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동문재래시장 활성화를 위한 공공 디자인 연구 국내․외 재래시장 사례를 중심으로 KCI 등재

A study on Public Design for the Vitalization of Dongmun Traditional Markets: Focused on the case of Domestic and foreign Traditional Marke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0055
  • DOIhttps://doi.org/10.18555/kicpd.2015.43.2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Journal of Cultural Product & Design)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Korean Institute of Cultural Product Art & Design)
초록

우리나라의 재래시장은 산업화와 현대화 사업으로 인하여 재래시장 고유의 소통과 교환의 기능은 물론 그 지역의 사회, 정 치, 문화, 오락, 경제적 기능들마저도 모두 사라져 버렸다. 단지 시설의 현대화를 통하여 재래시장이 활성화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재래시장의 침체원인은 인구구조나 생활방식의 변화 등 복합적인 원인에 의한 것이기 때문에 단순히 편리성만을 강조하는 시설개선을 통한 현대화는 대형유통센터와의 차별성을 잃어버리는 또 하나의 원인이 되었다. 이에 반해 외국의 시장은 유명한 관광지의 기능을 함께 하는 곳이 많다. 재래시장을 통하여 그 사회의 문화와 사회적 관습을 익힐 수 있으며 생활풍습을 엿볼 수 있기 때문이다. 특색을 잃어버린 재래시장이 경쟁력을 갖기 위해서는 그 시장이 갖고 있는 고유한 특성을 유지시키는 것이 중요하며 이러 한 면에서 지역의 아이덴티티를 고려한 공공디자인 측면에서의 관련 연구가 의미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지금까지 노후화 된 시설과 환경 개선을 위주로 일률적인 아이덴티티 적용을 통한 재래시장의 개선방안을 제시했다면 본 연구를 통해 공공 디자인에서의 지역적 아이덴티티 구축을 위한 적용과 커뮤니티 디자인과의 상관성 고찰을 통해 지속 발전 가능한 재래시장 으로서의 의미를 재정립하는 충분한 동기부여를 할 수 있을 것이라 믿는다. 이러한 공간적 사례를 글로벌 명품시장으로 거 듭나기 위해 노력중인 제주 동문시장에서 찾아 공공 디자인적 대안을 제시하는 것으로 마무리 한다.

Traditional markets in Korea have not only lost their functions for communication and exchange, but also lost social, political, cultural, recreational, and economic functions due to the industrialization and modernization. Modernization of facilities would not vitalize traditional markets and the reason of the slump is due to complex reasons such as changes in population structure and lifestyle. That is why the modification of facilities only focusing on convenience became a reason that makes traditional markets loose characteristics differentiating them from large distribution centers. In contrast to this, there are a lot of traditional markets in foreign countries that act as a tourist attraction since people can take a look at the culture and social conventions of a country in a traditional market as well as customs. For traditional markets that have lost their distinctive characteristics to have competitive edges, it is important to maintain inherent qualities of traditional markets. In this regard, it seems that a study on public design considering local identity would be meaningful. If studies thus far have suggested ways to improve traditional markets by applying uniformed identity focusing on the improvement of old facilities and environment, this study would be able to give enough motivation to re-establish the meaning of traditional market capable of sustainable development by contemplating the application to build regional identity within the boundary of public design and correlation to community design. The author would like to find these spatial cases from Jeju Dongmun market that has been trying to be a global premium market and suggest alternatives in terms of public design.

목차
1. 서론
2. 재래시장의 이론적 배경
3. 재래시장의 활성화 사례연구
4. 공공디자인의 발전방향
5. 제주동문시장의 공공디자인 분석 및 방안
6. 결론
참고문헌
저자
  • 김경헌(제주대학교 멀티미디어전공 강사) | Kim, Gyung H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