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erception of reality and theory of restoration in Confucianism of Jinam Lee Bounghun
진암 이병헌의 현실인식과 유교복원론1)
이 글은 일제강점기 한국에서 孔敎運動을 주도한 眞菴 李炳憲(1870~1940) 의 유교개혁론의 배경과 성격을 검토한 것이다. 이병헌은 3·1 민족해방운동이 전개되고 있던 1919년 유교의 자발적 개혁과 변신만이 민족의 생존을 보장할 수 있다는 판단에 따라, 孔子를 敎主로 하는 유교의 종교화를 골자로 한 儒敎 復原論을 저술했다. 유교의 종교화를 통한 복원은 일차적으로 그의 학문적 토 대가 되는 寒洲學派의 心卽理說에 이론적 기반을 두고 있었다. 심즉리설은 純 善인 理의 절대적 가치를 부각하는 것을 핵심으로 하고 있으며, 그것을 적극적 으로 적용할 경우 理를 上帝의 개념과 동일시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그것을 토대로 그는 중국에서 戊戌變法을 주도하며 공교운동을 전개하던 康有爲의 지 도를 받으며 한국에서 유교의 종교화 운동을 전개했던 것이다. 그러나 그의 공 교운동은 공자 이후 모든 학문적 경향을 부정하고 공자의 정신을 복원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는 점에서, 성리학적 우주론에 입각한 수양론을 확립하고 있던 학파들의 반발로 인해 순조롭게 전개되지는 못했다. 그렇지만 그의 유교복원론 은 유교의 개혁필요성을 제기했다는 점, 그것의 생명력을 견지하는 방안으로 종교화를 모색했다는 점에서 일정한 역사적 의미를 확보하고 있었던 것으로 평 가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Jinam Lee Bounghun's perception of reality and theory of restoration in Confucianism. He was beionging in Hanju Confucian scholars(한주학파) and study under a Meonu Goag Jongsuk. This paper analysed objectively how the Neo-confucianism was formed and how it was applied to actual reality through investigating Jinam's perception of reality and confronting attitude. Lee Byunghun's confronting attitude to reality was focused on overcoming the hardship that Choseon Dynasty was undergoing at the moment in a reasonable and flexible manner. Based on his own theory, he proposed not only restore to the original state of Confucianism but also propagate a Confucianism in religion through Confucius as the head of a religious s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