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셔터 방식과 편광 방식의 3D TV 시청에 의한 피로도의 평가 KCI 등재

Assessment of Fatigue with Viewing the Shutter Glasses and Film Patterned Retarder 3D TV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355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목 적: 셔터 방식과 편광 방식의 3D TV로 3D 영상을 시청할 때 발생하는 피로도, 디스플레이 품질 및 안경 착용감을 비교하고자 했다. 방 법: 42명의 대상자에게 시력에 맞게 처방된 셔터 방식과 편광 방식의 3D 안경을 착용시키고 40분 길이의 두 편의 3D 영상을 관람시켰다. 영상물을 시청하는 동안 대상자의 눈앞에 놓인 RED 500 고정식 아이트래커를 이용하여 동공 크기와 눈 깜박임을 측정하였고, 시청 전후 피로도 및 시청 후 디스플레이의 품질과 안경 착용감에 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결 과: 설문조사 결과 3D 영상물을 시청한 후 피로도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셔터 방식과 편광 방식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3D 안경의 착용감은 편광 방식이 셔터 방식보다 더 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셔터방식과 편광방식의 3D 시청조건을 비교했을 때 셔터방식이 편광방식보다 평균 동공 크기가 더 작았고(3.35±0.65mm vs. 3.60±0.74mm), 눈 깜박임 간격이 더 짧았다(3.36±1.75s vs. 4.50±2.96s). 결 론: 본 연구에서 3D 시청으로 발생하는 주관적인 시각적 피로는 편광 방식이 셔터 방식보다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유의성이 없었고, 3D 시청으로 인해 발생되는 시각적 피로도를 측정할 수 있는 정량화된 방법을 제시한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compare fatigue, quality of display, and glasses comfort between Shutter Glasses and Film Patterned Retarder 3D TVs. Methods: Forty two subjects watched two 3D movies through Shutter Glasses and Film Patterned Retarder 3D TVs during 40 minutes respectively in two different sessions. Perceived visual and physical fatigue was measured before and after watching 3D movies, and quality of display and comfort of spectacles were also measured after watching 3D movies. The pupil diameter and the blinking rate were measured by SMI Eye Tracker during watching 3D movies. Results: The survey showed that perceived fatigue was increased after watching 3D movies while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perceived fatigue between Shutter Glasses and Film Patterned Retarder 3D TVs. Film Patterned Retarder glasses were more comfortable to wear and less visually intrusive than Shutter Glasses. The eye tracker data showed that the pupil diameter and blinking rate were decreased after watching 3D movies, and the pupil diameter(3.35±0.65mm vs. 3.60±0.74mm) and the interval of blinking(3.36±1.75s vs. 4.50±2.96s) by Shutter Glasses type was shown to be lower than those by Film Patterned Retarder type. Conclusions: Although FPR types afford better viewing comfort than shutter types, but subjective visual fatigue induced by 3D viewing is considered no difference in two viewing methods. There is considered to suggest a quantified method for measuring induced visual fatigue due to 3D viewing contents.

저자
  • 이혜진(광운대학교 신문방송학과) | Hye-Jin Lee
  • 정동훈(광운대학교 미디어영상학부) | Dong-Hun Chung
  • 장만호(한양대학교 의과대학 해부세포생물학교실) | Man-Ho Jang
  • 마기중(을지대학교 안경광학과) | Ki-Choong Ma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