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산겨릅나무(Acer tegmentosum Max.)의 액아배양으로부터 다신초 형성을 통한 대량증식 KCI 등재

Micropropagation of Acer tegmentosum Max. through induction of multiple shoots from axillary bud cultur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152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산겨릅나무(Acer tegmentosum Max)는 단풍나무과의 약용식물로 기내 대량증식 및 발근에 적합한 최적 배지와 식물생장조절물질의 농도를 구명하고, 순화조건을 검증하여 대량생산조건을 확립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산겨릅나무의 종자 소독 후 1.0mg l-1 GA3가 첨가된 MS배지에서 발아시켜 기내식물체를 확보하였고, 생장에 적합한 최적배지 구명을 위해 7종류의 다양한 식물배지에서 4주간 배양한 결과, WPM 배지가 가장 효과적이었다. 액아배양을 통한 대량증식에 최적 조건을 구명하기 위하여 4종의 cytokinin의 다양한 농도별 처리를 통해서 8주 동안 배양한 결과, 1.0mg l-1 Zeatin이 첨가된 배지에서 평균 3.3개의 다경줄기가 유도되었다. 기내발근에는 0.5mg l-1 2.4.-D가 단독 첨가된 배지에서 뿌리 수가 높았고, 다신초 개체는 기외의 토양으로 이식하여 환경적응을 유도한 후 배양묘 대량생산 조건을 확립하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optimal conditions for in vitro culture of Acer tegmentosum Max(Aceraceae), a medicinal plant. For mass propagation, the optimal medium and plant growth regulators for rooting, and conditions for hardening were established. Seeds were sterilized, and then germinated on MS medium containing 1.0mg l-1 GA3 for obtaining in vitro plantlets. To investigate the optimal culture medium, the plantles which were inoculated in WPM media showed the best growths. The largest number of multiple shoots from axillary buds were obtained in the treatment of 1.0mg l-1 Zeatin(3.3 shoots per a stem segment). High numbers of roots were developed in the treatments of 0.5mg l-1 2.4.-D. The plantlings were transferred into soil to be adapted to in vivo condition. These results can contribute for propagating A. tegmentosum.

저자
  • 서영롱(경상대학교 환경산림과학부) | Yeong Rong Seo
  • 김용덕(경상대학교 환경산림과학부) | ·Yong Duk Kim
  • 박동진(경상대학교 환경산림과학부) | Dong Jin Park
  • 송현진(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Hyeon Jin Song
  • 김학곤(경상대학교 환경산림과학부) | Hak Gon Kim
  • 양우형(경상대학교 환경산림과학부) | Woo Hyeong Yang
  • 정미진(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 | Mi Jin Jeong
  • 임현정(경상대학교 환경산림과학부) | Hyeon Jeong Im
  • 최명석(경상대학교 환경산림과학부,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Myung Suk Choi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