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노안 가입도 검사에 관한 연구 KCI 등재

The study on the measurement of presbyopic addi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348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안경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노안가입도 검사 현황을 파악하여 적절한 노안 가입도 처방 에 필요한 검사 단계와 항목을 제시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방법: 서울, 경기도, 경상도, 전라도 안경원에 근무하고 있는 안경사 17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 시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127명(71.8%)이 가입도를 측정하기 전에 양안균형검사를 실시하였고, 가입도 검사단계 는 복수응답 결과 양안균형검사 하기 전은 177명 중 40명(22.6%), 양안균형검사 후는 177명 중 134명 (75.7%)으로 가장 많았고, 원용교정 안경 착용검사 후는 177명 중 69명(39.0%)으로 조사되었다. 가입도 검 사는 단안으로 하는 사람이 24명(13.6%), 양안은 77명(43.5%), 피검사자의 상태에 따라 단안과 양안을 모두 검사하는 사람은 76명(42.9%)이었다. 대상자의 36명(20.3%)은 조절력을 확인하지 않은 상태에서 가입도를 양안으로 검사하였고, 가입도 검사 후 명시역을 확인하는 사람은 69명(39.0%)으로 조사되었다. 가입도 처방 은 단안이 37명(20.9%), 양안이 99명(55.9%), 피검사자의 상태에 따라 단안 또는 양안으로 하는 사람이 41 명(23.2%)으로 조사되었다. 결론: 적절한 가입도를 처방하기 위해서는 가입도를 검사하기 전에 실시하여야 하는 검사와 가입도 검 사단계, 가입도 검사방법, 조절력과 명시역 확인 등에 대한 필요성의 인식이 요구된다.

Purpose: The study aimed at identifying the current measurement status of presbyopic addition test in order to suggest a measurement process suitable and items for diagnosing the presbyopic addition. Methods: A survey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177 opticians working in Seoul, Gyeonggi-do, Gyeongsang-do, Jeolla-do areas,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 Result: 134 subjects (75.7%) carried out binocular balance examination before the addition examination. For addition examination time, 40 of 177 subjects (22.6%) did before the binocular balance examination, 134 of 177 subjects (75.7%) did the examination after the binocular balance examination, and 69 of 177 subjects (39.0%) carried out addition examination after the wear examination of distance correction glasses. 24 subjects (13.6%) conducted the addition examination with monocular, 77 subjects (43.5%) did the examination with binocular, and 76 subjects (42.9%) did with both depending on the situation. 36 subjects (20.3%) were not found amplitude of accommodation, and they addition test conducted with binocular on the situation. 69 subjects (39.0%) were found to do the verification of the range of clear vision after addition measurement. For addition diagnosis, monocular was 37 subjects (20.9%), binocular was 99 subjects (55.9%), and monocular or binocular was 41 subjects (23.2%). Conclusion: In order to diagnose appropriate addition, it is needed to understanding of the necessity for the examination before the measurement of addition, the time of addition measurement, the method of addition measurement, the verification of rage of amplitude of accommodation and clear vision.

저자
  • 김정희(동남보건대학교 안경광학과) | Jung-Hee Kim
  • 신진아(여주대학교 안경광학과) | ·Jin-Ah Shin
  • 신장철(부산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 ·Jang-Cheol Sh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