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1.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본 연구에서는 안경원에서 쉽게 구입 할 수 있는 15%, 30% 착색 렌즈를 이용하여 근거리에서 오류수정작업과 읽기 속도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방 법: 남녀 대학생 28명을 대상으로 Blue, Green, Yellow, Red렌즈를 각각 15%, 30% 농도에 따라 오류수정작업과 분당 단어 수 읽기 속도를 측정하였다. 결 과: 분당 단어 수 읽기 속도를 측정한 결과 N-0(110.607 word/min)을 기준으로 G-15에서 125.928(word/min), B-30에서 126.464(word/min), G-30에서 127.428(word/min)의 순서로 증가하였다. 오류수정작업 소요시간은 N-0의 1.331(sec)을 기준으로 B-30과 R-15의 착색렌즈에서 각각 1.3261(sec)과 1.3282(sec)로 감소하였다. 오류수정작업의 정확도는 G-15에서 95.357(%)로 가장 높았고 G-30(90.357%)과 Y-30(90.357)에서는 동일한 낮은 정도를 보였으나 기준 N-0의 77.857(%)보다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 론: 착색 렌즈의 색상과 농도에 따라 오류수정작업의 정확도와 읽기 속도가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특히, R-15에 비해 B-30에서 오류수정작업 소요시간은 감소하였고, 정확도는 같고, 읽기 속도가 증가하므로 근거리 시작업 시 착색 렌즈 B-30의 착용을 권장하는 것도 좋을 것 같다.
        4,000원
        2.
        2014.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적: 본 연구에서는 N0-Wearing lens(Non-Lens), Wearing tinted lenses(Blue, Green, Yellow, Red)를 각각 15%, 30%농도에서 근거리에서의 시작업 변화를 알아보았다. 방법: 남녀 대학생 28명을 대상으로 N0-Wearing lens(Non-Lens), Wearing tinted lenses(Blue, Green, Yellow, Red)를 각각 15%, 30%농도를 달리하여 색상과 농도에 따라 분당 단어수로 읽기 속도를 측정 하였다. 결과: 분당 단어수로 읽기 속도 측정결과 G-30에서 6명(21%), Y-15에서 8명(29%), G-15에서 5명(18%), B-15에서 5명(18%), B-30에서 4명(14%)으로 분당 많은 단어수를 읽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Y-15(29%)가장 많이 읽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분당 읽기 속도 결과 N0-Wearing lens에 비해 색상과 농도에 관계없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따라서 착색렌즈가 근거리 시작업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3.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resbyope has not clear vision with elderly changes. To introduce the essential preliminary examination for presbyope, we performed preliminary tests in 190 elderly patients with case history, slitlamp examination, pinhole test, Hirschberg test, pursuit, stereopsis, pupil reaction, Worth-4 dot test, Amsler grid test, dominant eye test. To perform an examination, the case history is clitical as it guides the whole examination. Chief complaints were epiphora, decreased visual acuity, floaters, hyperemia, eye pain, etc. From the information gained in the case history, we deduced a list of tentative diagnosis. Throughout the examination we decided whether additional tests. The 18.9% of patients didn't have improve visual acuity in pinhole test. Cause of reduced visual acuity in pinhole test was opaque of refractive media such as cataract or pterygium. In 44.7% of patients, stereoauity falls below 40s of arc. The 6.8% of patients have suppression of right or left eye. The 28.9% of patients have metamorphopsia or scotomas in Amsler chart test. Therefore, pinhole visual acuity helps to differentiate ocular pathology from lack of refractive media clarity. Amsler chart is also useful for monitoring age related maculopathy. We suggest that Jones dye test for tear drainage, pinhole test, Amsler grid test and Worth-4 dot test are essential for presbyope.
        4,000원
        4.
        200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시중에 유통 중인 소프트콘태트렌즈 다목적용액 (multi-purpose solution, MPS) 의 습윤성올 측정 • 비교해 보았다. MPS 의 습윤액은 렌즈의 표면이 친수성올 유지하도 록 하고, 셰척효파와 보존효과룰 높이는 둥의 효파가 있으므로 특히 소수성 렌즈에서 는 더욱 중요하다. 실험방법은 습윤성올 측정하는 일반적 방법인 접촉각 측정방법에 따랐고, 렌즈 불 성에 따른 습윤성올 비교하기 위해 렌즈는 FDA분류기준의 group 1 인 비이온성 저 함수율 렌즈와 group IV 인 이온성 고함수옳 렌즈를 사용하였으며, 먼저 제조회사가 다른 각각의 MPS 에 두 종류의 렌즈를 처리하여 대조군과 비교하였고, 대조군으로는 실험실에서 조제한 0.9% NaCl 용액과 인공누액올 사용하였다. 다옴은 렌즈에 직 접 MPS를 떨어뜨려 접촉각올 측정하였다. MPS 의 습윤 효과의 정도는 접촉각이 o。에 가까우면 친수성이며, 그 값이 커질수록 소수성에 가깝다고 판단하였다. 그리고 표면 장력과 점도를 측정하여 습윤성과의 관계률 비교하였다. 표면장력은 MPS 의 분자 간 인력올 나타내는 지표인데 계면활성제의 영향으로 식 염수에 비해 현저히 저하되어 나타났으나 38"';_ 45 (mN/m)까지 다양한 차이를 나타냈 다. 점도는 4 "C와 28 "C에서 측정하였는데 온도 의존적 함수관계률 보였으나 습용성이 많이 요구되는 RGP 렌즈 MPS 의 점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낮은 값이었다. 이 실험은 MPS 의 습윤성올 명가하는 새로운 방향올 제시하고, 습용성에 영향올 주는 다른 인자들과의 관계를 고찰하는데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6,700원
        5.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점안제의 보존제로 광범위하게 쓰이는 benzalkonium chloride(BAC) 에 의해 세포손 상올 입은 L929 cell 에 대해 키토산의 세포부활효과와 완충효과룰 연구하였다. MTT assay에 따라 각각 BAC 와 키토산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세포손상 정도와 세포활성효 과를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동일 조건에서 BAC률 먼저 처리한 후 1 시간후 키토산을 처리한 경우, 키토산올 먼저 처리한 후 BAC를 처려한 경우와 동시에 처리한 경우로 나누어 비교한 결과, 동시에 처리한 경우가 세포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키토산 을 BAC 와 동시에 사용할 경우 보존효과와 더불어 세포독성올 낮춰주는 효과 및 완 충효파 둥의 여 러 가지 약리 적 인 효파가 있으므로 점 안제로 사용이 가능하다.
        4,000원
        6.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콘택트렌즈 소독제로 쓰이는 H2Û2올 중화용 백긁 판올 이용하여 수회 반복 중화한 용액이 배양 각막상피세포의 Apoptosis룰 유도하는지 여부룹 조사하기 위해 본 연구 를 시행하였다 3% H202(AOSept)를 6시간 동안 9회에 걸쳐 통일 백금 판으로 풍화 한 용액을 배양 각막 상피세포에 배양액의 25% 농도로 1--2 띤 동안 처리하여 처음 중화한 용액과 9번째 중화한 용액음 중심으로 세포독성과 Apoptosis를 조사하였다. 세포똑성은 MTT assay를 이용하였으며 lnverted pþase-contrast microscope로 형 태 를 확얀하고 Toluiclin blue 염 색으로 Apoptotic Cell올 확언하였으며 Hoechst 33342 로 형광 염색하여 Apoptotic Index를 조사하였다. 또한 Annexin V - FITC깨ropiclium Iodide(PDstaíning, DePsipher TM assay. M30 CytoDEATH. TUNEL (TdT-dUTP terminal nick-end labelling) assay를 통해 형태적인 변화될 확인하였다. 생화학적 변 화인 DNA Fragmentation은 Agarose gel electrophoresis룹 사 행하였으며 Fas Antigen 의 발현을 조사하기 위하여‘ Irnmunocytochemistry와 Westem blotting올 시 행하 였다. H20z의 독성올 약화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백금 판을 수회 재사용하여 중화한 용액닫 25% 농도로 1-2 일간 처리하였을 때 각막 상피세포의 Apoptosis가 유도되는 것 이 형 광 염 색, DNA ladder. Irnmunocytochemistry. Westem blotting등의 방법 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중화된 H써2룹 25% 농도로 1-2 일 동안 처리한 결과, 세포 증식 저해와 Apoptosis 가 유도되므로 중화용 백금 판의 이용 횟수활 세한하거나 중화시간 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완전하게 중화된 소독용 H202는 더 이상 소독효파가 없으므로 장시간 동안 렌즈의 소쪽보관 용액으로 사용해서는 안 된 다는 교육이 반드시 펼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4,600원
        7.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안경장용자들의 횟팅 실태를 파악하고, 안경장용자와 안경사의 의식부족이나 광학 적 설계의 한 요소인 예비 횟팅의 미비가 원인이 된 잘못된 횟팅에 대해 조사하였다. 횟탱 실태를 고찰하기 위해 안경장용자 총 104명의 남녀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조 사 내용은 안경테 흘러내립, 경사각, 별림각, 정간거리를 조사하였다 결과는 흘러내림 은 정상이 38.5%, 약도가 38.5%, 중동도가 17%, 심한 정도가 6% 로 조사되었다. 경사 각은 10。이하가 30.8%, 11 -130 (정상)에 해당되는 사람이 65.4%, 14。이상은 3.8% 였 다. 벌립각은 정상이 59.6%, 양 쪽 모두 벌어진 경우가 9.6%, 양 쪽 모두 좁은 경우 가 23.1%, 한 쪽이 벌어졌거나 좁은 경우가 7.7%로 나타났다. 정간거리는 11 rnm 이 하는 11.5%, 11 -13 rnm( 정 상)은 57.7%, 13 rnm 이 상은 30.8%으로 나타났다. 횟탱평가의 주요 요소로 흘러내렴, 경사각, 별림각, 정간거리 등이 있는데 횟탱이 적절하지 못한 이유는 크게 예비횟탱의 부재와 안경장용자의 올바른 관리의 부재로 나뉘어졌으며, 이러한 적당한 횟탱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할 경우에 장용자의 불편함과 시각적 교정효과의 불만족, 얼굴외형의 변화 동의 문제가 초래될 수 있음의 결과로 나타났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