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국 성인에 적합한 안경테 설계 I : 안경테 전면부 및 다리부 설계를 위한 계측적 연구 KCI 등재

Ophthalmic Anthropometry for D imensions of Spectacle Frame in Korean Adults 1 : Measurements for spectacle front and sid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320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머리와 얼굴 형태는 인종간에 큰 차이가 있기 때문에 머리와 얼굴 형태에 적합한 얀경테를 설계하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계측적 연구가 우선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 는 한국인에 적합한 안경태를 설계하기 위하여 안와질환, 안외상, 외판상 전선질환이 없는 18-33 세 사이의 성인 689명(남자 325 명, 여자 364 명)을 대상으로 안경테 설계 와 관련된 머리와 얼굴부위를 계측하고 이 자료를 바탕으로 한국 성인의 얼굴 형태 에 적합한 안경테 전면부와 다리부 설계값을 계산하였다. 연구 결과 안경테 설계에 판계되는 한국인의 얼꿀 형태는 얼굴너비가 넓고 머리너비가 좁으며 동공사이거리가 강며 귀구슬경사각이 큰 형태룹 이부고 있어 다른 인종과 차이가 있었으며 성별에 따라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한국인의 얼굴 형태에 적합한 안경테의 전면부 크기, 다리부 길이 및 경사각 당은 현재 시판되고 있는 안경테의 크기와 차이가 있눈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앞으로는 한국인의 얼굴형태를 기초로 한 인체공학적인 안경테 설계와 디 자인 개발에 보다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anatomical structures of the head and face are not influenc어 by environmental factors but vary from one race to the other, that spectacle frames should be design어 according to the head and facial measurements. In this study, we measured ocular dimensions in the 689 Koreans free from ocular and systemic diseases or anomalies to establish a database of ophthalmic anthropometry which is used for the design of spectacles for Korean adults. All measurement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sexes and 없nong population groups. Koreans are found to have a wider facial width, n없TOW head width, longer interpupillary distance, bigger angle of side that the measurements of the spectacle frame are different to the present one. Spectacle frames should be designed for Koreans based on a database of ophthalrnic anthropometry.

저자
  • 이군자(서울보건대학 안경광학과) | Koon - Ja Lee
  • 마기중(서울보건대학 안경광학과) | Ki - Choong Mah
  • 임현성(한양대학교 의과대학 해부학교실) | Hyun - Sung L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