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勿川 金鎭祜의 文學思想 KCI 등재

Mul Chon Kim, Jin Ho's Literary Ideas

물천 김진호의 문학사상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048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남명학연구 (The Nammyonghak Study)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The Nammyong Studies Institute)
초록

이 논문은 조선후기 경상도 지역에서 학문활동을 하였던 물천 김진호 (1845-1908)의 문학사상을 살펴보려는 목적에서 쓴 것이다. 아직 이런 주제로 그에 대한 논문이 없기 때문에 이 글은 우선 문학사상사의 흐름위에서 그가 어 떠한 자리에 자리잡고 있는가를 대략적으로 살펴보았다. 1. 전통적이고 관념적인 도학파였는가. 그는 문학에서 덕성과 의리를 중시하고 실천적 태도를 중시하였다. 그러나 도 학파들의 주장에서 시를 짓는 작자들이 선험적인 도리를 전달하는 매개자 역할 에 머무르고 있는데, 비하여 그는 인간마다 가지고 있는 ‘良知’를 강조하였다. 그는 단순히 전통적 이념을 계승한 사람은 아니었던 것이다. 2. 모방을 거부한 현실주의자였는가. 그는 대가의 학자들이 의고적 입장에서 唐詩를 모방의 대상으로 삼는 태도를 비판하였다. 당시의 형식적인 운율을 모방하는 것으로 현실의 의미를 담지 못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다른 사람의 시를 칭찬하면서 ‘그대의 시는 세상에 드 문 옛음율’이라고 칭찬하였는데, 이는 그가 현실주의적 시각에서 과거를 보고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3. 古文으로 어떻게 현실을 담을 것인가. 그는 전통적인 형식을 고집하지 않고 현실을 표현하는 것이 문학의 임무라고 생각하였다. 문학은 형식적 논리보다는 실천적 행위가 기본이 되어야 하고, 보 편적 진실을 가지면서도 현실에 적합한 의미를 가져야 한다고 생각하였고 그것 이 바로 고문이라고 생각하였다. 4. 언어를 실천하면 살 수 있는가. 그는 자기만의 깨달음을 실천해야하고, 언어와 행동은 일치해야한다고 생각 하였다. 외적의 침입으로 나라가 어려웠던 시절의 이름 없는 사람들을 주인공 으로 하는 글을 많이 남기고 있다. 언어는 행동으로 완성된다고 생각한 것이다. 그런 점에서 그의 언어관, 문학관은 보수적이면서도 급진적인 양면성을 지니 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는 고문을 고집하면서 과거회고적일 수도 없고, 그렇 다고 현실적인 처지만을 강조하는 반의고적 주장을 할 수도 없는 모순된 시대 상황에 처해 있었던 것이다. 그의 문학적 입장은 그가 일본 등 외국의 침략을 눈앞에 두고 위기의식을 느낀 조선시대 말기에 살았다는 시대적 배경을 안고 있다.

This is to study the literary contribution of Mul Chon Kim, Jin Ho who had lived in the Kyung Sang Province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n, it is to review how he had worked in our literary history. This study might be a new approach to his literature as there are no thesis in terms of his literary achievements. 1. Was he a traditionally ideological moralist? Kim, Ji Ho especially centered on virtue, justice, and practical attitudes in his literary works. According to moralists who had traditionally interested in a priori, the poets served as messengers to deliver a priori. However, he put emphasis on everyone's 'justice.' To be sure, he was not merely a person following the traditional ideas. 2. Was he a realist against imitation? He criticized the scholars who had imitated the poetry in Tang. As for him, it seemed that imitating its formal rhythm did not reflect the reality as it was. Once he praised other poet's poems, saying that 'your poems have unique archaic rhythms.' In his statement, we can find his realistic point of view toward the past. 3. How could he reflect reality in the ancient writings ? He insisted that literature play an important role to represent the reality rather than cling to the conventional literary forms. In his belief, literature has to base the practical behaviors, not formal logics. Moreover, it has to take both universal truth and value appropriate for the reality at the same time. 4. Could one survive in the difficult times by way of practising words? He tried to practice his realization, believing that speech and action had to be consistent. He had written a lot of stories about characters with no names suffering from foreign attacks. That is, his works originates from his belief that words complete one's actions. In other words, his views on language and literature seem to be both conventional and radical. His literary ideas come from his background of those hard times of foreign attacks, especially from Japan.

목차
Ⅰ. 관념적 재도론자인가.
Ⅱ. 反擬古 現實主義 古文家인가.
Ⅲ. 고문으로 어떻게 현실을 담을 것인가.
Ⅳ. 문학은 행동할 수 있는가.
Ⅴ. 언어는 실천하며 살 수 있는가.
Ⅵ. 마무리
저자
  • 李鐘周(全北大 國文科) | 이종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