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표 제작과 단안 시력이 1. 2 인 자에 의한 측정의 반복순환올 통하여, 모두 같은 최 대 판독거리에서 판독될 한 선 또는 두 선으로 제작되는 모양이 서로 다른 시표들의 규격을 각각 구했다. 한 선 시표에 대해서는 최대 판독꺼리가 4.5 m, 8.5 m, 13.5 m, 16.5 m, 21.2 m, 26.3 m~ 경우에 대해 각각의 규격을 구했으며, 두 선 시표들에 대해 서는 최대 판독거리가 모두 8m 인 시표뜰의 규격융 구했다 시표의 모양과 크기를 수치적으로 규정 해주는 량 R( 모양 인자)과 S( 크기 인자)를 도입했다. 시표의 길이를 L, 한 선 시표의 두께쓸 T , 두 션의 중심선간 거리를 H라 할 때, 한 선 시표에서 L/T와 T플, 두 선 시표에서는 L/H와 H흘 각각 R과 S로 정 했다. “어떤 모양의 시표가 상대적으로 잘 판독되는가”흘 나타내는 판독성을 D/S로 정했다.D는 최대 판독거리이다. 실험으로부터 구한 시표규격을 이용하여 판독성이 시표의 모양에 따라 어떻게 변 하는지 조사한 결과, 예상했던 대로 보다 긴 형태의 사표의 판폭성이 좋았다. 그러나 정해진 모양의 시표에서 최대 판독거리(←→시표의 크기)에 따라 판뜩성 값이 변했다. 이는 예상 밖의 결과이다. 두 선 시표의 경우 정해진 모양에서 T쩌 값이 0.26 일 때 판독성이 가장 컸다. 판독성과 모양간의 관계는 “D/T = a Ln(R + b) + c" 의 식으로 표현할 수 있었다. a, b, c는 최대 판독거리와 사표의 종류(여기서는 힌 선 시표와 두 선 시표)에 따라 다 른 상수였다. 한 선 시표의 경우, 최대 판독거리가 보다 크면, a와 b는 보다 작았다.
본 연구는 안정을 구매한 사합들 중 2 회 이상 구매 경험이 있는 187명올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으며 구매 안경원의 만족정도 재구매의도, 이용형태 등을 분석하여 안 경원의 경영자의 고객만족경영에 도움이 되는데 연구의 목적이 았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부분의 구매 고객은 안경원의 서비스에 대하여 만쪽하였으나 다수의 고객은 검안의 정확성에는 만족하지 않았다. 2 구매고객의 대다수가 재구매의도률 밝히고 있으나 구전에 의한 홍보효과는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조사대상고객 중 67명이 이용 안경원올 변경한 경험이 있으며 이을이 말하는 변 경이유는 불친절한 안경사 9명 03.0%) , 불친절한 서비스 13 명 08.8%) , 불편한 안경 23 명 (33.3%) , 불편한 접근성 19명 (27.5%) , 기타 (7.2%) 로 나타났다. 또한 그들이 디-사 톨아옹 이유로는 변안한 분위기 6 명 (8.8%) , 편리한 접끈성 21 명 (30.9%) , 편안한 안경 15 명 (22.1%), 친절한 안경사 19명 (27.9%) , 쾌적한 시설꽁간 2 명 (2.9%) , 우수한 검안시 설 2 명 (2.9%), 기 타 3 명 (4.4%)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안경원의 구매고객의 인구통계학적 분석이 안경왼의 경영전략에 도웅이 될 수 있올 것으로 보이며 구매고객의 검안에 대한 신뢰성 부족올 안경원 경 영자가 극복하기 위해서는 종사 안경사의 지속적이고 다양한 검안 교육올 통하여 안 경사의 검안능력을 향상시켜야 할 것이다. 또한 안경사의 검안 능력올 고객들에게 인 식시키기 위한 홍보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재구매의도를 밝힌 고객들일지라도 주위의 사람들에게 적극적인 구전에 의한 광고 를 하지 않는다는 점을 인식하여 만족 고객이 고객 유인으호 이어지도록 하눈 촉진 프로그랩을 개발할 필요성이 였다. 더불어 변경고객의 변경이유 중 불편한 접끈성과 불편한 안경에 주목하여 안경사의 휘탱 교육 및 사후 AlS 프로그랭의 개발도 필요 하다. 또한 안경사에 대한 친절교육으로 고객을 만족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안경올 착용하고 있는 초둥학교 어린야 120 명(현재 안경의 착용기간 0.67 ::1:: 0.55년) 을 대상으로 안경올 착용하면서 느끼는 불현감에 대한 설푼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착 용 중인 안경의 조정 (fitting) 상태, 광학적 조제상태 및 안정테의 크기률 조사하여 다 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조사 대상자의 28% 가 안경을 착용하면서 불편올 느꼈으며, 불펀감의 왼인은 ‘훌 러내댐’ 41%, ‘코와 귀 부위의 압박감’ 46%, ‘기타’ 12% 로, 대부분 안경테의 역학적인 조정상태가 불편감의 원인언 것으로 조사되었다. 2. 안경 착용상태를 조사한 결과 착용자의 67% 에서 착용상태가 적절하지 못한 것 으로 나타났으며, 그 원인으로는 코받침부의 간격이 넓고 l斗리꺾엉부의 위치가 깊게 조정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3. 안경렌즈의 광학중심점간 거리와 동공간거리가 일치하지 않은 안경은 93%로 나 타났으나, 독일 RAL-RG-915룰 적용하여 조제가공 허용오차의 범위에 대한 적부플 판단한 결과 수펑방향은 96% 가 적합하였으며, 수작방향은 89% 가 적합한 것으로 조 사되었다. 4. 착용하고 있는 안경의 등가구면굴절력은 -1. 99엄::t:1.729D 였으며, 완전 교정도수 의 등가구변굴절력은 2.660::t 2.068D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큰 불편은 느끼지 못하눈 것으로 나타났다. 5. 착용 중인 안경테의 크기와 어련이 안경태의 설계값을 비교한 결과 전면부 전체길 이 (FHD) 는 설계값에 비해 작은 반면, 렌즈고정블 중심간거리 (FPD>와 렌즈고정틀 사이 거리 (DBR)는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리부 전체길이는 큰 차이가 없는 반면, length of drop(LD)은 긴 것 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어린이가 안경쏠 착용하면서 느끼는 불편감의 주증상흘 흘러내립이 며 그 원인으로는 넓은 코받침부의 간격과 다리꺾임부의 위치가 부적절하게 조정되 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되며, 현재 시판되는 안정테의 크기가 어린이의 얼굴 형태에 적합하지 못하며 특히 코받침 부위가 열굴형태와 관 차이가 있어 어린이의 얼굴형태 에 따라 안경태를 조정하기가 어려운 것으로 사료된다
한국 어린이에 적합한 안경태를 설계하기 위하여 안질환과 외판상 전신질환이 없 는 10--13세(평균 10.5 세) 사이의 초등학생 200 명(남 96 명, 여 104 명)을 대상으로 안 경테 설계와 관련된 머리와 얼굴부위를 계측하고, 이 자료룹 바탕으로 한국 어린이용 안경테의 전면부와 다리부 설계값을 구하였다. 한국어린이의 얼꿀형태는 코카시안 어 린이의 얼굴형태와 차이를 나타냈으며, 안경테 설계와 관계꾀는 앨꿇너\:1 1 와 머리너비 는 한국성인과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머리최대길이, 귀구슬사이거리, 동공사이거 리는 성인과 차이가 있어 어린이용 안경테 설계값은 성인용 안정테 설계값과는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얼굴형태를 기초로 계산된 어린이용 안경테 설계값올 현재 판매되고 있는 어 린이 딴경테 측정치와 비교한 결과 안정테 전변부 선체깊이 (FHDl, 기준선길이 (RHD) 및 Front to Bend(FTB) 는 기존 안정데가 설계값보다 크기자 작은 것으로 나타났으 며, 안경테 PD(OCD), 렌즈고정툴사이거리<DBR>, Length of Drop(LDl은 기존 안경 테가 설계값보다 큰 값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한국 어린이에 적합한 안경태는 성인 안경태의 축소형이 아닌 어련이의 얼팔 형태에 적합하게 설겨1 되어야 하므로 현재 시 판되는 안경테보다 안경테 전면부 길이는 크고 안경태 PD. 렌즈고정툴사이거리, 연 결부 (bridge) 는 짧게 설계되어야 할 것이며, 어린이의 취향에 맞게 설계값올 기초로 하여 따양한 디자인의 안경테가 제작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권다.
Human factor를 고려한 콘택트 렌즈에서 UV-A, UV-B 선 차 l잔 효융을 평가하기 위해 투과율에 의한 가시광 영역 Iuminance와 luminance에 의한 동공크기를 분석하였 다. Lur띠nance(L)에 따른 동공크기 (φ) 는 φ=d-e . tanh(f . IogL)로 주어지고, 동공 크 기 (r) 에 따른 투과효용은 Tr(r)=1-gr2 +hr4으로 human factor가 주어진다. 320-4oonm 파장 영역인 UV-A에 대한 절대 차단 효율 a와 제거 지수 b=(l-a) x 100%를 유도하 였다. RGP, CL(A), CL(m 둥의 sample에서 UV-A 에 대한 a 값은 0.91, 0.93, 0.90이며 b 값은 9, 7, 10 이었으며, UV-B 에 대한 a 값은 0.84, 0.95, 0.97 이며 b 값은 16, 5, 3 이었고, UV-C 에 대한 a 값은 0.17, 0.35, 0.42 이며 b 값은 &'3, 65, 58을 각각 얻었다.
CH 렌즈에 가한 웅력을 측정하기 위한 편광기는 광원-편광판-시료-편광판 -CCD컴퓨터로 구성하였고, 각 편광판의 단계별 광 파의 EJ, E2 의 성분올 분석하여, 주 웅 력차 01- σ2 와 무늬 차수 (n) 즐 유도하였다. 시료의 광 축은 주 응력 방향과 일치하 는 것으로부터 2 차원 모텔을 결정할 수 있다. 팡 파에 작용하쓴 이중 룹절성과 위상 지연은 주 웅력차(σ1-σ2) 에 비례하며, 최종 광 파의 세기는 sin2( il /2) 에 비례하고, il/2"nπ(n=O, 1, 2, ... )일 때 홉팡이 일어난다. 크기가 I! xW(40X20mm) 형태인 3.00D 렌즈의 외부 옹력의 크기에 따라 홉광 band가 이동함올 볼 수있고, 최대하증, slope, 최 대 하중 stress 값을 각각 23.99(Kgf), 43.73(Kgf/mm), O.076(Kgf/mm2 ) 값을 얻었다.
소프트콘택트렌즈 다목적용액 (multi-purpose solution, MPS) 의 단백질 제거효능검 정을 Bradford assay 에 따라 실시하였다. 사용한 렌즈는 FDA기준의 group N 인 이 온성 고함수율 렌즈이며, 인공누액에 65샤간 담갚 후, 각각의 MPS 에 시간별로 처리 하여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시중에 유통 중인 MPS 6개사 7 개 제품의 단백질 제거 효능윷 비교한 결과, 한가지 제품을 제외하고는 단백질 제거 효능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였으나 동일 조건에서 MPS 의 단백질 제거 효능은 단백질 종류, 담그는 시간 과 제품에 포함된 성분의 조성비, pH, buffer 둥의 변수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나 타났다.
콘택트렌즈 소독제로 쓰이는 H2Û2올 중화용 백긁 판올 이용하여 수회 반복 중화한 용액이 배양 각막상피세포의 Apoptosis룰 유도하는지 여부룹 조사하기 위해 본 연구 를 시행하였다 3% H202(AOSept)를 6시간 동안 9회에 걸쳐 통일 백금 판으로 풍화 한 용액을 배양 각막 상피세포에 배양액의 25% 농도로 1--2 띤 동안 처리하여 처음 중화한 용액과 9번째 중화한 용액음 중심으로 세포독성과 Apoptosis를 조사하였다. 세포똑성은 MTT assay를 이용하였으며 lnverted pþase-contrast microscope로 형 태 를 확얀하고 Toluiclin blue 염 색으로 Apoptotic Cell올 확언하였으며 Hoechst 33342 로 형광 염색하여 Apoptotic Index를 조사하였다. 또한 Annexin V - FITC깨ropiclium Iodide(PDstaíning, DePsipher TM assay. M30 CytoDEATH. TUNEL (TdT-dUTP terminal nick-end labelling) assay를 통해 형태적인 변화될 확인하였다. 생화학적 변 화인 DNA Fragmentation은 Agarose gel electrophoresis룹 사 행하였으며 Fas Antigen 의 발현을 조사하기 위하여‘ Irnmunocytochemistry와 Westem blotting올 시 행하 였다. H20z의 독성올 약화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백금 판을 수회 재사용하여 중화한 용액닫 25% 농도로 1-2 일간 처리하였을 때 각막 상피세포의 Apoptosis가 유도되는 것 이 형 광 염 색, DNA ladder. Irnmunocytochemistry. Westem blotting등의 방법 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중화된 H써2룹 25% 농도로 1-2 일 동안 처리한 결과, 세포 증식 저해와 Apoptosis 가 유도되므로 중화용 백금 판의 이용 횟수활 세한하거나 중화시간 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완전하게 중화된 소독용 H202는 더 이상 소독효파가 없으므로 장시간 동안 렌즈의 소쪽보관 용액으로 사용해서는 안 된 다는 교육이 반드시 펼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점안제의 보존제로 광범위하게 쓰이는 benzalkonium chloride(BAC) 에 의해 세포손 상올 입은 L929 cell 에 대해 키토산의 세포부활효과와 완충효과룰 연구하였다. MTT assay에 따라 각각 BAC 와 키토산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세포손상 정도와 세포활성효 과를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동일 조건에서 BAC률 먼저 처리한 후 1 시간후 키토산을 처리한 경우, 키토산올 먼저 처리한 후 BAC를 처려한 경우와 동시에 처리한 경우로 나누어 비교한 결과, 동시에 처리한 경우가 세포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키토산 을 BAC 와 동시에 사용할 경우 보존효과와 더불어 세포독성올 낮춰주는 효과 및 완 충효파 둥의 여 러 가지 약리 적 인 효파가 있으므로 점 안제로 사용이 가능하다.
콘택트렌즈 관리용액의 보존제 성분 중 Benzalkonium Chloride<BAC) 가 L929세포 주에 세포독성과 세포 자연사룰 유도하는지 조사하고자 시행하였다. 생쥐 섬유모세포 인 L929 cell line을 배양하여 양성 대조군으로 0.01% H20~, 음성 대조군으로 Media 를 처리하였으며 세포독성은 BAC룰 배양세포에 시간별 (24, 때hr) , 농도별(0.0001 , 0.001, 0.005, 0.01, 0.05, 0.1%) 로 처리하여 대조군과 처리꾼올 비교하여 세포독성 농 도를 산출하였다. Hematoxylin-Eosin Staining후 광학현미 경으로 형태적 변화를 관 찰하고, MTT Assay와 LDH Activity 로 검정하였으며, MTT 정량과 LDH(Lactate Dehydrogenase) 활성도로 세포독성 농도룹 산출하였다. MTT 정량결과, 세포 독성이 0.0001% 에서는 8%, 0.005% 에서는 30%, 0.001%에서논 65%5'_ 농도 의존적으로 독성 이 나따났으며, 0.001% 에서 LDH 유출정도가 대조꾼과 비교하여 차이를 나타내지 않 았으나, 0.01% 의 농도에서 2.9 배, 0.1%의 농도에서 대조군에 비해 3.35배정도 높은 LDH 의 유출율을 보였다. 세포자연사 (Apoptosis) 륜 관찰하기 위 해 Hoechst33342와 DNA Laddering과 Flow cytometry를 실시한 결과, 0.1%에서쓴 세포괴사 (necrosis) 에 의해, 0.001%-0.01%에서는 세포자연사(apoptosis) 에 의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콘태트렌즈 다목적 용액 내에는 보존제, 소독제, 세척제, 윤활제 둥이 포함되어 있 으며 콘택트렌즈 표면에 침착하는 단백질올 제거하기 위해 물질의 계변에 홉착되어 그 표면 장력을 현저하게 저하샤키고 수액 내에 열정 농도이상으로 폰재할 때 미젤 구조를 형성하여 정상적으로 용해되지 않는 물질을 미첼구조내에서 용해시키는 특성 올 갖판 계면활성제를 사용한다. 본 연구논 계면활성제의 세척 효과와 세포독성 판계를 연구하고자 소프트 콘택트렌즈 의 세척용으로 사용되는 여러 가지 계변활성제 (Tyloxapol, Tromethamine, Poloxamine, Poloxamer40η) 가 생쥐의 섬유모세포인 L• 929 cell line에 미 치찬 저해 효과를 알아보 았다. 계면활성제를 농도별 <0,001-10%, w/w) 토 처리한 후 시간별 (24h, 48h)로 MTT 와 LDH 분석 방법올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단백칠 제거효과는 친수성 콘택트 렌즈 FDA공인 W 그룹의 렌즈 etafilcon A (함수융 58%) 를 인공누액에 65시간 담근 후 꺼내어 계면활성제의 농도와 처리시간이2, 24h) 에 따라 단백절 제거효과를 조사하였 는데 단백질이 침착된 친수성 콘택트렌즈가 각각의 계면활성제에 의해 제거된 단백질 량의 정량은 Bradford 정량 방법올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세포증식 저해효과는 24시간 처리결과 Poloxamine의 ;성우 0.1%이하에서. Poloxamer407은 5% 이하에서. Tyloxapol 은 0.1%이하에서, Tromethamine은 1% 이하의 농도에서는 세포독성윷 나타내지 않았 으나, Poloxamine의 경우 1% 에서, poloxamer407은 7% 에서, Tyloxapol은 1% 에서, Tromethamine은 1.5%에서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세포소지판을 중심으로 평가된 MTT 분석 방법은 LDH 유리 분석 방법보다 민감하게 나타났다. 계면활성제의 세포독성이 없는 농도에서 단백질 제거효과눈 Tylox따Xll > Poloxamer-때7> Tromethamine > Poloxamine 순으로 콘택트렌즈에 침착된 단백질 제거량이 높았으며, 농도 의존적으로 효과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파똘 통해 미래의 계면활 성제는 세포독성이 낮고 세척효과가 뛰어나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안과에서 주로 사용되는 생체 염색시약으로 Fluorescein, Rose Bengal, Erythrosin B, Lissanúne Green B 올 인간의 결박세포인 Clone1-5c-4 cell line올 배 양하여 cytotoxicity릎 조사하기 위하여 1%, 0.25% 의 농도보 5분, 15분 동안 처리하 여 MTT assay, SRB assay를 실시하였다. 각 염색사약의 세포독성올 바교 검정한 결과, Rose Bengal과 Lissamine Green B에서 서I 포 증식 저해용이 30% 이상 나타났 고, 회복효과를 보기 위하여 시약 제거 후 1 일 배양하여 Ml‘T. SRB assay를 실시한 결과는 Rose Bengal에서 거의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Lissamine Green B 에서는 더 증 가하였다. 또한 5, 15분 동안 시약처리 직 후 subculture활 실시한 후 세포의 부착과 중식정도를 관찰하였고, 회복효과를 보기 위해 3 잊 후에 세포의 형태를 관찰한 결과, Rose Bengal은 거의 차이 가 없었으나 Fluorescein 에서는 회복효과를 보였다.0.25% trypsin을 처리하여 세포에 영향을 주어 세포의 인위적인 손상올 형태학적으로 비교 한 염색상 세포 저해 정도는 Rose Bengal 이 가장 높-았고, Fluorescein 이 제일 낮았 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일부 생체 염색시약이 인간의 결막세포인 Clone1•5c -4 세 포증식을 저해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콘돼트렌즈 관리 용액의 세포독성올 검사하기 위한 방법이 여러 가지 이용되고 았 으나, 직접 소프트콘택트렌즈에 홉수된 관리용액의 독성을 조사하기는 어려운 실정이 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관리용액이 홉수원 렌즈 위에 세포를 직접 배양하여 용 출된 관리용액으로 언한 세포독성을 평가하고자 시행하였다. 여러 가지 콘돼트헨즈 관련 용액 중 보존제 성분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쓴 Benzalkonium chloride (BAC)와 Multipurpose solutions(MPS) 빛 AOSept에 Etafilcon A(FDA공인 W 그룹, Acuvue) 재질인 소프트콘태트렌즈콜 4시간 동안 담구어 용액이 홉수되도록 한 후 배양 결막세포 (clone 1- 5c -4) 룹 콘택트렌즈 위에 직접 배양하여 2 시간 통안 용출액에 의한 세포독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같은 용액에 세포를 2시간 직접 배양하여 독성 정 도를 비교하였으며, Monolayer cell 에 같은 용액올 15분 직접 처리하여 독성올 비교 하였다. 그리고 계대 배양 시 25% 농도로 같은 용액을 세포 혼탁액에 혼합하여 부착 률과 증식률을 조사하였다. 세포독성은 세포를 계수하는 방볍과 시l 포활성올 조사하는 방법올 이용하였으며 형광염색을 통해 세포 생존용플 비교하였다. 콘택트렌즈 용출액에 의한 세포 독성은 MPS는 거의 독성이 없었으며, BAC (0,00 1%-0,α)5%) 처리군에서는 40% 의 세포 증식저해가 였으벼. BAC 0, 01% 와 AOSept (0α)()5 -0.oo1%)에서는 70%이상의 증삭저해를 나타냈다. 또한 세포를 실험 용액에 직 접 2시간 배양하여 세포뜰 계수한 결과 대조군인 식염수에 비교하변 MPS 는 40% 이상, BAC 0.001%는 70% 이상, AOSept는 80% 이상 세포 뚱식 서해가 있으며, BAC (O.α)5, 0.01%) 에서는 세포의 생존율이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MTT assay 와 LDH assay를 한 결과 세포룰 계수 하는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형광염색을 이용한 생존율 조사 결 과, BAC 0.01% 처리군에서는 세포가 사멸하는 것을 확인할 수 았었다.
18세에서 30 세 중반 사이의 남자 35 명 여자 21 명 총 56명올 대상으로 2시간 동안 VDT 작업을 하도록 한 후, 안구 및 전신 중상 둥율 조사하고 순목 횟수, 눈물층파괴 시간 (BUT) , 안겸열의 높이, 시력, 타각적 굴절력, 조젤력 둥올 측정하였다. 안구증상 에서는 눈의 피로를 느끼는 사람이 34% 로 가장 많았고 시가능증상에서는 물체가 흐 려 보이는 증상이 83%, 전신증상에서는 어깨가 아픈 사람이 38%로 가장 높게 나타 났다 VDT 작업 중의 순목 횟수가 8/min로 휴식 때의 22/min 에 비해 많이 감소했 다. VDT 작업 직후의 눈물층파괴시간도 약 7초로 작업 전의 약 12초보다 현저히 감 소되었다. 안겁열의 높이는 작업 전 7.69mm보다 작업 중에는 9.04mm로 증가하였 다. 평균 나안시력은 VDT 작업 전에 0.63에서 작업 후에는 0.57로 약 9.5% 감소하는 겸향을 보였고, 타각적 끊절이상은 0.28D 정도 끈시화 경향올 보였다. VDT 작업 후 조절력은 1.49D 정도 감소하였는데 주로 조절끈점 끓절력의 감소가 원인인 것으로 보고, 폭주근점 꿀절력도 0.87D 감소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