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mmyeong Jo Sik’s Viewpoint on Acceptance of Jeongju Learning (程朱學)
남명 조식의 정주학 수용양상 ― 이정과 관련하여, 학기유편을 중심으로―
논문은 남명 조식이 정주학을 수용한 양상이 어떠했는가를 밝히고자 하였다. 관련 자료의 제시를 통해 ‘고증’에 초점을 두었으며, 학기유편을 중요 자료로 이용하였다. 조식의 저술에서 朱子보다 二程이 중시되었던 점에 착안하였고, 남명학에서 ‘실천’이란 두 글자가 학문적 특성을 논하는 데 중요한 단어임에 주 목하였다. 실천을 중시하였던 남명학의 특성상 주자보다 이정이 중시되었을 것 이고, 특히 明道가 중시되었음은 조식의 학문연원과 관련하여 중요한 사실이라 하겠다. 이것은 조식이 공자와 周濂溪・程明道・주자 이 네 사람의 초상화를 그 리고 때때로 존경하고 사모하였다는 사실로도 증명된다. 결국 退溪 李滉이 伊 川과 주자를 잘 배운 학자라면 조식은 이정, 특히 명도의 사상을 잘 체득한 학 자라고 할 수 있다. 남명학에 내포된 莊子的 요소, 陽明學的 요소 등 정주학 이 외의 여러 요소는 명도의 사상을 매개로 할 때 제대로 이해될 수 있다고 본다.
This study is made to analyze how Nammyeong Jo Sik accepted Jeongju learning. This study is focused on ‘historical research’ by presenting relevant data, using Hakgiyupyeon as an important material. This study aimed at the fact that literature written by Josik valued Yi Jeong more than Ju Ja, and noticed that the word ‘doing’ was important in discussion of the academic features in Nammyeong learning. Considering the features of Nammyeong learning that valued ‘doing’, Yi Jeong would have been valued more than Chu tzu. Especially, it is an important fact that Myeong Do (明道) was valued regarding the root of Jo Sik’s learning. This is proved also from the fact that Jo Sik would draw portraits of the four men: Confucius, Ju Ryeom Gye (周濂溪)・Jeong Myeong Do (程明道)・Chu tzu to show his love and respect to them. As a result, Jo Sik was a scholar who was well enlightened of the idea of Yi Jeong, especially Myeong Do while Toigye Lee Hwang was a scholar who fully learned Yi Cheon and Ju Ja. Various elements other than Jeongju learning contained in Nammyeong learning such as Jang Ja style (莊子的) elements, Yangming learning style (陽明學的) elements and etc are thought to be fully understandable when the idea of Myeong Do is used as medi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