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수종의 식물로부터 기공 및 생화학적 인자분석을 통한 내건성 식물을 선발하였다. 25수종의 기공의 수는 맑은대쑥이 120개로 가장 많았고, 매듭풀, 뽕나무, 꽃향유 순으로 나타났다. 기공의 둘레와 기공 의 면적은 기공의 수와 상반되는 경향을 보였다. 소리쟁이, 개기장, 새는 기공의 수가 적었지만 기공둘 레와 면적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엽육세포조직을 관찰한 결과 내건성 수종인 참느릅나무 잎은 건조민 감성인 까실쑥부쟁이에 비해 책상조직이 발달한 모양이었다. 내건성이 강한 수종인 참느릅나무는 까실 쑥부쟁이에 비해 큐티클층이 잘 발달된 형태였다. 건조 고사일수가 가장 길었던 비수리는 건조 전 후의 proline함량은 약간 증가하였지만, 각시취는 건조처리 전의 함량(0.122mg/0.1g FW)에 비해 건조 후의 함량(0.563mg/0.1g FW)이 크게 증가하였다. 환원당 함량도 건조에 따라 증가하였는데, 꽃개오동이 가 장 높았고, 차풀, 참느릅나무, 도깨비바늘 순이었다. 기공과 엽육조직형태, proline과 환원당과 같은 생 화학적 인자는 내건성 수종을 선발하는 지표임이 판명되었다. 본 연구에서 선발된 수종은 훼손지 복원 등에 널리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Drought tolerant species from 26 Korean native plants were selected using different stoma, leaf mesophyll, and biochemocal indicators. The largest number of stoma was founded in Artemisia keiskeana and the numbers of stoma in Kummerowia striata, Morus alba, Elsholtzia ciliata were larger than the others. The circumference and area of leaf stoma were inversely related to the number of stoma. Rumex crispus, Panicurr bisulcatum, and Arundinella hirta were a few in stoma number, but they were largest in circumference and stoma area. In observing leaf mesophyll tissues, palisade parenchyma in Ulmus parvifolia was well developed even in drought tolerant species compare to Aster ageratoides, a drought sensitive species. Cuticle layer in Ulmus parvifolia was thicker than that of Aster ageratoides. After stopping of irrigation, proline content of Lespedeza cuneata was somewhat increased but, Saussurea pulchella was dramatically increased. Contents of reducing sugar was highest in Catalpa bignonioides. Proline and reducing sugar content were both increased when drought stressed out. Stoma and leaf mesophyll tissue shapes, biochemical indics as proline and reducing sugar content are proven as critical factors to selection for drought tolerance plants. These results could be used to restoration of damaged l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