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과학기술 발달에 따른 한국 안경계 미래에 관한 고찰 I: 안경 산업의 예측과 정책 제안 KCI 등재

Study on the Future of Korean Optometric Society Caused by the Scientific Technology Development I: prediction of the optical industry and a policy proposal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362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목 적: 과학기술 발달에 따른 안경업계의 미래를 예측하고 그에 따른 대응책을 마련하기 위함이다. 방 법: 세계의 미래 예측 기관들의 자료와 국내 정부기관의 보고서를 수집하여 국내 안경업계의 상황을 진단했다. 결 과: 안경 산업의 생산성은 전반적으로 증가하지만 고용 인력은 감소하고 있다. 전자동 안경 조제 장 비가 개발되고 있으며 안굴절력계가 일반인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결 론: 안경사는 독일의 장인 제도에서 얻을 수 있는 가치 창조를 개발해야 하며 굴절검사를 넘어 시재 활 훈련을 할 수 있어야 한다.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o predict Korean Optometric business environment in future which could be influenced by the scientific technology development and to find out what countermeasure needs to be prepared. Methods: The future of the world reports and the annual reports provided by the domestic government were collected to diagnose Korean Optometric entire business enviornment. Results: The productivity increased while the employees decreased in the area of the optical industry. In addition, the automatic lens dispensing edger and the auto-refractometer have so developed that the consumer could easily reach those items in regard to the practice of Optician. Conclusions: Korean Optician should develop the value creation based on the German master craftsmanship and have to keep policy efforts to deal with the visual rehabilitation beyond the refraction.

목차
Ⅰ. 서 론
Ⅱ. 방 법
Ⅲ. 결과 및 고찰
Ⅳ. 결 론
Reference
저자
  • 심현석(광주보건대학교 안경광학과) | Hyun-Suk Shim
  • 김상현(광주보건대학교 안경광학과) | Sang-Hyun Kim
  • 서재명(광양보건대학교 안경광학과) | Jae-Myoung Seo