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대학생에서 측정된 조절 부족과 폭주 부족의 발생률 KCI 등재

Prevalence of accommodative insufficiency and convergence insufficiency in college studen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326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이 연구는 대학생 집단에서의 조절 부족과 폭주 부족의 발생률을 알아보고자 하였 다. 160명(평균 나이 20.6세)을 대상으로 Push-up method(push-up 방법)와 NPC 검 사(폭주 근점 검사)로 조절력과 폭주 근점을 측정하였다. 평균 폭주 근점은 8.63cm (:t 2.98) 이고 정상적인 폭주 근점을 보인 경우는 77.5% 였다. 평균 조절력은 9.87D (:t 3.58) 이고 나이에 따른 정상적인 조절력을 보인 경우는 67.5% 였다. 폭주와 조절 모 두 정상 범위에 포함된 경우는 51.9% 였고, 폭주는 정상이나 조절 부족은 25%, 조절 은 정상이나 폭주 부족은 15.6% 폭주 부족과 조절 부족이 함께 나타난 경우는 7.5% 였다. 성별 비교에서는 여자가 남자보다 약간 더 폭주 부족과 조절 부족에 대한 빈도 가 높았고 나이와의 상관성은 없었다. 폭주 부족보다 조절 부족이 더 많았고 다른 연 구 결과에 비해 조절 부족과 폭주 부족의 발생률이 높게 나타났다. 앞으로 학생들의 조절력과 폭주 근점 측정은 기본검사에 포함시킬 펼요가 있으며 문진을 포함한 다양 한 검사를 통하여 조절과 양안시 문제를 다루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revalence of accommodative insufficiency and convergence insufficiency in college students. We select 160 subjects(mean age 20.6) and perform push-up method for amplitude of accommodation and NPC for near point of convergence. Mean near point of convergence was 8.63 cm(:t2.98) and 77.5% was within normal range. Mean amplitude of accommodation was 9.87D( :t3.58) and 67.5% was within normal range according to their age expected. 51.9% shows both amplitude of accommodation and near point of convergence as normal, 25% shows accommodative insufficiency with normal near point of convergence, 15.6% shows convergence insufficiency with normal amplitude of accommodation, and 7.5% shows both accommodative insuf ficiency and convergence insufficiency. Female give higher incidence than male for both convergence insufficiency and accommodative insufficiency but there was no correlation with age. Accommodative insufficiency was more prevalent than convergence insufficiency in this study and prevalence of both convergence insufficiency and accommodative insufficiency was higher than other studies.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in college students it is important to give a accommodative and binocular test to detect general binocular dysfunction and necessary to include these examination as a routine.

저자
  • 신진아(여주대학 안경광학과) | Jin-Ah Sh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