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생전예수재, 산오구굿, 산씻김굿의 비교 KCI 등재

The Comparison of Saengjeonyesujae, Sanogugut and Sanssitgimgu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231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100원
불교문예연구 (Studies on Buddhist art and culture)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Studies on Buddhist art and culture)
초록

이 글에서는 불교의례 생전예수재와 무당굿 산오구굿, 산씻김굿을 비교하 여 불교의례와 무속의례의 상통점을 찾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불교와 무속의 상관성을 살펴보았다. 두 의례는 분명 종교배경이 다르다. 하지만 최근 무형 유산이라는 범주 속에 불교의례와 무속의례가 모두 조사, 연구되고 있다. 국 가지정 무형문화재 제도 속에는 불교의례와 무속의례, 유교의례를 구분하지 않고 모두 전통의례로 바라보고 있어 종교를 넘어서서 공통적인 시각으로 접근해볼 필요가 있다. 비교를 통해 생전예수재의 운수단에서는 사자에게 명부의 여러 권속을 불 러 모실 것을 청하는 것이 핵심이라면, 산오구굿이나 산씻김굿은 모두 망자 를 굿청으로 청하는 것이 핵심이다. 청하는 대상이 확연하게 다르다. 생전예 수재에서는 명부의 권속이라고 하여 망자가 중심이 되지 않음을 나타내지 만, 산오구굿이나 산씻김굿은 망자가 중심이 된다. 그러므로 생전예수재가 본격적으로 진행되는 상단, 중단, 하단은 모두 산 사람들은 배제되고 철저하 게 성중과 명부의 권속이 중심이 된다. 하지만 산오구굿이나 산씻김굿은 철 저하게 산 사람과 망자가 중심이 된다. 생전예수재는 설행된 장소에 명부의 여러 권속이 오기를 청한 후 받들어 모시고 대접하여 미리 덕을 닦는다. 생전예수재는 현실세계에 명부세계가 들어와 의례가 진행된다. 하지만 산오구굿이나 산씻김굿에서는 이승에 남아 있는 산 사람의 영혼을 망자로 대우하면서 온전하게 한을 씻고 풀면서 저승 으로 가기를 청한다. 산오구굿이나 산씻김굿에는 명부의 모습이 나타나지 않는다. 생전예수재를 명부세계의 권속을 현실로 모셔와 대접하기라고 본다 면, 산오구굿이나 산씻김굿은 현실의 산 사람이 무사히 명부(저승)로 떠나가 기를 기원하는 의례이다. 생전예수재와 산오구굿, 산씻김굿은 살아있는 이들이 사후를 위해 거행하 는 의례라는 공통점이 있지만, 그 구성방식이나 저승에 대한 인식은 사뭇 다 르다. 이러한 인식의 차이가 어디에서 연유했는가를 논하기는 매우 어렵다. 다만 불교보다 무속이 현실을 중요하게 여기는 측면이 큰 것은 분명해 보인 다. 이러한 비교를 통해 산 자들이 사후세계를 위해 기원하는 의례가 보편적 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탐색한 것은 의미가 있다. 이러한 차이의 철학적ㆍ세 계관적 의미는 좀 더 깊이 있게 따져볼 필요가 있어 과제로 제시했다.

This study aims to seek interlinked points between Buddhist and shamanistic rituals by comparing Saengjeonyesujae, Sanogugut and Sanssitgimgut of Buddhist rituals and, based on this, to examine interrelationships between Buddhism and shamanism. The two rituals clearly have different religious backgrounds. Lately, however, in the system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designated by the Korean government, both Buddhist and shamanistic rituals are investigated and researched together. In the system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designated by the government, Buddhist rituals, shamanistic rituals and Confucian rituals are not distinguished but put together as traditional ceremonies, thus necessitating a common approach beyond religious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comparison, the Unsudan of Saengjeonyesuje focused that prayers pleaded to the messenger to call for various members of the netherworld(冥府), while Sangogugut or Sanssitgimgut focused on calling all the dead to "gutcheong," or the center of the ceremony. So, the subject being called was clearly different. Saengjeonyesujae believed in the members of the netherworld, thus the dead did not become the center, but in Sanogugut or Sanssitgimgut, the dead became the center. Therefore, three altars - Sangdan (上壇), Jungdan (中壇) and Hadan(下壇) - where Saengjeonyesujae was performed, all living persons were strictly excluded in order to focus solely on holy bodies (聖衆) and members of the netherworld. On the contrary, Sanogugut and Sanssitgimgut centered on strictly the living and the dead. Saengjeonyesujae called for various members of the netherworld at a blessed location, treated them well and cultivated virtue in advance. Likewise, Saengjeonyesujae proceeded as the netherworld came into the real world. But, in Sanogugut and Sanssitgimgut, the living that remained in this world sought to treat souls of the living as the dead, in order to properly relieve their deep rancor before going to the netherworld. In Sanogugut and Sanssitgimgut, members of the netherworld did not appear. If Saengjeonyesujae was viewed as a treat for members of the netherworld in the real world, Sanogugut and Sanssitgimgut were ceremonies of prayers for the living in the real world so that they could make a safe journey to the netherworld. Saengjeonyesugae, Sanogugut and Sanssitgimgut all shared a common purpose as ceremonies of the living for their after-life, but their methods of organization and awareness of the netherworld were quite different. To discuss exactly where such differences in awareness originated would be very difficult, but it seemed clear that shamanism placed more importance in reality than Buddhism. This comparative study was meaningful to explore the possibility that ceremonies of the living praying for their after-life were more universal. Thus, a new homework is suggested here in to further delve into the above-mentioned differences and their meaning in philosophy and world views.

목차
Ⅰ. 머리말
Ⅱ. 조계사 설행 생전예수재의 재차 구성
Ⅲ. 산오구굿과 산씻김굿의 재차 구성
Ⅳ. 생전예수재와 산오구굿, 산씻김굿의 차이
Ⅴ. 생전예수재, 산오구굿, 산씻김굿 비교의 의미
저자
  • 홍태한(전북대학교 무형문화연구소 연구원) | Hong Teah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