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휴대용전자확대경과 광학확대경의 근거리 사물 인식 실효성 평가 KCI 등재

Evaluation of portable electronic magnifier and optical magnifier when looking at near objec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355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목 적: 시각손상을 유발하였을 시, 광학 확대경과 휴대용 전자확대경을 사용시 근거리 사물을 인식하는데 걸리는 시간에 대해서 평가하고자 한다. 방 법: 15명의 참여자에게 영수증 내에 있는 여러 가지 정보와 사진의 정보를 파악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3가지 시각 손상 조건을 구현하였으며, 이는 시력저하, 백내장 그리고 시야협착이었다. 이런 시각 손상 조건하에서 광학확대경과 전자확대경에 대한 사물인식 시간을 측정하였다. 결 과: 본 연구에 참여한 참여자는 21세부터 26세로 평균나이는 22.73±1.28이다 근거리 정보를 인식과 사진의 정보를 파악하는데 걸린 시간은 광학확대경과 휴대용 확대경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시각 손상 조건을 서로 비교하였을 때, 시력저하 조건과 백내장 조건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시력저하와 시야협착 그리고 백내장 조건과 시야협착 조건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 론: 근거리 사물의 정보를 인식하는데 있어서, 광학 확대경과 휴대용 전자확대경은 비슷한 정도의 효율성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시야협착이 있는 경우에는 다른 시야 손상에 비해 정보인식 시간이 다소 오래 걸렸다. 따라서, 시야협착이 있는 경우에는 시야 확장에 도움이 되는 보조기기의 처방을 통하여, 읽기 능력 향상을 도와주는것을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Purpose: To compare the time between optical magnifier and portable electronic magnifier to identify the necessary information on near object. Methods: 15 participants were asked to perform timed tasks of viewing bills and photographs to find the certain information. There were three visual impairment conditions, reduced visual acuity, cataract and constriction in visual field. Under three vision conditions, times to recognize the near object was measured. Results: Participants were aged 21 to 26 (mean age 22.73±1.28) and 9 males and 6 females. First of all,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optical magnifier and portable electronic magnifier on the task of viewing near object and photograph. When comparing among the vision conditions, constriction in visual field spent significantly more time completing the task than vision conditions of reduced visual acuity and cataract. Conclusions: Overall, optical magnifier showed similar performance compared to the portable electronic magnifier on the task of viewing near object and photograph. Constriction in visual field required more time to complete the near vision task. Therefore, it would be recommended to prescribe a certain optical aid which can expand the visual field for enhancement of reading performance.

저자
  • 박인지(가야대학교 안경광학과) | In-Jee Park
  • 성덕용(수성대학교 안경광학과) | Duk-Yong Sung
  • 이기석(뉴사우스웨일즈대학교, 검안학과) | Ki-Suk Lee
  • 추병선(대구가톨릭대학교 안경광학과) | Byoung-Sun Ch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