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 적: 농촌 노인의 근용안경 제작에 필요한 자료를 얻기 위해 고혈압과 당뇨 등의 일반적인 노인 질환과 안질환 등을 파악하여 질환과 근용안경 굴절력과의 연관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방 법: 설문 내용은 질환, 눈 수술, 눈 증상으로 구분하여 전라북도 농촌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노인 21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결 과: 고혈압(49.8%)이 당뇨병(9.3%) 보다 유병이 높게 나타났고 각 질환은 여자가 남자보다 많았다. 백내장 수술자는 43.3%, 녹내장 수술자는 4.7%이었고, 녹내장 수술자는 고혈압과 당뇨병을 가지고 있었다. 눈꺼풀 수술자는 6명(2.8%)이었고 모두 여자 이였으며, 군날개를 수술한 사람은 없었다. 날파리증은 105명(48.8%)이 증상을 가지고 있었고 연령별로는 70대에서 가장 많았다. 눈마름 증상을 호소한 사람은 153명(71.2%)이었고 여자가 남자보다 많았으며 80대 이상에서 가장 많았다. 망막박리 증상은 28명(13.0%)이 호소하였고, 여자가 남자보다 많았다. 백내장수술, 녹내장수술, 눈꺼풀수술, 날파리증, 눈마름증, 망막박리증은 고혈압환자에서 많았다. 백내장, 녹내장, 눈꺼풀수술, 날파리증, 눈마름증, 망막박리증을 가지고 있는 사람과 정상인 사이에 근용안경 처방 굴절력은 차이가 없었다. 결 론: 고혈압과 당뇨병, 백내장 수술, 녹내장 수술, 날파리 증상 그리고 눈마름 증상은 노안의 상태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사료되며, 질환과 근용안경 굴절력과는 연관성이 없었다.
목 적: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현성굴절검사와 조절마비굴절검사 결과를 비교하고 저학년과 고학년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 근시인 저학년(1.2.3학년) 91명 182안, 고학년(4.5.6학년) 58명 116안 총298안을 대상으로 조절마비제와 미드린피를 점안 전과 후에 자동굴절검사기와 검영기로 굴절검사를 시행하였다. 결 과: 조절마비 전과 후에 구면굴절력은 각각 ?1.23±0.80D와 ?1.08±0.83D로 조절마비굴절검사의 근시도가 0.16±0.24D (t=-2.182 p
목 적: 13.56 MHz Radio Frequency(RF) 고주파 송수신 장치를 만들고, 이를 이용하여 ITO안경렌즈 코팅 막의 두께와 전면커브에 대한 유도기전력 감소를 관찰하여 ITO 박막두께 측정을 연구하였다. 방 법: 전자빔 증착 장치를 이용하여 안경렌즈 하드 코팅 막 위에 다층막 코팅(SiO2/ZrO2/SiO2/ZrO2/SiO2/ITO/발수코팅막)을 하였는데, 이 때 ITO 코팅 시 이온빔 보조 장치를 사용하였다. 광투과율측정기로 ITO 코팅 안경렌즈의 투과율을 확인하였고, 13.56 MHz 수정발진소자를 사용하여 RF 고주파 송수신 장치를 만들었으며, 이 송수신 장치로부터 ITO 박막의 두께와 안경렌즈 커브에 의한 유도기전력의 감소량을 측정하였다. 결 과: 광투과율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ITO 안경렌즈 박막 두께에 따른 투과율을 측정한 결과, 가시광선 영역에서 ITO 박막이 두꺼워짐에 따라 처음에는 약간 증가하다가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RF 고주파 송수신 장치에서 안경렌즈를 RF 송수신 코일 위에 놓았을 때 유도기전력의 감소량은, 각각의 커브에서 ITO 두께가 커짐에 따라 유도기전력의 감소량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안경렌즈를 RF 송수신 코일 위에 놓았을 때 유도기전력의 감소량이 안경렌즈를 RF 송수신기 코일 안에 놓았을 때 유도기전력의 감소량보다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결 론: 13.56 MHz RF 고주파 송수신 장치를 만들고, 이를 이용하여 ITO 안경렌즈 코팅 막의 두께와 전면커브에 대한 유도기전력 감소를 관찰한 결과, 안경렌즈를 RF 송수신코일 위에 놓았을 때 유도기전력의 감소량은 각각의 커브에서 ITO 두께는 커짐에 따라, 안경렌즈 전면 커브는 작아짐에 따라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목 적: 본 연구는 일반 카메라를 이용하여 누진 가입도 렌즈(Progressive Addition Lens : PAL)의 원용부, 주변부, 중간 거리부 및 근용부의 광학 수차 분포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 법: 카메라를 이용하여 렌즈 사진을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에서 수차가 발생하는 근용부와 주변부를 확대하였다. PAL의 비점수차와 왜곡을 MATLAB 공학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결 과: PAL의 비점수차가 카메라로 찍은 이미지에서 확연히 나타났으며 렌즈의 가입도가 증가함에 따라 비점수차의 정도도 증가하였다. 또한 비점수차가 나타나는 곳에서 왜곡 현상과 흐린 상이 맺히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 론: 일반 카메라와 PAL 촬영에 의한 이미지로 소비자의 PAL의 이해도가 향상되어 소비자의 만족도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PAL을 설계할 때 모의실험의 기초로 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
목 적: 셔터 방식과 편광 방식의 3D TV로 3D 영상을 시청할 때 발생하는 피로도, 디스플레이 품질 및 안경 착용감을 비교하고자 했다. 방 법: 42명의 대상자에게 시력에 맞게 처방된 셔터 방식과 편광 방식의 3D 안경을 착용시키고 40분 길이의 두 편의 3D 영상을 관람시켰다. 영상물을 시청하는 동안 대상자의 눈앞에 놓인 RED 500 고정식 아이트래커를 이용하여 동공 크기와 눈 깜박임을 측정하였고, 시청 전후 피로도 및 시청 후 디스플레이의 품질과 안경 착용감에 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결 과: 설문조사 결과 3D 영상물을 시청한 후 피로도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셔터 방식과 편광 방식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3D 안경의 착용감은 편광 방식이 셔터 방식보다 더 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셔터방식과 편광방식의 3D 시청조건을 비교했을 때 셔터방식이 편광방식보다 평균 동공 크기가 더 작았고(3.35±0.65mm vs. 3.60±0.74mm), 눈 깜박임 간격이 더 짧았다(3.36±1.75s vs. 4.50±2.96s). 결 론: 본 연구에서 3D 시청으로 발생하는 주관적인 시각적 피로는 편광 방식이 셔터 방식보다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유의성이 없었고, 3D 시청으로 인해 발생되는 시각적 피로도를 측정할 수 있는 정량화된 방법을 제시한 것으로 생각된다.
목 적: 시각손상을 유발하였을 시, 광학 확대경과 휴대용 전자확대경을 사용시 근거리 사물을 인식하는데 걸리는 시간에 대해서 평가하고자 한다. 방 법: 15명의 참여자에게 영수증 내에 있는 여러 가지 정보와 사진의 정보를 파악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3가지 시각 손상 조건을 구현하였으며, 이는 시력저하, 백내장 그리고 시야협착이었다. 이런 시각 손상 조건하에서 광학확대경과 전자확대경에 대한 사물인식 시간을 측정하였다. 결 과: 본 연구에 참여한 참여자는 21세부터 26세로 평균나이는 22.73±1.28이다 근거리 정보를 인식과 사진의 정보를 파악하는데 걸린 시간은 광학확대경과 휴대용 확대경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시각 손상 조건을 서로 비교하였을 때, 시력저하 조건과 백내장 조건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시력저하와 시야협착 그리고 백내장 조건과 시야협착 조건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 론: 근거리 사물의 정보를 인식하는데 있어서, 광학 확대경과 휴대용 전자확대경은 비슷한 정도의 효율성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시야협착이 있는 경우에는 다른 시야 손상에 비해 정보인식 시간이 다소 오래 걸렸다. 따라서, 시야협착이 있는 경우에는 시야 확장에 도움이 되는 보조기기의 처방을 통하여, 읽기 능력 향상을 도와주는것을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목 적: 백내장 유병률 변화와 예측을 통해 백내장의 위험성과 관리 및 예방의 중요성을 알리고자 한다. 방 법: 2008년에서부터 2012년까지 최근 5년간 보건복지부 산하 질병관리본부가 시행하여 발표한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통계 분석하였다. 결 과: 연령별 백내장의 유병률은 40-49세 11.1%, 50-59세 35.7%, 60-69세 71.8%, 그리고 70세 이상에서는 94.2%로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유병률이 증가하였으며(p=0.00), 특히 남성 50-59세 연령층의 경우 2008년 35.7%에서 2012년 48.2%로 5년 동안 13.0%의 백내장 유병률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백내장 유병률은 동 지역에서는 39.5%와 읍 지역에서는 51.1%로(p=0.00), 소득별 백내장의 유병률은 최하위 소득군 43.1%, 중하위 42.9%, 중상위 41.6% 그리고 최상위 40.7%를 각각 나타내었다. 결 론: 65세를 넘어가면 남성과 여성간의 백내장 유병률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2). 그러나 그 차이는 계속 줄어들고 있으며 그것은 특히 50대 남성 백내장 유병률의 가파른 증가와 연관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목 적: 본 연구는 허쉬버그검사와 교대프리즘가림검사에 의한 편위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1세 이상~25세 이하(평균 23.14±1.25세) 대학생 22명을 대상으로 허쉬버그검사와 교대프리즘가림검사로 카파각과 전체 편위각을 측정하였다. 결 과: 근거리에서 교대프리즘가림검사에 의한 편위각은 좌,우안의 카파각과 매우 유의한 상관관계(r=0.755, r=0.730)를 나타냈으며 양성(+) 카파각 값들과의 관계에서는 관계식 y=3.954+0.063χ으로 양의 기울기 값이 측정되었다. 그리고 폭주근점과 조절력은 선형관계인 y=10.603-0.667χ의 관계식으로 음의 기울기 값과 높은 음의 연관성(r=-0.646, p=0.001)을 보였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t=14.973, p=0.000)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 론: 카파각과 교대프리즘가림검사에 의한 편위각은 상관관계가 높았으며 편위를 진단하는 참고적인 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다.
목 적: 본 연구는 습윤성 물질을 포함한 기본적인 하이드로젤 콘택트렌즈 재료에 silicon 2,3-naphthalocyanine bis(trihexylsilyloxide)(SiNc)를 첨가하여 친수성 콘택트렌즈의 물리적 및 광학 특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제조된 고분자의 자외선 투과율과 접촉각을 측정하여 SiNc의 안의료용 렌즈 소재로의 활용도, 특히 습윤성을 향상시키는 안의료용 고분자로서의 활용도에 대해 알아보았다. 방 법: 친수성 하이드로젤 렌즈 제조를 위해 2-hydroxyethyl methacrylate (HEMA), N-vinyl-2-pyrrolidone (NVP), methylmethacrylate (MMA), 교차결합제인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EGDMA) 그리고 개시제인 azobisisobutyronitrile (AIBN)을 사용하여 공중합 하였다. 또한, SiNc는 첨가제로 사용되었다. 중합 후 제조된 콘택트렌즈 재료의 함수율, 굴절률, 접촉각 및 분광투과율 등의 물리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결 과: 생성된 하이드로젤 렌즈 고분자의 물리적 특성을 측정한 결과, 함수율 38.12 ~ 37.98%, 굴절률 1.434 ~ 1.435, 접촉각 34.33 ~ 62.91°그리고 분광투과율의 경우 34.6 ~ 91.0%의 범위로 나타났다. 또한 SiNc를 첨가한 조합에서 자외선 투과율이 크게 감소하였으며, 습윤성은 증가하였다. 결 론: 습윤성 물질 및 SiNc를 첨가하여 제조된 안의료용 고분자 재료는 자외선 차단 및 습윤성이 우수한 하이드로젤 콘택트렌즈를 제조하기 위한 재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목 적: 본 연구에서는 자외선 UV-A, UV-B, UV-C의 노출 증가에 따른 UV 차단용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시감투과율 및 대비감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방 법: UV-A, UV-B, UV-C lamp의 영향을 받은 2개의 하이드로겔 렌즈, 2개의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의 시감투과율과 피검자 23명(46안)의 대비감도를 검사하였다. 결 과: UV lamp에 영향을 받은 콘택트렌즈의 시감투과율이 UV-C 조사받은 렌즈가 가장 크게 감소하였으며 UV-B, UV-A순으로 감소하였다. 동일한 자외선 양(9.35mJ/cm2)을 조사 받은 소프트 콘택트렌즈로 피검사자에게 착용 후 대비감도를 측정값은 UV-C 조사 받는 소프트 콘택트렌즈가 가장 낮게 측정되었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목 적: 착용한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 표면에 침착된 성분을 X-선광전자분광법으로 관찰하였으며, 투광성과의 관련성을 연구하였다. 방 법: 표면을 플라즈마 코팅한 Lotrafilcon A 재질의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를 착용한 다음, 표면에 침착물의 성분과 화학결합을 X-선광전자분광분석기(XPS)로 분석하였으며, 침착에 따른 광투과율을 관찰하였다. 결 과: 착용 초기에는 점액질의 침착이 주로 일어나 40% 이상이 되었으며, 그 이후에는 큰 증가가 없었다. 지방의 침착은 점액질보다 적지만 20%까지 계속 증가하였다. 가시광선의 광투과율은 착용 5일까지 3.4% 감소하였으며, 그 이후에 1.2% 정도 더 감소하였다. 결 론: 플라즈마 처리로 표면이 친수성인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의 침착은 주로 점액질에 의해 발생하며, 지방은 침착된 점액질에 쌓이면서 서서히 증가하였다. 침착물로 인하여 렌즈의 광투과율이 저하되었으나, 그 영향은 점차 감소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