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마경(魔境)과 프로이드 자아방어기제의 상관성 연구 KCI 등재

Correlation Study of Mara and Freud’s Self-Defence Mechanism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230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700원
불교문예연구 (Studies on Buddhist art and culture)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Studies on Buddhist art and culture)
초록

이 논문은『좌선의(坐禪儀)』와『천태소지관(天台小止觀)』에 나타난 수행자를 방해하는 장애인 마경(魔境)·마라(魔羅)와, 프로이드(Freud)의 자아방어기제 (self-defense mechanism)를 비교 연구하였다. 이를 통해 수행에 내적·외적 장애를 주는 마경과 인간심리를 불안하게 하고 마음에 왜곡되게 작용하는 방어 기제는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 살펴보고, 마경을 현대적으로 해석하여 상담 시 어떤 식으로 응용할 것인가에 대해 다루었다. 『좌선의』의 마경과『천태소지관』의 마사(魔事)는 수행도중에 찾아와 수행을 방해하는 마귀, 마군으로 수행을 하지 않는 일반인들에게 똑같이 나타나는 현상 은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행과 무관하게 인간은 미래에 대한 불안과 걱 정, 과거경험의 그림자에 시달려 현재를 제대로 살아가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수행자가 자신의 내면을 반조하고 마를 알아차려 극복, 포용, 치유할 수 있다면 예비수행자인 일반인도 얼마든지 자신의 마음을 치유하고 들여다볼 수 있을 것 이다. 모든 사람의 내면에는 참 성품인 불성(佛性)이 자리하고 있기 때문이다. 논의하는 초점은 다르겠지만 프로이드가 주장한 자아방어기제도 있는 그대 로의 내면을 드러내지 못하고 각 상황과 대상에 맞게 자신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고통스러운 상황에 적응하려는 무의식적 노력이다. 방어기제의 사용은 불 안을 감소시킬 뿐 아니라 인간관계에 있어 긍정적 결과를 가져오기도 하지만 자아가 불안과 두려움에 대응하는 데 동원된 심리적 책략은 다양한 왜곡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면에서 수행을 방해하고 바른 깨달음을 얻으려고 하는 수행자의 선근을 파괴하는 마와 방어기제는 상관성이 있다고 하겠다. 이에 선의 대표적인 수행법인『좌선의』의 마경과 프로이드의 자아방어기제 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두 이론이 서로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현대 상담에 어떻게 접목하여 현대인의 불안을 직시하고 감소시킬 수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This paper is to research for comparing the realm of mara disturbing disciplinants shown in Jwaseon-eui (the way of meditation) and Chentaisojigwan (Jigwan's meditation practice) and Mara, Freud's self-defense mechanism. And also it is a small consideration to find out correlations between the realm of mara giving intrinsic, extrinsic disturbances to practice and the defense mechanism functioning twistedly to each person's mind, interpret the realm of mara in modern meaning, and the way to apply it for counselling. The realm of mara of Seon master Jongsaek's Jwaseon-eui and Mara's disturbances of Chentaisojigwan are not phenomenons occurred to general people who do not practice, because they are devils, evil spirits disturbing practice when disciplinants are practicing. Nevertheless, whether we practice or not, we always feel uncomfortable and concerns of the future, the shadow of the past experience, so it's hard to make our lives happy. If practitioners illuminate one's mind and realize mara, overcome, embrace, and heal one's troubles, I think it is possible that pre-practitioners can see one's mind and heal their problems. Because Buddhahood (the real original mind) is placed on the inner mind of all the people. Of course the discussing point of view can be different though, Human's ego defense mechanism the great master of psychological analysis Freud insisted says that we cannot disclose our mind as it is, just play a role to protect ourselves against each situation and have an effort unconsciously to adapt suffering situations. Using defence mechanism can not only reduce anxiety, but comes to a positive social result and work in order. However psychological tactics used to cope with anxiety and suffering of ego show various distortions. In such an aspect, Mara disturbing practices and good roots of practioners who try to gain right enlightenment and Defense mechanism have a correlation. In this paper, I compared and analyzed the realm of Mara of Jwaseon-eui, the representative practice way of Seon and Freud's self defense mechanism. It has a purpose to find out what correlations these two theories have and how to apply to modern counselling and how to face and reduce modern persons' anxieties.

목차
Ⅰ. 서론
Ⅱ. 마경의 내용 분석
Ⅲ. 자아방어기제
Ⅳ. 마경과 방어기제의 상담학적 이해
Ⅴ. 결론
저자
  • 홍유신(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학과, 박사과정) | Hong Yoush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