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芝窩 鄭奎元의 現實認識과 對應 KCI 등재

Jiwa Jeong Gyuwon’s perception of reality and confronting attitude

지와 정규원의 현실인식과 대응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0624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남명학연구 (The Nammyonghak Study)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The Nammyong Studies Institute)
초록

現賣認識,現實對應, 胡論,洛論,A物性同異論爭,南冥學,外柔內剛,春秋義理,衛正斥邪,內修外壞, 이 글은 한말 儒林의 衛正斥邪論이 어떠한 방식으로 구조화되어 현실에 적용되는지를 객관적으로 규명하기 위한 작업의 일환으로 芝窩 鄭奎元의 현실인식과 대응자세를 검토해 보고자 시도한 것이다. 정규원의 현실대응 자세는 조선왕조가 안고 있던 총체적 난국을 합리적이고 탄력적인 방법으로 해결하는 방향으로 자리 잡고 있었다. 그는 자신의 경험을 토대로 사회 경제적인 모순을 극복할 수 있는 구체적 방안을 제시했을 뿐만 아니라, 제국주의 국가들의 첨탈에 따른 사상적 혼 돈과 국가적 위기를 內修外壞의 방법으로 극복할 것을 주문했다. 이러한 그의 방안은 서구 열강에 대응하는 강경책이 가져올 수 있는 물리적 충돌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한 의도에 따른 것이었다. 이는 그가 자신의 학문적 배경과 지역적 기반을 복합적으로 수용함으로서 확립한 外柔內剛의 자세를 반영한 것으로 다양한 사조를 선택적으로 포용하여 독자적 세계관을 구축한 그의 단면을 보여주는것이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Wijeongcheoksaron, a policy proposed by the group of Confucian scholars in the late Choseon Dynasty to exclude vicious foreigners to secure the safety of the country. one of the prominent figures supporting the Wijeongcheoksaron was Jiwa Jeong Gyuwon. This paper analysed objectively how the Wijeongcheoksaron was formed and how it was applied to actual reality through investigating Jiwa’s perception of reality and confronting attitude. Jeong Gyuwon’s confronting attitude to reality was focused on overcoming the hardship that Choseon Dynasty was undergoing at the moment in a reasonable and flexible manner. Based on his own experience, he proposed not on1y a specific plan to overcome socio-economic contradiction but also a suggestion to cope with the ideological chaos and national crisis through the method of cultivating inner power. The intention in his proposals was to prevent conflict that could be caused by the strong seclusion policy against foreigners. This reveals his academic and local background that enabled him to foster a strong inner power with a soft outer appearance. He selectively accepted a variety of trends of thoughts and built his own view for the wor1d.

목차
1. 머리말
2. 學問傾向과 現實認識
3. 現實對應자세
4. 맺음말
저자
  • 薛錫圭(韓國國學振興院 首席硏究員) | 설석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