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천공 컬러 콘택트렌즈의 임상적 성능에 대한 비교 분석 KCI 등재

Comparative Analysis of Clinical Performance of Fenestrated Cosmetic Colord Contact Lens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338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6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목적: 산소투과율을 개선시키기 위해 개발된 천공 컬러 콘택트렌즈를 2시간 동안 눈을 감은 상태에서 착용하도록 하고 임상성능을 평가하고자 한다. 방법: 콘택트렌즈의 착용에 영향을 줄만한 부작용이 없는 성인 30명(남 13명, 여 1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무작위로 선정된 한쪽 눈에 1주일 간격으로 일반 소프트콘택트렌즈(Vifilcon A), 컬러 콘택트렌즈(Hanamedicon Co.) 및 천공 컬러 콘택트렌즈(Hanamedicon Co.)를 착용시켰다. 콘택트렌즈를 착용한 눈을 2시간 동안 안대로 가리고 반대쪽 눈은 뜬 상태를 유지했다. Orbscan II Pachymetry(v. 3.12)를 이용하여 각막두께와 각막전후면의 융기도를 측정하고, CCLRU 등급표를 이용한 전안부의 평가 및 설문지를 이용한 자각적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결과: 콘택트렌즈 착용으로 유발된 각막중심부 부종은 일반 콘택트렌즈(3.6±2.9%), 천공 컬러 콘택트렌즈(6.8±3.0%) 및 컬러 콘택트렌즈(8.9±2.9%)의 순으로 심하게 나타났다. 각막 전면과 후면의 융기도는 일반 콘택트렌즈와 천공 컬러 콘택트렌즈에서 약간 평평해졌으나 유의한 변화가 없었고, 컬러 콘택트렌즈는 전면(0.04±0.06 mm)과 후면(0.08±0.09 mm) 모두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 각막 곡률반경은 약주경선보다 강주경선의 변화가 크게 나타났고 전체적으로 짧아져서 착용전보다 각막곡률이 보다 가파르게 변했다. CCLRU 등급표를 적용한 전안부 평가에서 일반 콘택트렌즈, 천공 컬러 콘택트렌즈 및 컬러 콘택트렌즈의 순으로 등급이 높게 나타났다. 일반 콘택트렌즈는 1단계 또는 그 이하였고, 천공 컬러 콘택트렌즈는 2단계 또는 그 이하였으나, 컬러 콘택트렌즈는 2단계와 그 이상의 등급을 보였다. 자각적 만족도는 일반 콘택트렌즈와 천공 컬러 콘택트렌즈 및 천공 컬러 콘택트렌즈와 컬러 콘택트렌즈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일반 콘택트렌즈와 천공 컬러 콘택트렌즈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천공이 컬러 콘택트렌즈의 임상성능을 개선시키는데 효과적이었으나, 일반 콘택트렌즈와 비슷한 수준으로 임상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Purposes: To evaluate clinical performance of the fenestrated cosmetic colored contact lenses developed for improving oxygen transmissibility under closed eye condition during two hours. Methods: Thirty subjects(26.7±3.6 yrs.)(13 males and 17 females) enrolled in the study did not have any complications related to contact lens wear. One eye selected randomly were fitted clear SCL(Vifilcon A), colored SCL(Hanamedicon Co.) and fenestrated colored SCL(Hanamedicon Co.) at 1 week intervals. The eye wearing contact lens was closed by patch during two hours and the other eye was opened at same periods. We measured corneal thickness, anterior and posterior best-fit sphere radius by Orbscan II Pachymetry(v. 3.12), slit lamp biomicroscopy by CCLRU scale and subjective symptoms by questionnaire. Results: Central corneal swelling were clear SCL(3.6±2.9%), fenestrated colored SCL(6.8±3.0%) and colored SCL(8.9±2.9%), respectively. The anterior best-fit sphere radius unchanged in response to clear SCL and fenestrated colored SCL and flattened slightly but significantly with colored SCL(0.04±0.06 mm). The posterior best-fit sphere radius flattened significantly with colored SCL(0.08±0.09 mm).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for radius of curvature of steeper meridian. The curvature of steeper meridian changed more steeper with all SCL. The CCLRU scale were grade 1 or below in the eye weared clear SCL, and in the eye weared fenestrated color SCL, CCLRU scale were grade 2 or below. But in the eye weared color SCL, CCLRU scale showed grade 2 or above in some wearers. Subjective symptoms were significant different between clear SCL vs. colored SCL, and between fenestrated colored SCL vs. colored SCL, but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lear SCL vs. fenestrated colored SCL. Conclusions: The fenestration was effected to improve clinical performance of colored SCL, but the futher studies were needed to increase clinical performance of fenestrated colored SCL at level of clear SCL.

저자
  • 정우재(종로공안과의원) | Woo-Jae Jeong
  • 변장원(종로공안과의원, 을지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 Jang-Won Byun
  • 오승진(을지대학교 보건대학원 안경광학과) | Seung-Jin Oh
  • 두하영(전북과학대학 안경광학과) | Ha-Young Doo
  • 마기중(을지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을지대학교 보건대학원 안경광학과) | Ki-Choong Ma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