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본 연구는 장애아동 부모를 대상으로 Occupational Performance Coaching을 적용한 연구의 질적 수준과 중재효과를 체계적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2003년에서 2023년까지 데이터베이스 Cochrane Library, Pubmed, Web of Science, RISS에 게재된 문헌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검색어는 ‘Occupational Performance Coaching’ OR ‘OPC’ AND ‘child’ OR ‘children’ OR ‘childhood’ OR ‘children with disability’을 사용하였다. PRISMA Flow chart 선정 기준에 따라 최종적으로 7편의 실험연구를 선정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분석대상 문헌의 질적 수준은 무작위 대조 실험연구는 2편, 단일집단 비무작위 연구 2편, 두집단 비무작위연 구 1편, 단일실험연구가 1편, 사례연구가 1편으로 다양하였고, 비뚤림의 위험성은 무작위 대조 실험연구는 일부 있음, 비무작위 연구들은 높음부터 낮은 항목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참여 대상자의 진단군은 자폐스펙트럼장애, 연령별로는 학령기가 가장 많았다. OPC 중재는 아동의 작업수행 증진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고 그 외에도 사회적 기술, 인지기능, 신체기능 향상에도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의 효능감과 정서, 삶의질 향상에도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OPC 효과를 평가하는 도구로는 캐나다 작업수행측정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를 모든 문헌에서 사용하였고, 목표달성척도(Goal attainment scale)를 4편에서 사용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장애아동 부모에게 OPC를 적용하여 자녀의 작업향상과 부모의 효능감 향상을 확인한 체계적 연구로서 작업치료 분야에서 효과적인 중재방법을 소개하고 근거를 제시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4,900원
        2.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본 연구는 초등학교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시각에 대한 인식 현황을 파악하여 초등학생의 시각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과 적절한 지도를 제안하고자 한다. 방법: 2011년 4~7월까지 경기도 화성시 O초등학교 담임교사 11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불성실하게 응답한 12부를 제외한 10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시각 문제를 담당하기 적합한 전문가는 안과의사라고 인식하고 있는 교사가 88%였다. 학생에게 전문기관에서 눈 검사를 받도록 권유해본 적이 있었던 교사는 76%였다. 현행 교육과정에 시각에 대한 교육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고 인식하는 교사는 24%였고 시각에 대한 내용이 교육과정에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교 사는 80%였다. 시각이상이라는 용어를 인식하는 교사는 71%, 저시력이라는 용어를 인식하는 교사는 54%, 시각치료라는 용어를 인식하는 교사는 22%였다. 시각이상의 존재여부를 증상으로 알 수 있다고 생각하는 교사는 22%였다. 선호하는 시각관련 정보 제공 형태는 46%가 웹싸이트를 선호하여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결론: 초등학교 교사들이 시각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고 시각에 대한 인식이 낮으므로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시각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4,000원
        3.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본 연구는 안경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노안가입도 검사 현황을 파악하여 적절한 노안 가입도 처방 에 필요한 검사 단계와 항목을 제시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방법: 서울, 경기도, 경상도, 전라도 안경원에 근무하고 있는 안경사 17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 시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127명(71.8%)이 가입도를 측정하기 전에 양안균형검사를 실시하였고, 가입도 검사단계 는 복수응답 결과 양안균형검사 하기 전은 177명 중 40명(22.6%), 양안균형검사 후는 177명 중 134명 (75.7%)으로 가장 많았고, 원용교정 안경 착용검사 후는 177명 중 69명(39.0%)으로 조사되었다. 가입도 검 사는 단안으로 하는 사람이 24명(13.6%), 양안은 77명(43.5%), 피검사자의 상태에 따라 단안과 양안을 모두 검사하는 사람은 76명(42.9%)이었다. 대상자의 36명(20.3%)은 조절력을 확인하지 않은 상태에서 가입도를 양안으로 검사하였고, 가입도 검사 후 명시역을 확인하는 사람은 69명(39.0%)으로 조사되었다. 가입도 처방 은 단안이 37명(20.9%), 양안이 99명(55.9%), 피검사자의 상태에 따라 단안 또는 양안으로 하는 사람이 41 명(23.2%)으로 조사되었다. 결론: 적절한 가입도를 처방하기 위해서는 가입도를 검사하기 전에 실시하여야 하는 검사와 가입도 검 사단계, 가입도 검사방법, 조절력과 명시역 확인 등에 대한 필요성의 인식이 요구된다.
        4,000원
        4.
        201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플라스크 실험과 fermentor 발효실험으로 분리균주인 Acetobacter aceti B20 균주의 초산발효를 위한 몇가지 조건을 최적화하였다. 통기교반 조건이 제한된 flask 실험에서 B20 균주의 생육은 에탄올 농도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4%의 에탄올 농도에서는 거의 생육이 되지 않았으며, 초산 생성량도 미미하였다. Flask 배양에서 B20 균주의 생육은 포도당 농도가 3%일 때 가장 좋았으나 농도가 증가할수록 생육이 저해되었다. 27oC와 30oC의 온도에서 A. aceti B20 균주의 생육과 초산생성은 유사하였으며, 이보다 낮거나 높은 온도에서는 생육과 초산 생성이 모두 저하되었다. B20 균주의 최적 발효온도는 27±3oC 범위로 생각된다. Fermentor의 교반속도가 높아질수록 B20 균주의 생육도와 초산생성량이 증가하여 500 rpm일 때 초산농도 5.34%, 발효수율은 57.2%이었다. Batch식 발효에서 초기 에탄올 농도가 7%일 때 발효 120시간째 산도가 5.34%로 가장 높았으며, 이 때의 발효수율은 56.1%로 가장 양호하였다. Fedbatch식 발효에서 초산농도는 2회 feeding할 때 144시간째 8.76%로 최고에 도달하였으며, 이 때 발효수율은 50.6%로 feeding 횟수가 증가할수록 낮게 나타났다.
        4,000원
        5.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대학생 집단에서의 조절 부족과 폭주 부족의 발생률을 알아보고자 하였 다. 160명(평균 나이 20.6세)을 대상으로 Push-up method(push-up 방법)와 NPC 검 사(폭주 근점 검사)로 조절력과 폭주 근점을 측정하였다. 평균 폭주 근점은 8.63cm (:t 2.98) 이고 정상적인 폭주 근점을 보인 경우는 77.5% 였다. 평균 조절력은 9.87D (:t 3.58) 이고 나이에 따른 정상적인 조절력을 보인 경우는 67.5% 였다. 폭주와 조절 모 두 정상 범위에 포함된 경우는 51.9% 였고, 폭주는 정상이나 조절 부족은 25%, 조절 은 정상이나 폭주 부족은 15.6% 폭주 부족과 조절 부족이 함께 나타난 경우는 7.5% 였다. 성별 비교에서는 여자가 남자보다 약간 더 폭주 부족과 조절 부족에 대한 빈도 가 높았고 나이와의 상관성은 없었다. 폭주 부족보다 조절 부족이 더 많았고 다른 연 구 결과에 비해 조절 부족과 폭주 부족의 발생률이 높게 나타났다. 앞으로 학생들의 조절력과 폭주 근점 측정은 기본검사에 포함시킬 펼요가 있으며 문진을 포함한 다양 한 검사를 통하여 조절과 양안시 문제를 다루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