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조선말기 󰡔名賢錄󰡕의 유행과 경상도 각읍 名賢家 KCI 등재

The Study on the Prevalence of the Records of Noted Confucianists in the Late Chosun Period and on the Prestigious Families in Gyungsang Provincial Towns.

조선말기 󰡔명현록󰡕의 유행과 경상도 각읍 명현가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046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남명학연구 (The Nammyonghak Study)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The Nammyong Studies Institute)
초록

이 글은 조선조 말엽 유행한 명현록에 나타나는 명현가의 전국적 현황과 도별 양상, 경상도 지역 명망 문중 및 그 현조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명현록은 처음 ‘道學’의 계보에 연결되는 인물을 수록하는 것에서 비롯되었으나, 점차 道學 뿐 만 아니라 忠節이나 여러 방면의 업적으로 현저한 국가적 공헌이 있는 인물로 수록 범위가 확대되고, 이후 각 성관별로 이를 정리, 수록하는 형태로 진전되었 다. 각 성관별 명현을 수록한 명현록은 뒷 시기로 가면서 명현 후손의 세거지와 사승 관계를 명시하는 것이 기록상 중요시 되고, 뒤이어 이를 경상도라는 일정 권역에 한정해서 명현가와 그 현조의 휘·호·본 정도를 간략히 명시 수록하는 경 우로 나타난다. 한편 이 단계에 이르면 명현록에 등재된 인물은 조선조의 수많 은 명현들 가운데 그들의 후손이 동족 마을을 형성하고 있는 인물만을 대상으 로 하게 된다. 전국의 각 성관별 명현의 후손 거주지를 볼 때 서울이 압도적 다수를 점하여 조선조 말엽에 있어서 서울은 여러 명현가의 소굴로 나타나며, 경상도가 타도 에 비해 많은 등재 인물수를 보임이 주목된다. 고을로는 청주, 진주, 양주, 안동, 성주 등의 순으로 등재 인물의 후손 세거지가 많은 것으로 나타나, 명현가가 지 방 행정의 중심지에 비교적 많이 집중되어 있는 점도 주목된다. 경상도 각읍 명현가를 등재 수록한 수종의 명현록을 통해서 특정 성씨 앞에 특정 촌명을 冠하여 ‘○○金氏’와 같이 불리워진 5백 수십여 문중의 존재가 조 선조 말엽 경상도 지역에서 확인되며, 이들 가운데는 200여 내외의 숫자에 달 하는 명망 문중의 존재도 추측된다. 경상도 각읍 가운데 진주는 도내에서 가장 명현가의 수가 많은 고을로 나타나며, 우도가 좌도에 비해 2배나 등재 인물이 많은 것으로 나타난다. 이는 이들 지역에서 특정의 현조를 중심으로 동성의 씨 족이 결집되는 움직임이 활발하였음을 반영하는 것으로 본다. 명현록에 등재된 경상도 각읍 명현가의 현조는, 단성 지역을 중심으로 살필 때, 주로 남명학파가 형성되고 당쟁이 전개되던 선조-인조 년간의 시기에 즈음 하여 지역 사회에서 주목되는 활약을 보였던 유명 인사인 것으로 나타난다. 이 들 유명 인사의 후손은 17-18세기에 걸쳐 향권을 지속적으로 장악하는 유력 씨족으로 자리를 잡았고, 이후 19세기 말엽에 이르러서도 문집을 남기는 인사 를 많이 배출하는 등으로 해서 여전히 명망을 유지하는 씨족으로 나타난다. 이 같은 제조건을 충족하는 유력 씨족이 조선조 말 명현가로 알려져 여러 명현록 에 기록되어 나타나는 바, 이는 비단 단성 지역만이 아니라 경상도내 다른 고을 의 경우도 마찬가지였을 것으로 본다.

This study is about how writing the 󰡔Records of Noted Confucianists󰡕 caught on, about how widely the prestigious families, which were recorded in those books, spread across the country and about what families produced what eminent virtuous ancestors particularly in Gyungsang Province. At first, the writing of noted Confucianists began with recording people from the branches of moral philosophy, and then expanded the range to the people who were loyal to their country or performed distinguished national services. Afterward, the recorded figures were arranged according to their family clans and kept being recorded by their descendants. With the record written by each family,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ir descendants' residences was added and then they underwent enrollment officially according to their provinces or towns. In this way various levels of books of noted wise men were developed and became prevalent in the late Chosun period and the purpose of them became characterized by introducing each family rather than noted figures themselves. Seoul seemed to be a hotbed of noted families in that the number of residences of the descendants of noted figures was overwhelmingly larger than other areas in the late Chosun period. Similarly, Gyungsang Province was also an area which had relatively much more registered figures than others. The fact that Chungju, Jinju, Yangju, Andong, Sungju, and Hongju in the numeral order had a larger number of descendants' residences indicates that those people were mostly produced in the capital city of each province. The registered books of Gyungsang province show us that just in this area there were five hundred and several tens of families called 'the Kims from somewhere', 'the Lees from somewhere', etc. It is interesting that most of their prominent ancestors performed their achievements sometime before or after the war against Japan in 1592. Among them about 200 could be categorized into dominant families despite a little difference between different books. Among Gyungsang provincial towns, Jinju was found to have a largest number of those kinds of families and the right side of the province was seen to have twice more enrolled people than the left. It might be not that Jinju or the right side of the province made special efforts to make an academic atmosphere and so produced more famous figures than other areas but that there was an active and increasing tendency to form the same family-named groups around their famous ancestors.

목차
Ⅰ. 머리말
Ⅱ. 조선 말기 명현록의 유행
Ⅲ. 전국의 각성관별 명현과 후손 세거지
Ⅳ. 경상도 각읍 명현가와 그 현조
IV. 맺음말
저자
  • 金海榮(慶尙大 社會敎育學部) | 김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