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조절에 따른 각막곡률 변화 KCI 등재

Changes in corneal curvature according to accommod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250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목 적: 정상안에서 주시거리에 따른 각막의 곡률변화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 법: 본 연구는 조절기능이 정상인 평균 연령 14.45±8.23세인 132안(66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가상주시형 자동굴절력계를 이용하여 대상자의 굴절력을 측정하였다. 개방형 자동굴절력계를 이용하여 원거 리와 근거리를 주시할 때 안 굴절력과 중심부 각막곡률을 측정하였고, 각막곡률의 측정값은 강주경선과 약 주경선으로 구분하였다. 모든 대상자는 연령에 따라 그룹 1(10대)과 그룹 2(20대)로 나누어 각막곡률의 변화 를 분석하였다.
결 과: 대상자들의 평균 등가구면 굴절력은 그룹 1과 2에서 -1.03±1.12 D와 –1.35±0.98 D 이었다. 원 거리에서 근거리를 주시할 때 강주경선의 각막 굴절력은 그룹 1에서 더 높게 측정되었고(p<0.05), 약주경선 의 굴절력과 강주경선의 방향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그룹 2에서는 원거리와 근거리를 주시할 때 각막의 강주경선과 약주경선의 굴절력, 그리고 강주경선의 방향 모두 변화가 없었다(p>0.05).
결 론: 20대는 조절에 따른 각막의 변화가 없었고, 10대는 각막 강주경선의 굴절력이 더 높게 변하는 경 향을 보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changes in corneal curvature according to accommodation in normal human eyes.
Methods: One hundred thirty two eyes of 66 healthy volunteers who had normal accommodative with a mean age of 14.45±8.23 were enrolled in this study.
Measurements of refractive error were performed using a internal fixation target type auto-refractor. The distances from subjects to targets in using the open view target type auto-refractor were 40 cm and 4 m. Used open view target type auto-refractor to measure refractive error and central cornea K when fixing eyes on a far point and a near point, and distinguished the measurement of Cornea curvature by the power of maximum K, minimum K and the direction of maximum K.
Subjects were analyzed that changes in corneal curvature according to age(group 1 and 2).
Results: At baseline, the mean of refractive errors of the eyes was by group 1(-1.03±1.12 D) and group 2(–1.35±0.98 D). In the group 1, maximum K values significantly increased between far and near distance(p<0.05). However, group 1 of minimum K values and maximum K direction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fixation distance(p>0.05). When fixing eyes on a near point, the power of maximum K, minimum K and the direction of maximum K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group 2(p>0.05).
Conclusion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cornea curvature and accommodation in the group 2. For the group 1, the power of the maximum K was tend to steeper chang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대상 및 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방법
  3. 통계분석
 Ⅲ. 결 과
  1.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2. 조절에 따른 각막곡률의 변화
  3. 조절에 따른 각막 강주경선의 방향 변화
 Ⅳ. 고 찰
 감사의 글
 Reference
저자
  • 박창원(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시과학연구소, 서울) | Chang-Won Park
  • 김효진(백석대학교 보건학부 안경광학과, 서울, 백석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안경광학과, 서울) | ·Hyo-jin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