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모바일 미디어를 활용한 서울시 공공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인식 및 만족도 연구 KCI 등재

User awareness & satisfaction of mobile application for the public service of Seoul cit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0049
  • DOIhttps://doi.org/10.18555/kicpd.2015.43.9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Journal of Cultural Product & Design)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Korean Institute of Cultural Product Art & Design)
초록

공공 서비스의 공공 앱을 통해 넓게 분산된 시민들에게 다양하고 풍부한 공공 서비스를 고르게 제공할 수 있고, 시민들은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공공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공공 앱을 주요한 공공 서비스 전달 수단으로 인식 하고, 공공 앱의 내용과 기능을 파악함으로써 모바일 정부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현재 모바일에서 사용되고 있는 앱 45개를 토대로 서울시 공공 서비스 사례 분석을 통해 공공 서비스용 모바일 증강 현실 앱의 서비스 유형에는 4가지로 나눌 수 있으며, 정보, 커뮤니케이션, 엔터테인먼트, 안전으로 나눌 수 있었다. 안전한 스마 트 공공 서비스 환경 및 개인 정보 보호 등이 강화돼야 할 것이다. 이러한 공공서비스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모바일 공공 서비스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Various citizens distributed widely via public app for Public Service and may provide even the rich public service, in the sense that citizens can take advantage of public services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a public app a major public service delivery means to recognize, by identifying the content and functionality of the app to increase public understanding of the mobile government provides policy implications. Type of service of mobile augmented reality app for the Public Service over the Seoul public service on the basis of 45 case studies currently used in mobile app has divided into four, it could be classified as information, communication, entertainment and safety. Secure smart public services, including environmental and privacy will be should be strengthened. Presenting the problems of the public services, and to provide guidance for the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with the mobile public services.

목차
1. 서론
2. 공공 서비스 앱의 정의
3. 서울시 공공 서비스 모바일 앱 현황과 인식
조사
4. 연구 설계를 위한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의 검토
5. 만족도를 위한 설문지 가이드라인 연구
6. 결론 및 제시
참고문헌
저자
  • 김형석(경희 대학교 시각 디자인학과) | Kim, Hyeong-seok
  • 피종삼(경희 대학교 시각 디자인학과) | Pi, Jong s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