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퇴계의 聖學十圖 : 주자학의 이념과 聖學의 설계도 KCI 등재

T’oegye’s Ten Diagrams on sage Learning : Neo-Confucian Enterprize of Self -Cultivation

퇴계의 성학십도 : 주자학의 이념과 성학의 설계도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063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남명학연구 (The Nammyonghak Study)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The Nammyong Studies Institute)
초록

주자학은 天人合一이라는 우주인간론적 비전을 골격으로 한다. 이 테제는 근대적 심성에는 매우 비의적이고 난해하다. 이 사고는 인간의 본성을 우주적 전체속에서 읽으며, 이는 인간을 우리가 욕망하는 것과는 다른 지평에서 읽을 것을 요구한다. 주자학은 우리가 역설적이게도 우리의 본성을 잘 모르고 있다고 말한다. “우리의 ‘본성’은 유전적 편향과 후천적 습관때문에 자각되지 않고,덮여있다" 주자학은 이 덮여지고 때묻은 본성을 지속적 자각을 통하여 벗기고 씻기는 것을 공부와 훈련의 과제로 삼는다. 그 과정에서 사적 자아는 공적 자아로 변환되며,자아와 타자를 분리하고 있던 장벽이 사라지면서 언간은 타물과의 우주적 소통을 확보한다. 그것을 전통적으로 철학적으로는 物我-如라는 통일로, 또는 문학적으로는 J홈 飛魚뿔이라는 자연 생명의 약동으로 묘사했다. 그것은 동시에 유가적 가치의 중심인 仁훌禮智가 발현되는 體用의 기제이기도 하다. 퇴계는 이런 본체와 공부의 전 과정을 그림 열 폭에 정돈했다. 이 논문은 퇴계가 정리한 주자학적 본체론을 제 1『太極圖』와 제 2『西銘圖』률 중심으로 해설하고, 이어 그것의 회복을 위한 공부의 규모와 방법을 제 3『小學圖』와 제 4『大學圖』를 통해 살펴보았다. 그 중심 에 지속적 자각의 파지로 번역될 수 있는 敬이었다.

Hsi’s neo-Confucianism supports anthropocosmic vision, which remain tough to understand for the modem mind. It interprets human nature in the framework of the whole universe, which leads inevitablely to discriminate between “desire" and “nature of human being." According to the vision, we are in actuality not much aware of our own nature, because of inborn genetic pervertion and habitual reinforcement in the course of life. Neo-Confucian efferts aims to disclose the hidden reality, and stop the vicious circle, and in the end to bring the original nature to light. The process transforms gradually the egoistic self into the impartial self, and reaches the sympathetic penetration with others, that is the Confucian ideal, ren(仁). T’oegye arranged this neo-Confucian Way, self-cultivation for the cosmic harmony, in the Ten Diagrams. In this paper, I surveyed and explained the outline through the analysis of his frrst four Diagrams.

목차
I. 들어가는 말
2. 퇴계가 성학십도를 짓기까지
3. 주자학의 강령 : 인간은 자연 속에 있다
4. 인간의 자연,本體論
5. 인간의 소외,現在論
6. 세속의 길과 종교의 길
7. 인간의 노력, 工夫論
8. 주자학과 근대
저자
  • 韓亨祚(韓國精神文化硏究院, 哲學) | 한형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