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두 가지 직경의 Orthokeratology Contact Lens에서 굴절이상도와 각막형상 변화의 비교분석 KCI 등재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hanges in refractive error ans corneal shape with two different diameter of Otrhokeratology contact len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333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9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Orthokeratology 콘택트렌즈의 직경변화가 굴절이상도와 각막형태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안질환이 없고 건강한 성인 16명(31안)을 대상으로 직경이 다른 두 가지의 수면착용 orthokeratology 콘택트렌즈(10.0 mm, 11.2)를 착용시키고, 렌즈 착용 전, 렌즈 착용 후 1일 및 7일에 각각 자동 굴절검사 각막곡률검사, 자각식 굴절검사 및 각막형태검사를 실시하였다. 두 가지 직경의 렌즈에서 나안시력의 개선 및 자각식 굴절검사에 의한 등가구면 굴절이상 도의 감소는 차이가 없었고 자동굴절검사에 의한 등가구면 굴절이상도의 감소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각막난시의 변화도는 직경이 큰 렌즈에서 감소하고 직경이 작은 렌즈에서는 증가하여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8). 렌즈 착용 일주일 후 자동각막곡률계로 측정한 평균 곡률반경(p=0.001), 약주경선 곡률반경(p=0.000) 및 강주경선 곡률반경(p=0.000)의 변화량은 직경이 큰 렌즈에서 더 많았다. 각막두께의 변화도는 중심부에서 감소하고 주변부에서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Treatment zone의넓이는 직경이 작은 렌즈보다 큰 렌즈에서 약간 더 넓었다(p=0.013). 이상으로부터 10.0 mm 직경의 렌즈와 비교하여 11.2 mm 직경의 렌즈가 나안시력의 개선 및 근시도의 감소 효과는 차이가 없으나, 각막곡률의 변화 및 눌리는 부위의 증가로 좀 더 안정된 근시감소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임상에서 문제점 해결을 위한 피팅과정에 적용할 수 있는 후속 연구가 요망된다.

To compare and analyze the effects change in diameter of orthokeratology contact lens has on refractive error and corneal shape, 16 healthy individuals with no eye diseases were fitted with two different types of overnight orthokeratology contact lens with different diameters(10.0 mm and 11.2 mm) and auto refractometer, auto keratometry, subjective refraction, and ORBSCAN topography/pachymetry were performed for each individual before wearing the contact lens, 1 day after wear, and 7 days after wearing the contact lens. In the lens with different diameter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improvement of visual acuity or in reduction of refractive error measured by subjective refraction, and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refractive error measured by auto refractometer(t = -3.573, p = 0.001). Corneal astigmatism decreased in lens with greater diameter, and increased in lens with smaller diameter, which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t = -2.794, p = 0.008). The change in mean K-reading(t=-3.586, p = 0.001), flat K-reading(t = -5.452, p = 0.000), and steep K-reading(t=-5.117, p = 0.000) measured using autokeratometer at one week after wearing the lens was flatter in the lens with greater diameter. Corneal thickness decreased in the central region and increased in the periphery which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t = 3.149, p = 0.001). The width of treatment zone was slightly wider in the lens with greater diameter than in lens with smaller diameter(t = 2.498, p = 0.013). From the above results, although lens with 11.2 mm diameter did not have differences in effect of improving visual acuity or decreasing astigmatism compared to lens with 10.0 mm diameter, with changes in corneal curvature and increase in the region of pressure, it is believed to be able to provide stable myopia reduction effect and further studies that can be applied in the fitting process for solving clinical problems are anticipated.

저자
  • 김미영(공안과의원) | Mi-Young Kim
  • 오현진(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나노공학과) | Hyun-Jin Oh
  • 변장원(공안과의원, 을지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 Jang-Won Byun
  • 남상훈(공안과의원) | Sang-Hoon Nam
  • 마기중(을지대학교 보건대학원) | Ki-Choong Mah
  • 심상현(전북과학대학 안경광학과) | Sang-Hyun S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