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국 교사의 눈에 비친 일본 수업 KCI 등재

Japanese Class from Korean Teacher’s Perspective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079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교원교육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Center For Education Research)
초록

국제 비교 연구가 다른 나라의 수업에 대한 이해 뿐 아니라 자기 나라의 수업에 대한 더 깊은 이해를 제공해 줄 것이라는 기대 하에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와 문화적으로 매우 유사하다고 일 반적으로 알려진 일본의 수업을 관찰하여 한국과 일본의 수업의 공통성과 차이점을 드러내보고 자 하는 의도에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서 CJUE의 학습연구년제에 참여하고 있는 한국의 교사 15명을 대상으로, 비디오로 촬영된 일본의 일상적인 초등 국어과 공개 수업을 공동으로 관찰한 후 연구자들에 의해 구안된 워크숍 활동지에 답하고 대화하는 등 구조화된 과정을 거쳤다. 이는 한국 교사들의 눈에 비친 일본 수업의 특징을 드러내어 흔히 가깝고도 먼 나라로 알려져 있는 두 나라의 수업 실천의 공통성과 차이를 규명해 보기 위함이다. 대상 수업은 일본의 5학년 국어과 <미야자와 겐지>의 동화 ‘주문이 많은 요리점’으로 일반적 인 한국 수업에서 볼 때, 일본 수업에서 사용한 수업 제재나 소재 및 수업 목표는 적합한가? 한 국의 수업이라면 이 제재로 어떤 수업 목표를 세울 것인가? 나는 이 수업 목표를 가지고 어떻게 수업을 설계하고, 내가 설계한 수업과 일본 수업 설계의 같은 점, 다른 점은 무엇인가? 일본 수 업과 한국 수업의 공통점/차이점은 무엇인가? 라는 네 가지 질문으로 구성하였다. 그 결과, <주문이 많은 요리점>이라는 제재는 한국의 초등학교 교실 수업에서 다루어지는 수 업 소재와 다르다고 교사들은 인식하고 있었다. 한국의 수업 제재는 일본에 비해 좀 더 쉽고 대 체적으로 감동이나 교훈을 주며, 기능적인 면에 치중하는 면이 강하다는 것이다. 또한 수업 목표 에 대한 견해에서는, 한국교사들은 이 동화를 도덕적 텍스트로 활용하려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으 며 이는 한국의 교과서에서 다루어지는 동화들이 교훈적, 윤리적 내용을 전달하기 위한 용도로 활용되기 때문이 아닌가 한다. 수업 설계 방식에 대한 질문에서, 한국 교사들의 수업 설계는 기, 승, 전, 결로 나누어 내용을 기능적으로 파악하고, 고쳐 써보기, 책 만들기, 장면의 그림 그리기 등 다양한 활동형, 모둠형 수업 아이디어들이 등장함에 비해 일본 수업은 ‘작가의 의도를 구성면 에서 검토해보는 수업 설계’로, 차이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유사점과 차이점에서는 대부분의 한국 교사들에게 일본 수업은 차분하고 끈기 있게 수업의 주제를 찾아가는 깊이 있는 수업으로, 따라 서 ‘기다림’, ‘조용한’, ‘치밀한’, ‘진지한 속삭임’ 으로 표현하였다.

This study is to understand Japanese classes and teaching culture by Korean teachers’ cultural and historical lens, after observing the videotaped Japanese Language studies class and collectively inquire into its similarity and differences in comparison between Japanese and Korean classes. To figure out its characteristics of this class, researchers requested to 15 teachers who are part of the curriculum research program at CJUE and as following questions: 1. Is the story used in the Japanese classroom suitable for 5th grade Korean class?; 2. What class objects would be appropriate for this story if selected?; 3. If the same objective is set as the Japanese class, then how would the class be designed?; 4. What are the similar and dissimilar trait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curriculum?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teachers viewed the text ‘The restaurant of many orders’ which used as material this class to be complicated, poly-semantic, and socially critical. And they tended to draw and use moral lessons from this story when designing the class. When asked how they would design the class with the same objective as the Japanese teacher, many suggested similar activities as the ones used by the Japanese teacher, but many wanted to incorporate physical activities such as re-writing, drawing out the scenes, making their own books, etc. Overall, they identified Japanese class to be quiet and calm, and Korean classes dynamic and active.

목차
Ⅰ. Introduction
Ⅱ. Theoretical Background
Ⅲ. Research method and subject
Ⅳ. Japanese class from Korean teachers’ perspective
Ⅴ. Discussion and Implications
References
국문초록
저자
  • Lee, Hyugkue(Che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이혁규
  • Kim, Hyangjoung(Che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김향정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