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마독스로드법과 수정된 토링톤법에서 시표의 종류에 따른 조절반응량의 비교 KCI 등재

Comparison of Accommodative Response to Near Targets in Maddox Rod Method And Modified Thorington Metho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343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목 적: 마독스로드법(MR)과 수정된 토링톤법(MT)에서 사용하는 주시시표에 대한 조절반응량을 측정하여 수평사위량이 다르게 측정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양안시기능이 정상인 성인 34명(24.44±3.47세)을 대상으로 원거리와 근거리에서 마독스로드법과 수정된 토링톤법으로 수평사위를 측정하고, 근거리(40cm)에서 문자시표와 점광원, 선조광을 주시할 때 조절반응량을 자동굴절력계(NVision-K 5001, Shin-Nippon, Japan)로 측정하였다. 결 과: 마독스로드법과 수정된 토링톤법으로 측정한 원거리와 근거리의 수평사위량은 외편위가 감소하는 (내편위의 증가) 경향으로 나타났다(DLP: p = 0.022, NLP: p = 0.045). 검사거리 40 cm에서 문자시표 (20/20, 20/30)와 점광원(녹색, 백색, 적색)을 주시할 때 조절반응량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 = 0.990, p = 0.415). 마독스로드법과 수정된 토링톤법에서 40 cm에 위치한 녹색 점광원과 선광원에 대한 조절반응량은 선광원을 주시할 때 증가하였지만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MR) = 0.091, P(MT) = 0.128). 백색 점광원과 선광원에 대한 조절반응량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MR) = 0.000, P(MT) = 0.037), 적색 점광원과 선광원에 대 한 조절반응량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MR) = 0.002, P(MT) = 0.001). 결 론: 마독스로드법으로 측정한 수평사위량이 다른 사위검사보다 외편위의 감소(내편위의 증가)가 나타나는 것은 조절반응량이 증가로 인한 것이 아닌 선광원에 의한 근접성폭주의 과도한 작용으로 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 investigate the variables that affect to amount of horizontal phoria measured using Maddox Rod Method and Modified Thorington Method by assessing the accommodative response. Method: 34 subjects(age 24.44±3.47) are normal binocular vision. Lateral phorias were measured by Maddox Rod Method and Modified Thorington Method at 3m and 40cm. Accommodative responses, when the subjects look at targets(letters, spot lights and streak lights), were measured by Auto-refractor(NVision-K 5001, Shin-Nippon, Japan). Results: Lateral phoria measurements, measured by Maddox Rod Method, would show less exo-deviation or more eso-deviation than other phoria tests both at distance and at near(p = 0.022 at distance, p = 0.045 at near). There were no difference in accommodative response between letter targets(20/20, 20/30) and spot lights(green, white, red) at 40 cm(F = 0.990, p = 0.415). When viewing green streak light is greater than viewing green spot light in accommodative response but there is significantly no difference during Maddox Rod test and Modified Thorington test at 40 cm(P(MR) = 0.091, P(MT) = 0.128). There was significantly a difference between white streak light and white spot light in accommodative response(P(MR) = 0.000, P(MT) =0.037). There also was significantly a difference between red streak light and red spot light in accommodative response(P(MR) = 0.002, P(MT) = 0.001). Conclusion: A mount of lateral phoria, measured using Maddox Rod Method, would show either less exo-deviation or more eso-deviation than other phoria tests. The reason is that it is not inadequate control of accommodation but overact proximal convergence.

저자
  • 이현(대전보건대학 안경광학과)
  • 이강오(대전보건대학 안경광학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