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일산 소재 초중고 학생의 근시군과 비근시군의 각막 이심률 비교분석 KCI 등재

The comparative analysis of corneal eccentricity between myopic and non-myopic group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live in Ilsa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329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6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성장기 학생의 각막형상에 적합한 RGP, 특히 Orthokeratology 콘택트렌즈의 설계 및 피팅에 참고할 자료를 얻기 위해, 안질환이 없는 일산 소재 성장기 학생 300 명(초 등학교 저학년 69 명, 초등학교 고학년 68 명, 중학교 99 명, 고등학교 64 명)을 대상으로 조절마비하 자동굴절검사와 각막지형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전체 대상자의 평균 나이는 11. 74土2.97 세, 등가구면 굴절이상도는 -1.74:t2.40D, 각 막 정점부역 평균 독률반경은 7.97:t0.27 mrn, 각막 정점부에서 30도 반경의 평균 이 섬률은 0.53:t0.11, 비구면계수는 0.29 :t 0.11 로 나타났다. 각막정점부의 평균 곡률반경과 이심률은 연령별 4집단에서 전체적으로 유의한 차 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근시군 및 비근시군에서 4집단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연령이 높야질수록 각막 정점부 곡률반경이 짧고, 이심률은 낮았으나, 굴절이상의 유 형과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각막의 정점으로부터 주변부로 갈수록 이심률이 증가하였고, 큰시군 빚 비근시군에 서 연령이 높아질수록 이심률이 감소하였다 (r = -0.1811) 근시군과 비근시군에서 주 변부 각막은 수평방향에서 비측이 이측보다 더 평평해지고, 수평경선이 수직경선보다 이섬률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여러 가지 광학상수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각막 정점부 곡률반경과 이심률, 나이 빚 비구면계수 사이에 상관성이 있었고, 이섬률과 나이 사이에서도 낮은 상관성 이 있었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활용하여 성장기 학생의 각막형상에 적합한 RGP, 특히 Orthokeratology 콘택트렌즈의 설계 빚 제조를 위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To obtain basic information for design and manufacture of RGP, particularly orthokeratology contact lenses, cycloplegic autorefraction and comeal topography (Oculus, Keratograph V l.65) were performed for the healthy 300 young students (69 students in lower grade of elementary school, 68 students in higher grade of elementary school, 99 students in middle school and 64 students in high school) who líve in Ilsan. The mean values of the age, the spherical equivalent of refractive error, comeal apical radius, eccentricity and asphericity at 300 area of comea for tota1 subjects were 11.7412.97yrs., -1.7412.40D, 7.9710.27 mm, 0.5310.11 and -0.2910.11, respectively. The comeal apical radius and eccentricity at 300 of comea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ach age group between myopic and non-myopic group, bu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within age group both myopic and non-myopÍc group. As older the group’s age, comeal apical radius was shorter, the eccentricity was lower. The eccentricity of comea increased as it moved from the comeal apex to the peripheral part, and As older the group’s age, its value decreased both myopic and non myopic groups. 1n both groups, the nasal region was flatter than the temporal reg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horizontal meridians showed a larger difference in eccentri디ty than vertical meridians. There were showed significant but low correlation in comeal apical radius versus eccentricity, age and asphericity, and also eccentricity versus age. Further studies are expected to apply this information for design and manufacture of an appropriate RGP, particularly orthokeratology contact lenses to comeal shape of young students during growing period.

저자
  • 장봉순(을지의과대학교 보건대학원) | Bong-Soon Changl
  • 오현진(서울보건대학 안경광학과) | Hyun-Jin Oh
  • 김정미(을지의과대학교 보건대학원) | Jeong-Mi Kim
  • 원찬희(서울보건대학 안경광학과) | Chan-Hee Won
  • 마기중(을지의과대학교 보건대학원) | Ki-Choong Ma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