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social skill of college student on Job-search efficacy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기술이 구직효능감에 영향을 주는지를 확인하고, 사회적 지지와 구직효능감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기술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 상은 경기지역의 전문대학교 남, 녀학생으로 구성된 231명이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지지, 사회적 기술, 구직효능감 관계에서는 정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사회적 지지수준을 높게 지각할수록, 높은 구직효능감을 보였으며, 사회적 기술의 수준이 높을수록 구직효능감의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기술 중에 하위요인인, 협동 사회적 기술, 자기조절 사회적 기술은 사회적 지지와 구직효능감과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공감 사회적 기술과 주장성 사회적 기술의 경우, 사회적 지지와 구직효능감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공감 사회적 기술과 주장성 사회적 기술의 특성을 많이 가진 학생들이 사회적 지지와 상호작용하여 구직효능감을 상승시키는 효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social skill to job-search efficacy in a sample of college student, and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kills in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on job-seeking efficacy.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authors collected data from a total of 231 college students. The findings of the study indicated as follows. First, when a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support, social skill, and job-search efficacy, the findings showed that support, social skills and job-search efficacy were positiverly correlated. Seco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 to explore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social skill on Job-search efficacy, the findings showed that self-esteem social support predicted the levels of the job-search efficacy. And cooperation social skill, assertion social skill forecasted the levels of the job-search efficacy. Thir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empathy social skill and assertion social skill moderated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job-search efficacy.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