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전북 지역 초·중·고 학생들의 근시 진행 정도에 대한 연구 KCI 등재

A Study of Myopia Progression Status for a Diverse School Group in Jeonbuk Provinc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336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목 적 : 본 연구에서는 근시진행정도를 학제별로 초등학교 저 학년생(30명)을 A군, 초등 학교 고학년(30명)을 B군, 중학생(30명)을 C군, 고등학생(30명)을 D군으로 나누어 각 근시 진행정도를 비교해 어느 시기에 가장 많은 변화가 발생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3년간 3회 이상 안경원에 방문하여 시력교정을 받은 120명(남 : 60명, 여 : 60명) 240안을 대상으로 굴절검사 기록을 분석하였다. 결 과 : 1. 등가 구면굴절력의 분포는 A군 -2.32D, B군 -2.57D, C군 -3.44D, D군 -3.95D로 연 령이 증가할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2. 등가 구면굴절력의 월별 변화량은 남학생의 경우 A군 -0.06D, B군 -0.055D, C군 -0.055D, D군 -0.025D로 나타났으며, 여학생은 A군 -0.08D, B군 -0.06D, C군 -0.05D, D군 -0.04D로 나타났다. 결 론 : 등가 구면굴절력의 월별 변화량을 고려해 안경 도수의 변화가 있는 시기를 굴절 검사가 필요한 시기라고 가정한다면, A군은 3.7개월, B군은 5.1개월, C군은 4.7개월, D군은 8.5개월로 예상되었다

Purpose : In this study, we divided into three investigated groups. The A group is the lower elementary school(30), The B group is the high elementary school(30), The C group is the junior high school(30), The D group is the high school students(30). the myopia progression have been compared with each group and most variable terms have been investigated. Methods : We have analyzed the refraction inspection record for corrected vision which is 120 students(men 60, women 60) visited optical shop for more than three times in three years. Results : 1. The distribution of spherical equivalent power with ages : A group -2.32D, B group -2.57D, C group -3.44D, D group -3.95D. 2. On a monthly variation of spherical equivalent power : -0.06D(A), 0.055D(B), -0.055D(C), -0.045D(D) in men, and-0.08D(A), -0.06D(B), -0.05D(C), -0.025D(D) in women. Conclusion : After due considering monthly variation and suppose that the variation and suppose that the variating times of spectacles degrees were time of refracting inspection. the result : 3.7 month for A group, 5.1 month for B group, 4.7 month for C group, 8.5 month for D group.

저자
  • 두하영(전북과학대학 안경광학과)
  • 심상현(전북과학대학 안경광학과)
  • 최선미(전북과학대학 안경광학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