most suitable rose sparkling wine.

목차
서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요약
감사의 글
References
저자
  • 빙동주(순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Dong-Joo Bing
  • 김한진((주)갈대나라) | Han-Jin Kim
  • 이오석(영동대학교 와인발효식품학과) | Oh-Seuk Lee
  • 전순실(순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Soon-Sil Chun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