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16세기 遺逸의 山水認識과 文學的 表出樣相 KCI 등재

The Yu-il's Nature Recognition and The Expression Aspect in Their Literature in 16th Century

16세기 유일의 산수인식과 문학적 표출양상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045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남명학연구 (The Nammyonghak Study)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The Nammyong Studies Institute)
초록

遺逸은 16세기 조선조 사대부문학의 작자층 가운데에서 학덕이나 재능을 지 녀 朝官이 될 자질을 갖추고도 벼슬하지 않고 재야에 은거하는 未入仕者를 말 한다. 士禍라는 정치적 소용돌이 속에서 자신의 근거지로 은거한 이들은 현실 을 외면하지 않고 끊임없는 학문연구와 심성수양을 통해 온전한 인격을 추구하 였으며, 향촌을 교화하고 도학을 전파하는 등 경색된 현실에도 굴하지 않고 士 로서의 정체성 확립에 부단히 노력하였다. 그리하여 사회적 비중과 신망이 조 정에서 벼슬하는 관료보다 더 높아져, 조정에서는 이들을 예우하여 徵召하였다. 곧 遺逸은 출사하지 않으면서도 지방에서 백성의 신망이 두텁던 당대 碩儒들로 서, 우리 역사상 매우 특별한 의미를 갖는 시대적 산물이라 할 수 있다. 이들의 삶의 터전은 산수자연이었다. 그들은 자신의 은거지에 대한 애정이 남 달랐고, 은거지 주변의 명산과 절경을 유람하는 것으로 이를 표출하였다. 유람 에서 만나는 자연경물에 자신의 심정을 붙여 술회하였는데, 그들에게 있어 산 수자연은 ‘본래 그러한 것, 본래 그러한 모습으로 존재했던 것’으로만 인식되지 않았다. 특히 16세기 조선조는 성리학 연구의 심화가 이루어지던 시기이다. 이 들은 당대 최고의 지식인이자 성리학자였기 때문에, 그들에게 있어 산수자연은 당대의 不正한 현실을 인식하는 자신의 의식을 대변하는 것이었다. 특히 은거지 중심의 유람에서 표출되는 산수자연은 현실에서의 좌절을 수양으로 승화시키는 지식인의 의식세계를 그대로 표현한 것이다. 예컨대 현실을 외면할 수 없는 성리학자였던 만큼 자연경물을 통해 현실의 不 正 및 민생고에 대한 불만을 표출하였고, 역사유적지를 접하면 그 시대를 회고 하고 나아가 이를 바탕으로 현실을 반성하는 계기로 삼았다. 무엇보다 물러나 있지만 자아를 각성하고 심성수양에 진력했던 이들에게 산수자연은 士意識을 고취하는 매개로 작용하였다. 곧 당대 관료세계에 피동적으로 편입되기를 거부 하고 물러났던 조선조 士人의 의식을 산수자연으로 표출하였던 것이다.

Yu-il(遺逸) is a bunch of not appointed scholars although they have high level of scholarly attainments and virtue among local area noble writers in 16th century in Jo-seon(朝鮮) dynasty. They pursued the whole characters in each bases through never ending study and nature cultivation without looking away the ideal world under many purge of Confucian scholars so called 'Sa-hwa(士 禍)‘, and they paid attention to enlighten their local area. Moreover, they continued constant exertion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Confucianist which named 'Sa(士)'. Consequently, their social gravity and reputation was higher than government officials, the Royal Curt called them to the government for honorable treatment. So it can be Yu-il is one of peculiar result of Korean history. Their main ground was the nature that often to be said 'San-su(山 水)‘ because they loved their own hometown in a different way than others. So they often expressed this peculiar emotion to the famous mountain or beautiful landscapes with their works. However, they recognized that the topic of 'nature' is not only 'a nature which is by itself' but also 'a special object' by the method of expressing their own emotions such as the injustice politic world, because they were a highest level of scholars and Confucianists in 16th century of Jo-seon Dynasty which was advanced in learning. So it would be enough that nature was the best way to sublimate their frustration in a subject matter with works. They expressed the dissatisfaction upon injustice politics and people's economic difficulties and examined themselves with surveying the historical sites which contains famous mountains and waters as far as they were Confucainist who could not look away the other world. Most of all, the nature as the literary object was a great catalyzer to inspire the yu-il's awareness of ‘sa(士)’.

목차
Ⅰ. 序論
Ⅱ. 遺逸의 退處風潮와 山水認識
1. 朝鮮前期 退處風潮와 遺逸의 形成
2. 은거지에 대한 애정과 遊覽
3. 山水認識의 哲學的 基底
Ⅲ. 遺逸의 山水遊覽과 文學的 表出樣相
1. 民生苦에 대한 개탄과 時政批判
2. 歷史에 대한 回顧
3. 自我省察과 心性修養
Ⅳ. 結論 - 山水文學 主體로서의 意義를 겸하여 -
저자
  • 姜貞和(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학술연구교수, 남명학연구소 특별연구원) | 강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