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淸凉志』를 통해 본 退溪 李滉과 淸凉山 KCI 등재

『청량지』를 통해 본 퇴계 이황과 청량산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0362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남명학연구 (The Nammyonghak Study)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The Nammyong Studies Institute)
초록

본고는 조선중기의 유학자 퇴계 이황과 청량산의 관계를 검토한 것이다. 산과 인간의 관련성을 사상적 측면에서 고찰하려는 목표 하에, 한국 유학을 대표할 수 있는 퇴계와 그가 평생토록 그리워하고 동경한 청량산에 주목하여 탐색하였 다. 본론에서 논의한 내용을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養氣는 ‘養生的 養氣’, ‘道德的 養氣’, ‘審美的 養氣’ 등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해 볼 수 있는데, 儒家가 산수자연에 대해 가지는 입장은 道德的 養氣와 밀접한 관 계가 있다. 유가의 도덕적 양기론은 자연의 질서를 통찰함으로써 자신의 내면 에 존재하는 도덕성을 자각하며, 이 자각적 깨달음을 지속적으로 올바르게 유 지하여 내면의 기운을 자연과 같이 생명력이 넘치면서도 질서로운 상태로 만들 어 가는 것이다. 공자의 ‘樂山樂水’와 맹자의 ‘浩然之氣’에 보이는 이와 같은 도 덕적 양기론의 면모는 송대 성리학자들에 의해 더욱 심화되고 체계화되는 단계 로 나아간 것이라고 할 수 있다. 楊恒叔의 󰡔무이지󰡕는 퇴계를 비롯한 조선 중기의 유학자들에게 큰 영향을 끼 쳤는데, 현재 중국에서는 일실되었으며, 寒岡 鄭逑가 이를 대본으로 삼아 개편 한 󰡔무이지󰡕(1~2권, 1책)가 우리나라에 남아 전한다. 󰡔무이지󰡕는 우리나라 山 志의 전범이 되었으며, 특히 󰡔淸凉志󰡕는 이 책을 전범으로 삼아 저술되었다. 󰡔청량지󰡕는 무이산이 주자로 인해 주자학파의 학자들에 의해 聖山으로 존숭 되는 것처럼, 퇴계학파의 학자들이 청량산을 退溪와 관련된 聖山으로 확립하여 聖域化하려고 노력한 결과물이라 볼 수 있다. 자연과 인간이 어울려 그 자연환 경에 조응하는 새로운 인문경관을 창조하게 되는데, 󰡔청량지󰡕는 청량산과 퇴계 학파가 빚어낸 인문경관을 구체적으로 살필 수 있는 저술이다. 퇴계의 시문에 형상화된 청량산의 이미지는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 정신적 고향으로서 늘 그리움의 대상이 되는 산이다. 둘째, 세상의 번잡함과 구별된 곳으로서 심신을 맑게 정화해 주는 산이다. 셋째, 조용히 학문 에 힘을 쏟을 수 있는 강학처로서 성현을 배우려는 마음을 분발시켜 주는 산이 다. 그리고 이와 같은 청량산의 이미지는 퇴계가 표현한 단어 또는 내용적 의미 로써 요약하여 吾家山・仙山・聖山이라는 말로 구분지어 볼 수 있다.

本论文主要探讨朝鲜中期儒学家退溪李滉与清凉山之间的关系,从思想史 的角度来考察韩国儒学代表退溪和退溪终生怀念的清凉山的“人”与“山”之间 的关联性。本论文主要内容如下: “养气”可分为“养生的养气”、“道德的养气”、“审美的养气”。儒家对山水自 然的立场是和“道德的养气”有密切的关系。所谓儒家的“道德的养气论”是通过 洞穿自然秩序觉悟自己本身内在的道德性,持续维持觉悟状态而把自己的精神 像自然那样保持着生气勃勃。宋代性理学者把孔子的"乐山乐水”和孟子的“浩 然之气”等道德的养气论更加深化,发展到确立"道德的养气论"的体系化。 对退溪和其他朝鲜中期的儒学家影响的杨恒叔的《武夷志》现在在中国早 已丢失了,只在韩国传下寒冈郑逑以杨恒叔的《武夷志》为草稿改编的《武 夷志》(1~2卷,1册)。《武夷志》成为韩国山志的典型,《清凉志》也不 例外。 武夷山由于有和朱子的关系,使朱子学派的学者尊崇为圣山。《清凉志》是 退溪学派的学者把清凉山确立跟退溪有特定关系的圣山的结果而修纂出来的。 人与自然互相相应,从此创造具有独特意义的新的人文景观。通过《清凉志》 的理解能够具体考察清凉山与退溪学派的互相关系而形成的人文景观。 在退溪的诗文里的清凉山形象可分为三个类型:一、以精神上的故乡,成 为怀念的对象。二、与繁杂的人间区别,成为心神精华的地方。三、致力学 问的讲学所,用心学习圣贤的精神。 要退溪表现出的词汇与内容,清凉山形象可以区分为吾家山、仙山、圣山。

목차
Ⅰ. 서 론
Ⅱ. 山水와 儒家의 道德的 養氣論
Ⅲ. 󰡔淸凉志󰡕의 체재와 내용
1. 楊恒叔 󰡔武夷志󰡕의 수용과 鄭逑의 󰡔
武夷志󰡕 改編
2. 󰡔淸凉志󰡕의 체재와 특징
Ⅳ. 󰡔淸凉志󰡕 所載 退溪 李滉의 詩文과 淸
凉山 認識
1. 정신적 고향으로서의 吾家山
2. 탈속적 경계로서의 仙山
3. 구도적 강학처로서의 聖山
Ⅴ. 결 론
저자
  • 全丙哲(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HK연구교수) | 전병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