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조절마비제에 의한 자동굴절검사값의 변화도 분석 KCI 등재

Analysis of D iscrepancies between Manifest and Cycloplegic Autorefrac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327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자각식 꿀절검사를 실시하기 위한 예비검사로 자동굴절계가 겸영법을 대신하여 널 리 사용되고 있으며, 정확도가 높지만, 특히 어린 나이에서 측정오차약 한 가지 요인 으로 보고되는 조절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일산 거주 초중고 학생 391 명(초등학 교 저 학년 95 명 7.45 :t 0 ,61 세, 초등학교 고학년 87 명 10.46 :t 0.60세, 중학생 120 명 12.86 :t 0 ,34세, 고등학생 89 명 14.76 :t 0.55 세)을 대상으로 현성 빚 조절마비 자동굴절 검사 (Topcon KR-7100P) 를 실시하였다. 현성 굴절상태에서 측정한 자동굴절검사값과 조절마비 자동굴절검사값의 차이를 M, Jo 및 J45 성분의 벡터로 전환하여 분석하였다, M 성분의 차이는 초등학교 저학년 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고, 나이 증가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각 연령군 사 이에서 유의한 차이릎 보였다 (F 二27.03, p = 0,0000). 그러나, Jo 성분 맞 J45 성분의 차 이는 각 연령군 사이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F = 0.70, p = 0.55 및 F 二0.31 , p = 0.82) 각 연령군에서 현성 자동굴절검사값과 조절마비 자동굴절검사값의 M 성분 차이는 굴절이상도와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으며(초등학교 저학년 R 二-0 , 33 , p < 0.0001 ; 초등 학교 고학년 R = -0.41, p < 0.0001 ; 중학생 R = -0.29, p < 0.0001 ; 고등학생 R = -0.14, p = 0.06), 근시군과 바근시군에서 M 성분의 평균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초 등학교 저 학년 t = -4.75, p = 0.0000 ; 초등학교 고학년 t = • 6.45, p = 0.0000 ; 중학생 t = -4.48, p = 0.0001 ; 고등학생 t = -3.41, p = 0.0008). 이상의 결과로부터 현성 자동꼴절검사 결과는 조절로 인한 측정오차가 유발될 수 있고, 특히 나이가 아리고 근시도가 낮거나 정시 또는 원시성인 경우 측정오차가 상 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굴절이상을 교정하기 위한 검사 과정에서 자동 굴절검사 결과를 해석할 때 조절로 인한 오차 가능성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It has been widely accepted that autorefraction instead of conventional retinoscopy provides a starting point for subjective refraction. Although autorefraction has proved to be an accurate tool, pseudomyopia caused by accommodation has been reported especially in childre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effects of accommodation while autorefractometry 391 subjects divided into 4 groups according to the age were recruited from Ilsan-gu, Kyonggi-do; 95 younger primary-school students(Mean age: 7.45:!: 0.61 years), 87 older prim따y-school students(Mean age: 1O.46:!: 0.60 years). 120 middleschool students(Mean age: 12.86:!: 0.34 years) and 89 high-school stuclents(Mean age: 14.76:!: 0.55 years). Manifest and cycloplegic autorefraction were performed by Topcon R]R-7100P We analyzed discrepancies between manifest and cycloplegic autorefraction converted into a power vector which represents M, Jo and J잉 components in threedimensional dioptric space. The younger primary-school students group showed the largest difference in M component which tended to decrease by age increase and was found significantly different in each group(F = 27.03, p = 0.0000).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Jo and J4'i components in each group(F = 0.70, p = 0.55 & F = 0.31, p = 0.82). The results in each group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difference in M component and refractive eπors (R = -0.33, p < 0.0001, R = -0.41, p < 0.0001, R = • 0.29, p < 0.0001 & R = -0.14, p = 0.06 respectively) and the mean difference in M component between myopic and nonmyopic group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t in each group(t = -4.75, p = 0.0000, t = -6.45, p = 0.0000, t = -4.48, p 二0.0001, t = - 3.41, p = 0.0008 respectively). From the results, we confirmed that accommodation could induce discrepancies while autorefractometry and its magnitude would be relatively high especially in children or in cases of small myopia, emmetropia, or hypermetropia. Therefore, we suggest that autorefraction results must be interpreted with a serious concem if used for assessing refractive errors.

저자
  • 마기중(을지의과대학 보건대학원) | Ki-Choong Mah
  • 이혜정(여주대학 안경광학과) | Hae-Jung 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