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근대이후 통영지역의 미술발달 현황에 대한 고찰 KCI 등재

Effect of Ottchil Education Utilizing Traditional Painting Techniques -Intended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237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800원
문화와예술연구 (문화와예술연구 (문화예술연구))
초록

통영은 1604년 통제영의 12공방이 설치된 이후 전통 미술활동 이 활발하게 이루어진 곳이다. 그러나 일제강점기에 들어 통제 영이 폐쇄되고 그 활동은 점점 쇠락하다가 1950년을 전후로 현 대미술활동과 함께 다시 부활하여 현대에 이르렀다. 본 논문 에서는 이 시기의 통영지역 미술활동을 살피고, 그 중, 공예, 한국화, 서양화를 대상으로 활동한 작가들을 중심으로 그들의 활동상을 파악하여 그 구성원인 작가들의 사승관계를 정리하여 보았다. 이러한 결과는 통영미술의 특징과 통영전통미술의 현 대화 및 그 발달과정을 알 수 있었으며 이를 토대로 향후 통영 미술계의 방향을 모색할 수 있는 자료로 삼을 수 있었다. 그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하나, 통영미술은 1604년 이후 통제영에 설치된 12공방에서 발달되었다고 볼 수 있다. 둘, 통영미술이 다양하게 발전할 수 있었던 것은, 19c무렵 12 공방이 활성화 되면서 진상품을 비롯한 여러 가지 군관민수용 품인 고급 미술품 제작이 다양한 장르로 생산, 전통미술의 자 리를 공고히 하였기 때문이다. 이러한 역사적 환경은 통영을 다른 도시와는 달리 종합적으로 예술을 발달할 수 있게 하는 초석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셋, 통영미술의 현대화 과정은 둘로 나눈다면 그 하나는 신교 육의 실시이다. 1950년대 한국전쟁 발발 후로 지리적 환경으로 인하여 많은 외부 예술인들이 통영에 자리를 잡으며 통영의 전 통미술과 현대미술의 융합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또 하나는 전 문작가의 출현으로 작품 제작과 전시회를 열어 통영 현대미술 발전의 자극제가 되었다. 넷, 전통미술에서 현대 미술로 이양되는 과정에서 사승관계가 형성되고. 통영미술은 전통을 계승하고 새로운 문화를 수용, 체 계적이고 종합적으로 발달 하여 왔음을 알 수 있다. 더욱이 2015년 현재, 일부 화단에서 옻칠화라는 새로운 장르를 형성하 는 과정에 있다. 이는 통영 전통미술을 계승발전 시키는 중대 한 작업으로 통영미술의 정체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일이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activities of the artists who had actively worked in handicraft, Korean painting, and western painting among Tongyeong arts from the Japanese colonial era to the modern times (for Korean painting and western painting, it's until 2000.)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disciple centering on the artists who are actively working now. This is consider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understanding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Tongyeong modern art and also significant in that it can be the basis for searching for the direction of Tongyeong art world. First, Tongyeong art can be said as having stemmed from 12 workshops installed at the Navy Headquarters since the year of 1604. Second, Tongyeong art could be developed in various ways because when 12 workshops were activated around 19c, various supplies of civilian demands for military and governmental agencies including presents to the king were manufactured and Hwawongbang was established to manufacture all the paintings in various fields including military map, thus producing advanced art works in various genres and in doing so, traditional art solidified its place. This historical environment became the foundation for enabling Tongyeong to develop art in a comprehensive way unlike other cities. Third, the modernization process of Tongyeong art can be divided into twos. The first is new education. Since the outbreak of Civil war in 1950, many external artists came to Tongyeong and took their places here due to the geographic environment of this place and both the traditional art and modern art of Tongyeong began to be combined. The second one is appearance of professional artists, which became a stimulus to the development of modern art of Tongyeong because they manufactured their works and held exhibitions. Fourth, in the process of transferring from traditional art to modern art,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disciple was formed and Tongyeong art inherited its tradition and accepted new cultures, thus developing itself in a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way. Furthermore, currently in 2015, some worlds of art are forming a new genre of lacquer painting. This is a significant work for inheriting and developing Tongyeong traditional art. It is also a representative work that reveals the identity of Tongyeong art.

목차
I. 서론
II. 근대 미술발달 현황
III. 통영지역 미술계의 방향
IV. 결론
저자
  • 이진숙(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박사과정수료) | Lee, Jin S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