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6

        1.
        202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근시 교정용 (-)렌즈를 대상으로 편심 크기를 변화하면서 동일 직경으로 가공한 렌즈의 가장자리 두께와 무게를 비교하고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 고굴절률(High index, 1.60) 소재의 구면 및 비구면렌즈를 굴절력(-2.00, -4.00, -6.00 D)별로 240개 를 선정하였으며, 굴절력별 편심 크기를 0, 3, 6, 9 mm로 설정하고 동일한 직경의 원형으로 평산각 가공하여 가장 자리 두께와 무게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편심별 평균 가장자리 두께는 구면렌즈일 때 –2.00 D에서는 편심이 1 mm 증가할 때 가장자리 두께가 0.02 mm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4.00 D는 0.04 mm, –6.00 D는 0.05 mm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구면렌즈일 때 –2.00 D에서는 0.02 mm, –4.00 D는 0.03 mm, –6.00 D는 0.04 mm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편심별 평균 무게는 구면렌즈일 때 –2.00 D에서는 편심이 1 mm 증가할 때 무게가 0.05 g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 났고, –4.00 D는 0.09 g, –6.00 D는 0.11 g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구면렌즈일 때 –2.00 D는 0.04 g, –4.00 D는 0.08 g, –6.00 D는 0.11 g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 렌즈의 굴절력별, 편심별 모두에서 굴절력 이 높아질수록 편심 크기가 커질수록 가장자리 두께와 무게가 점점 더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동일 굴절력의 근시 교정용 (-)렌즈를 동일 직경으로 가공하였을 때 편심의 크기가 증가하면 가장자리 두께와 무게도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4,200원
        2.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근시 교정용 비구면렌즈를 대상으로 중심 두께와 굴절률 및 굴절력 그리고 직경이 가장자리 두께와 무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비교하고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근시 교정용 렌즈를 굴절률(1.56~1.74)과 굴절력(-3.00~-8.00 D)별로 252개를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굴절률과 굴절력별로 40.00, 50.00 및 60.00 mm 직경 크기로 평산각 가공하여 가장자리 두께와 무게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가장자리 두께는 직경이 1.00 mm 증가하였을 때 0.11 mm 증가하고 굴절력이 –1.00 D 증가하였을 때 0.50 mm 증가하며 굴절률이 한 단계 높아질 때 0.24 mm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무게는 직경이 1.00 mm 증가 하였을 때 0.42 g 증가하고 굴절력이 –1.00 D 증가하였을 때 0.75 g 증가하며 굴절률이 한 단계 높아질 때 0.08 g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자리 두께와 무게와의 인과관계는 직경이 가장 크고, 굴절력, 굴절률, 중심 두께 순으 로 나타났으며 가장자리 두께가 1.00 mm 증가하면 무게는 2.57 g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근시안을 비구면렌즈로 교정하고자 할 때, 굴절이상도와 안경렌즈 각 요소와의 관계를 고려하여 안경렌 즈를 선택하면 가장자리 두께 및 무게 감소에 도움이 되리라 사료된다.
        4,200원
        3.
        202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그래핀 산화물(GO), 폴리에틸렌 글리콜 다이아크릴레이트(PEGDA),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틸 에터 아크릴레이트 (PEGMEA)의 나노복합체를 자외선 광중합을 통해 합성하였다. GO는 가교된 폴리에틸렌 옥사이드(XPEO) 매트릭스 내에 최 대 1.0 wt% 농도까지 균일하게 분산시켰다. 더 높은 농도에서는 GO가 응집되는 경향을 보였다. 잘 분산된 GO는 친수성 PEO 사슬과 추가적인 화학적 가교 네트워크를 형성했다. XPEO-GO 나노복합체는 GO 농도에 따라 기계적 강도 및 염과 가 스에 대한 차단 특성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다양한 GO 농도와 플레이크 크기를 가진 XPEO-GO 하이드로겔 의 제조 및 특성화를 다루고 있다. 이러한 특성은 나노복합 하이드로겔이 강화된 XPEO 기반 바이오소재 및 고급 항균성 한 외여과(UF) 친수성 코팅에서의 잠재적 응용 가능성을 시사한다.
        4,600원
        10.
        202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총설은 소수성 불소수지계 분리막의 표면 개질에 대한 개론으로 다양한 표면 개질 방법 및 그 연구 결과를 중 점적으로 서술하였다. PTFE로 대표되는 불소수지계 고분자 분리막은 막 증류, 유수 분리, 기체 분리를 포함한 다양한 막 분 리 공정에서 사용되어왔다. PTFE 막은 내화학성, 내열성, 높은 기계적 강도와 같은 뛰어난 물성에도 불구하고 소수성 표면 특성으로 인해 기술 적용의 확장에 제한적이다. 친수성 향상을 위해 습식 화학법, 친수성 고분자 코팅, 플라즈마 처리, 조사, 원자층 증착과 같은 다양한 PTFE 표면 개질 방법을 이용하며 이를 통해 불소수지계 분리막의 응용분야가 확장될 수 있다.
        4,300원
        14.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다양한 안경렌즈로 유발된 부등시의 부등상시도와 입체시를 측정하고 부등상시도가 입체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정상 성인 41명을 대상으로 우세안에 +2.00 D에서 –2.00 D까지 1.00 D 굴절력 간격으로 굴절률별로 구면렌즈와 비구면렌즈를 착용하고 부등상시도와 입체시를 Awaya 부등상시 검사와 RandotⓇ Stereo Test로 측정하여 그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 안경렌즈 굴절력의 절대값이 증가할수록 부등상시도는 커지고 입체시는 낮아졌으며, –2.00 D에서 부등 상시도 증가 단위당 입체시 저하의 차이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p<0.001). 굴절률이 작을수록 입체시는 낮아졌고 비구면렌즈에 비하여 구면렌즈에 의한 입체시가 낮게 나타났으나 유의하지 않았다. 안경렌즈에 의한 부등상시도가 커짐에 따라 입체시는 낮아지는 추세를 보였으며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0.001). 결론 : 유발된 부등시의 부등상시도와 입체시는 안경렌즈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안경렌즈의 특성을 고려하여 교정렌즈를 선택하면 부등시의 부등상시도 감소뿐만 아니라 입체시 향상에 도움이 되리라 사료된다.
        29,000원
        18.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다양한 종류의 안경렌즈로 유발된 부등상시도를 측정하고 안경렌즈의 요소들이 부등상시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분석 하고자 하였다. 방법 : 안질환의 병력이 없는 성인 41명을 대상으로 우세안에 +2.00 D에서 –2.00 D까지 1.00 D 간격으로 굴절률과 설계가 상이한 구면렌즈와 비구면렌즈를 착용하고, Awaya 부등상시 검사법으로 정량적 부등상시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 부등상시도는 중심두께(p<0.001)가 두꺼워질수록, 전면굴절력(p<0.001)이 높아질수록 부등상시도가 높아졌으며, 굴절률은 높을수록 부등상시도가 감소하였고(p<0.001), 구면렌즈에 비하여 비구면렌즈에 의한 부등상 시도가 작게 나타났다. 부등상시도와의 상관관계는 중심두께가 가장 높은 연관성을 나타냈고, 전면굴절력, 굴절률의 순으로 연관성을 보였으며(p<0.001), 인과관계는 중심두께의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p<0.001), 전면굴절력(p<0.010), 굴절률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부등시의 교정을 일반 안경렌즈로 교정하고자 할 때, 부등상시도와 안경렌즈 각 요소와의 관계를 고려하여 교정렌즈 종류를 선택하면 부등상시도 감소에 참고가 되리라 사료된다.
        4,200원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