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지리산권 지식인의 마음 공부 - 「神明舍圖銘」 관련 남명학파 문학작품에 나타난 재해석의 면모와 시대적 의미- KCI 등재

Mt. Jirisan Zone Intellectuals’ Study of the Mind - Reinterpretation and Contemporary Meaning Appeared in Nammyeong School Literary Works including 「Shinmyeongsadomyeo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0334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남명학연구 (The Nammyonghak Study)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The Nammyong Studies Institute)
초록

南冥 曺植(1501-1572)의 「神明舍圖銘」은 한 인물이 자신의 마음을 어떻게 수양하여 성인의 경지에 이를 수 있을까를 고민하고 이겨내는 과정을 다룬 것 으로, 그의 엄격한 수양론을 극명하게 드러내고 있다. 본고에서는 남명의 「신명 사도명」을 계승한 남명학파 학자들의 문학 작품 5편을 통시적으로 살펴봄으로 써, 지리산권 가운데 하나인 진주를 중심으로 형성되었던 남명학파의 마음 공 부를 이해하는 일단의 실마리로 삼았다. 대상으로는 삼은 작품은 龜巖 李楨의 「神明舍賦」, 東岡 金宇顒의 「天君傳」, 寒沙 姜大遂의 「神明舍記」, 台溪 河溍의 「神明舍記」, 俛宇 郭鍾錫의 「神明舍賦」 등이다. 이 5편의 문학 작품이 가지는 재해석의 면모와 시대적 의미를 고찰해 볼 때, 크게 두 가지 정도로 그 결론을 정리해 볼 수 있다. 첫째, 남명의 「신명도사명」을 각기 계승하되 그것이 함유하고 있는 의미와 중 요성을 저마다의 입지와 관점에서 조명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5편의 작품 들은 자신의 관점과 시대적 필요에 의거해 「신명사도명」의 핵심을 파악하는 해 석의 각도가 차이를 빚게 되었다. 따라서 부각시키려 한 중심 내용이 달라질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둘째, 남명학파의 계보상에서 저자들을 구분해 볼 때, 그들의 작품이 가지는 의의를 남명학파의 시대적 상황과 연관시켜 가늠해 보게 된다. 구암과 동강의 작품은 ‘남명학의 계승과 전파’라는 측면에서 그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한사와 태계의 작품은 인조 반정 직후 남명학파의 명맥이 끊어질 위기에 봉착하여 ‘학 맥의 수호’라는 관점에서 해석해 볼 수 있다. 면우의 작품은 외세의 침략과 국 가의 존망이 위태로운 시기에 유학적 마음 수양의 指南으로서 ‘남명의 심학을 천양’한 것이라고 규정해 볼 수 있다.

Nammyeong Jo Sik (1501-1572)’s 「Shinmyeongsadomyeong」 shows one’s worrying and overcoming process in building up his moral character and reaching the saintly state and clearly reveals ‘Strict Discipline’. You can find five literary works of Nammyeong School Scholars succeeding to Nammyeong’s 「Shinmyeongsadomyeong」, and you can have an opportunity to learn ‘Study of the Mind of Nammyeong School’ formed around Jinju, one of Mt. Jirisan areas. The works are Guam Lee Jeong’s 「Shinmyeongsabu」, Donggang Kim Woo Ong’s 「Cheongunjeon」, Hansa Gang Dae Soo’s 「Shinmyeongsagi」, Taegye Ha Jin’s 「Shinmyeongsagi」 and Myeonwoo Gwak Jong Seok’s 「Shinmyeongsabu」. You can induce two main conclusions after consideration of reinterpretation and contemporary meaning that these five works have. Firstly, they succeed to Nammyeong’s 「Shinmyeongsadomyeong」 and illuminate their meaning and importance from each one’s position and perspective. The five works have different analytical methods of identifying key factors of 「Shinmyeongsadomyeong」 according to each one’s perspective and contemporary needs. Accordingly, central ideas that you try to highlight shall be different. Secondly, when you see some of the authors from the genealogy of Nammyeong School, you will recognize the significance of their works in association with the contemporary situation of Nammyeong School. You will discover the meaning of the pieces of Guam and Donggang in terms of ‘Inheritance and Propagation of Nammyeong School’. You can identify the pieces of Hansa and Taegye in terms of ‘Protection of School Ties’ at a crisis of Nammyeong School immediately after Injo rebellion against Gwanghaegun. Myeonwoo works show ‘How to spread the Study of the Mind of Nammyeong’ as a Confucian Mind Discipline at a moment of foreign invasion or at a national crisis.

목차
Ⅰ. 머리말
Ⅱ. 「神明舍圖銘」 관련 문학작품의 분석과 그 의미
1. 龜巖 李楨의 「神明舍賦」
2. 東岡 金宇顒의 「天君傳」
3. 寒沙 姜大遂의 「神明舍記」
4. 台溪 河溍의 「神明舍記」
5. 俛宇 郭鍾錫의 「神明舍賦」
Ⅲ. 맺음말
저자
  • 全丙哲(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HK연구교수, 남명학연구소 책임연구원) | 전병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