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문제기반학습에서 초등학생의 학습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KCI 등재

Narrative Inquiry on Learning Experienc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Problem-Based Learni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080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교원교육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Center For Education Research)
초록

본 연구는 내러티브 탐구 방법으로 PBL에서 초등학생들이 어떠한 학습 경험을 가지게 되는 지를 확인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학생들의 구체적인 학습 경험을 들여다보기 위하여 첫째, 교실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PBL 수업에 대해 네 명의 학생들은 어떤 이야기를 하는지, 둘째, 네 학생의 이야기에 담긴 풍경은 무엇이며 그것은 어떤 차이가 있는지, 셋째, 네 가지 이야기 는 서로 어떤 대화를 주고받는지, 넷째, 네 명의 학생들은 어떤 형태의 다시 살아가기를 이야 기하는지에 대한 질문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현장텍스트의 작성은 학생들의 수준과 교실 현 장의 상황을 고려하여 학생들의 이야기를 면담 형태로 표현하였다. 이후 생성된 현장텍스트를 연구자가 박사급 연구원 2명의 도움을 얻어 연구텍스트로 변환하였다. 그리고 네 사람이 담은 이야기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확인하기 위하여 삼차원적 풍경에 따라 서로의 이야기를 비교하 였다. 탐구 결과 학생 A의 내러티브에서는 ‘친구에 대한 새로운 해석’, ‘교실에서 가정으로, 그 리고 다시 교실로의 경험 이동’, ‘어머니에게 보여줄 수 있는 새로운 모습’, 학생 B의 내러티브 에서는 ‘PBL보다 그냥 혼자 공부를’, ‘교과서를 벗어난 학습 공간으로의 확대’, ‘오빠보다 나은 경험을’, 학생 C의 내러티브에서는 ‘짜증나는 공부에서 재미있는 활동으로’, ‘모둠 사이, 가정과 학교 사이에서’, ‘나를 믿어주세요.’, 학생 D의 내러티브에서는 ‘모둠보다는 개인적으로’, ‘굳이 집에서도 해야 하나요? 하지만 병원에서는 좋았어요.’, ‘차별하는 선생님, 나도 힘들어요.’와 같 은 주제가 드러났다. 이후 네 사람의 서로 다른 이야기의 풍경을 비교하면서 어떤 차이가 있는 지 그리고 그 이유는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최종적으로 다시 이야기하기를 통하여 PBL 학 습, 나아가 학습을 위한 다시 살아가기의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nfirm which learning experiences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me to have in PBL. To look into students' specific learning experiences, a research was progressed with having questions about, first, which story four participatory students talk about PBL class of being carried out in a classroom, second, how the stories are mutually different, and third, why the experiences are expressed in such a different form. The preparation of a field text was allowed to be expressed students' stories in the form of interview by considering students' level and overall classroom field situation. And to confirm commonality and difference in stories that were contained by four students, mutual stories were compared according to the three-dimensional landscape. As a result of the inquiry, the themes were revealed ‘new interpretation on a friend,’ ‘movement of experience from classroom to home, and again to classroom,’ and ‘new image available for being shown to mother’ in the narrative of student A, ‘studying just alone rather than PBL,’ ‘expansion into the learning space escaping from textbook,’ and ‘better experience than older brother’ in the narrative of student B, ‘from the irritating study to the interesting activity,’ ‘between groups, between home and school,’ ‘please believe me.’ in the narrative of student C, and ‘personally rather than group,’ ‘does it need to be obstinately done even at home? But it was good at hospital.’, and ‘a discriminating teacher, I am hard, too.’ in the narrative of student D. And then, it figured out which difference there is and what the reason is while comparing the landscapes of mutually different stories in four students. Finally, the possibility of proceeding with living again for PBL and further for learning was pursued through talking again.

목차
Ⅰ. 시작하는 이야기
Ⅱ. 내러티브 탐구의 방법
Ⅲ. 학생의 이야기
Ⅳ. 네 가지 경험에 담긴 풍경
Ⅴ. 네 가지 경험 사이의 대화
Ⅵ. 다시 살아가기
References
Abstract
저자
  • 홍광표(부산대학교) | Hong, Kwang-Py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